A household debt crisi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household debt crisis (KOR)

Korea’s household debt reached 1,468 trillion won ($1.3 trillion) at the end of March, tantamount to 85 percent of the country’s 2017 gross domestic product of 1,730 trillion won. Tighter mortgage-backed lending rules have helped slow the gains, but household debt remains a colossal problem to the economy.

The government has not been doing its best to restrain the alarming household debt. According to the minutes of the monetary policy committee meeting of the Bank of Korea in May, rent lending and overdraft were behind the increases in bank loans to individuals. Lending for rent fees took up 80 percent of housing-backed loans. Rent lending backed by state entities is excluded in the debt-service-ratio that financial institutions must apply in judging the proportion of new loans based on gross income spent on housing-related payments. Banks can be more relaxed in extending the loans and many are eager in marketing them by offering more favorable rates to keep up interest rate income against tougher regulations on other housing-related loans.

The U.S. Federal Reserve has accelerated normalization in lending rates amid faster recovery in the economy. Of Korean household debt, 77 percent are lent in floating rates. Higher interest rates could quicken the ticking bomb of household debt. Housing-backed lending rates of commercial banks average 3 to 4 percent range. But once U.S. interest rates go higher to an average of 2.4 percent by the end of the year, bank loan rates could hover above 5 percent.

Yoon Suk-heun, governor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warned the household debt problem could expand due to higher market rates and volatility. He named the loans to self-employed businesses, credit line and rent lending as the biggest dangers. Higher interest means a heavier burden for the low-income class, whose jobs and income are at risk due to the minimum wage spike.

JoongAng Ilbo, June 18, Page 30

지난 3월 말 한국의 가계 빚은 1468조원으로 사상 최대였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1730조원)의 85%까지 차올랐다. 정부가 올해부터 도입한 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과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시범운용에 힘입어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지만 이미 가계 빚의 절대 수준이 높아져 있어 안심할 수 없다.
정부의 가계 빚 위험관리에 여전히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한국은행이 공개한 5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최근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는 전세자금 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등 기타 대출이 주도하고 있다. 전세자금 대출은 올해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전세자금 대출의 경우 주택금융공사·주택도시보증공사·서울보증보험의 보증을 받는 대출이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서 원금이 제외되기 때문에 다른 가계대출에 비해 은행이 위험관리를 게을리할 유인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일부 은행이 전세자금 대출의 가산금리를 인하하며 공격적으로 영업에 나서고 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는 것도 걱정되는 대목이다. 가계대출 신규취급액의 77%가 변동금리 대출이어서 금리가 오르면 한국 경제의 뇌관인 가계 빚 증가세가 더 가팔라지고 가계의 빚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4%대이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연내 대출금리가 5%대를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5일 "시장금리 상승, 시장 변동성 증가 등으로 가계부채가 증폭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개인사업자 대출과 신용대출, 전세대출 등을 위험요인으로 꼽기도 했다. 말뿐이 아닌 현장감 있는 금융감독으로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를 잃고 소득이 쪼그라든 저소득 빈곤계층이 예고된 금리 인상의 충격파를 견딜 수 있을지 걱정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