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turn of the hawk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return of the hawk (KOR)

JUNG HYO-SIK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U.S. National Security Adviser John Bolton has returned with confidence.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said that there would be no timeline for denuclearization, but Bolton gave Pompeo a guideline for follow-up negotiations to set a one-year time limit. He said, “I’m sure that [Pompeo] will be discussing this with the North Koreans in the near future about really how to dismantle all of their WMD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in a year.”

So much has changed from June 1, when Bolton was nervously watching Vice Chairman of the Workers’ Party Kim Yong-chol through a window during his White House visit.

After the June 12 summit in Singapore, U.S. President Donald Trump declared that North Korea’s nuclear threat was gone. Bolton moved quietly. He has replaced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NSC)’s senior director fo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rea Hall, who led the taskforce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with Major General Julie Bentz. She has a Ph.D. in nuclear engineering and has served in the NSC three times, including the post of the director of nuclear defense policy. It was the expert group led by Bentz that came up with the one-yea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dismantlement plan for North Korea.

Also, Anthony Ruggiero, a senior researcher at the 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 who had traced and frozen Kim Jong-il’s slush fund in Banco Delta Asia (BDA) in Macau in 2005, was appointed to the newly established post of NSC director of North Korea issues. Ruggiero criticized the Singapore agreement, saying that it was a revision of the negotiations that were dropped a decade ago. He is a sanctions expert who argues that financial pressure should be increased, including through large Chinese banks, to make Pyongyang abandon its nuclear program. While Bolton is no longer talking about the “Libya model” or “maximum pressure policy,” his recent moves suggest that he is up to the same old tricks.

Bolton has gained traction because the follow-up measures that North Korea promised in Singapore — such as repatriating the remains of U.S. troops that fell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dismantlement of the Dongchang-ri missile test site — haven’t actually happened yet. A diplomatic source said that returning the remains would require considerable preparation and negotiation, but things have gotten complicated as Trump already said they were coming in days. It means it would take more time for the North to send them back.

As Trump is impatient, he is fretting over the outcome of discussions with the North as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such as immigration, trade and a tariff war have grown in the 20 days since the meeting. Pompeo has given a letter to Kim Yong-chol personally, urging Pyongyang to fulfill the agreements, and Trump’s patience may be running out. A more fundamental problem is whether Washington and Pyongyang can agree on a denuclearization roadmap of reporting, verification and dismantlement.

If recent denuclearization moves don’t go to plan, Bolton may step out from the sidelines to take Pompeo’s place. They represent Trump’s two faces.

JoongAng Ilbo, July 3, Page 30

볼턴이 돌아왔다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존 볼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자신감에 차서 돌아왔다. “비핵화 시간표를 두지 않을 것”이라던 폼페이오 국무장관에게 ‘1년 시한’을 못 박는 후속 협상 지침까지 줬다. “가까운 장래에 북한의 모든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1년 내 해체하는 방법을 논의할 것”이라고 하면서다. 지난달 1일 백악관을 방문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모습을 창밖으로 초조하게 지켜보던 볼턴이 아니다.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이 끝나고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 위협이 사라졌다”고 선언할 때 볼턴은 조용히 움직였다. 북한 비핵화 정부 합동 태스크포스팀을 이끌던 앤드리아 홀 국가안보회의(NSC) 대량살상무기 선임 국장을 국방부 현역 장성인 줄리 벤츠 소장으로 교체했다. 벤츠는 핵공학 박사 출신으로 핵방어정책 국장을 지내는 등 NSC에서만 세 차례 근무한 베테랑이다. 북한의 대규모 WMD 1년 내 해체 방안을 고안한 건 바로 벤츠 소장이 이끄는 전문가 그룹이다.
또 NSC 북한 국장직을 신설해 2005년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에 있던 김정일 비자금을 찾아내 동결했던 앤서니 루지에로 민주주의수호재단 선임연구원을 영입했다. 루지에로는 싱가포르 합의에 대해 “우리가 10여 년 전 그만둔 협상의 개정판”이라고 비판한 장본인이다. 핵 포기 결단을 하게 하려면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의 대형 은행을 포함해 재정적 고통의 수준을 배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강경파 제재 전문가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전 금언령을 내렸던 ‘리비아 모델’과 ‘최대 압박’ 정책을 볼턴이 직접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슬그머니 부활한 것이다.
볼턴이 힘을 다시 얻은 건 싱가포르 회담에서 북한이 약속한 한국전 미군 희생자 유해 송환과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해체 등 비핵화 후속 협상 이행이 더디기 때문이다. 외교 소식통은 “대규모 유해 송환만 해도 상당 기간 실무적 준비와 협상이 필요한 사안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며칠 내에 올 것처럼 발표를 해버려 상황이 꼬인 것 같다”고 했다. 북한 쪽 송환 채비에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뜻이다.
성미 급한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회담 후 20일 남짓 사이에 이민과 무역·관세 전쟁 등 새로운 국내외 대형 이슈가 터지면서 대북 성과에 조바심이 났다. 협상 책임자인 폼페이오 장관이 김영철 부위원장에게 직접 서한으로 합의 이행을 독촉할 만큼 인내심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을지도 모른다. 더 근본적 문제는 후속 협상에서 신고·검증·폐기라는 비핵화 로드맵에 합의하느냐다. 이번에도 첫 단추를 끼우지 못하면 폼페이오 대신 볼턴이 전면에 나설 수 있다. 두 사람은 어차피 트럼프의 두 얼굴의 한쪽일 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