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litics of divisi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he politics of division

Park Seung-hee, the editor-in-chief of JoongAng Sunday

He was released after his detention warrant expired. He was in custody for 562 days. But he was also sentenced to four years in prison by an appellate court for ordering the blacklisting of artists and writers opposed to the Park Guen-hye administration. So he is not completely free. He now awaits a verdict from the Supreme Court. Nevertheless, he enraged a crowd gathered outside, who broke the window of the car he was riding in. The man I am speaking of is Kim Ki-choon, Park’s former chief of staff.

On the same day of his release, another man was awaiting questioning by an independent counsel. The allegation: conspiring with a group of bloggers to influence online opinion during last year’s presidential election. As he was taking questions from reporters outside, some could be heard shouting, “Arrest him.” Their voices were drowned out, though, by the overwhelming amount of people supporting the man, Kim Kyoung-soo, the governor of South Gyeongsang.

These two contrasting scenes draw the same conclusion: anger is the kindling of our politics. The monster of unconditional support for an ally and disgust for an enemy continues to burn. The reformists advocate that they should be in power for two decades. Lee Hae-chan, who is running for the Democratic Party leadership, argues that a plan to be in power for 20 years is necessary to implement reform. “We have experienced the policies of 10 years under Kim Dae-Jung and Roh Moo-hyun scrapped in just two, three years,” he said. Lee served as education minister under Kim and prime minister under Roh. His experiences might inform this belief.

But the question is whether 20 years in power is really the answer. The driving force of this kind of politics is the dichotomy between good and evil. The argument is that my team is always right, and the righteous should be in power for a long time.

However, history has shown us a different lesson. In Korean politics, good and evil alternate every five years. Even presidents from the same faction saw their groups subdivided into good and evil. In January 2008,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announced a plan to reorganize the government. They came up with strange names like the Ministry of Planning and Finance, the Ministry of Talents and Science, and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education” was eliminated from a government agency’s title. On the name change, those working for President-elect Lee Myung-bak said “education” was taken out because it implied supplying education. Once the name changes, education will change, too, they argued.

I still cannot forget the face of a presenter I met at a restaurant in Samcheong-dong, central Seoul, that day. He claimed that they were good reformists. He boasted that such an idea could be conceived only by a “pragmatic” administration like Lee’s. Unfortunately, education did not change, and the Ministry of Talents and Science changed its name back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meantime, business card printers enjoyed a boost.

Has there been any president elected to a five-year term who did not promise reform? Was there any president who did not have 60 percent, 70 percent approval ratings at the beginning of a term, despite differences in how long he or she remained popular? From Kim and Roh to Lee and Park and now Moon Jae-in, what changed the real outcome was not one faction. It was the votes of people who judged a president and ruling party focused on factions.

Moderates have always made solemn decisions on Korean politics. It was they who made Lee and Park presidents when the passion of Roh’s fan club died down. It was also they, disgusted by the madness of Park supporters, who elected Moon as president. Factions may be a necessary condition but not a sufficient one. So the idea of two-decade rule by one faction might not be the answer.

Those who don’t belong to a faction in Korean politics are watching the politics of anger accumulate tinder. They are waiting for the opportunity to decide who they need more. The idea of winning 20 years in power is false. When the time comes, the answer in Korean politics is always integration and cooperation. As factional rhetoric becomes stronger, the answer also becomes clearer.



박승희 중앙선데이 편집국장

한 사람은 구속기한 만료로 석방됐다. 562일 만이다. 블랙리스트 지시 혐의로 2심에서 징역 4년을 선고받았으니 완전한 석방은 아니다. 대법원 선고를 기다려야 한다. 그럼에도 몰려든 군중은 그가 탄 차의 유리까지 깨뜨리며 분노했다. 그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다.

또 한 사람은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소환됐다. 참고인도 아니고 피의자 신분이었다. ‘드루킹’ 여론 조작 사건에 공모한 혐의다. 포토라인에 선 그에겐 장미꽃들이 던져졌다. 일부가 “구속하라” 외쳤지만 더 많은 이의 “파이팅, 응원해요” 소리에 묻혔다. 그는 김경수 현 경남지사다.

극과 극의 장면이다. 무서운 분노의 정치가 또 하나의 땔감을 쌓았다. 내 편이면 무조건 옳고, 내 편이 아니면 옳지 않다는 진영이라는 이름의 괴물은 이렇게 자꾸 땔감들을 쟁여놓고 있다. 개혁진영 20년 집권론은 그래서 나왔을 게다. 민주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에 출마한 이해찬 후보는 “개혁 정책이 뿌리내리려면 20년 정도는 집권하는 계획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대중 정부ㆍ노무현 정부 10년을 집권했어도 정책이 뿌리를 못 내리고 불과 2, 3년 만에 뽑히는 걸 경험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김대중 정부에서 교육부 장관을, 노무현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냈다. 그런 만큼 경험은 소신이 됐을지 모른다.

문제는 20년 집권론이 해답이냐다. 진영정치의 주 동력은 선(善)·악(惡)의 이분법이다. 늘 옳고, 정의인 내 편이 오래 정권을 잡아야 한다는 논리도 그렇게 도출됐다.

하지만 역사가 우리에게 보여준 교훈은 그렇지 않다. 대한민국 정치에서 선악은 5년마다 바뀌었다. 같은 진영 출신이라 하더라도 대통령이 다르면 또다시 선악이 분화하는 ‘소진영 정치’까지 경험했다. 10년 전 얘기다. 2008년 1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기획재정부·인재과학부·지식경제부 등 생소한 이름의 부처들이 탄생했다.

건국 이래 처음 정부 부처 이름에서 ‘교육’이 사라졌다는 게 당시 신문 기사 제목이었다. 이명박 당선인의 사람들은 교육부 대신 인재과학부로 명칭을 바꾼 데 대해 “교육이란 단어는 공급자 관점에 서 있다는 느낌을 줘 뺐다. 이름이 달라지면 교육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날 저녁 삼청동 식당에서 만난 발표자의 표정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그는 자신들을 선한 개혁자들이라고 주장했다. “실용정부”라서 이런 발상을 할 수 있다고 자랑했다. 미안하게도 이 나라의 교육은 달라지지 않았고 인재과학부는 도로 교육부가 됐다. 그러는 동안 명패 장수, 명함 장수들만 호황을 만났다.

필름을 차분하게 돌려보자. 선거로 뽑힌 5년 임기 대통령 중 ‘개혁’을 약속하지 않은 정부가 있었는가. 기간의 장단 차이는 있지만 취임 초 60%, 70% 지지율을 기록하지 않았던 대통령이 있었는가. 김대중ㆍ노무현에서 이명박으로, 이명박ㆍ박근혜에서 문재인으로 대통령이 바뀌는 동안 승패를 좌우한 건 진영이 아니었다. 진영에만 몰두하는 대통령과 여당을 심판한 건 비진영의 표들이었다.

우리 정치에서 냉정한 판단을 내린 건 늘 중도였다. ‘노사모’의 열광이 식자 이명박과 박근혜를 대통령으로 뽑은 것도, ‘박사모’의 광기에 질려 문재인을 대통령으로 뽑은 것도 비진영 표들이 쏠린 결과였다. 진영은 필요조건은 될 수 있어도 충분조건은 아니었다. 그래서 진영에 기반한 20년 집권론은 정답이 아니다.

진영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지금 진영으로 갈린 분노의 정치가 차곡차곡 땔감을 쌓는 걸 지켜보고 있다. 그러면서 기회를 기다리고 있다. 누가 더 그들에게 필요한지를. 그래서 진영을 앞세운 20년 집권론은 허구다. 때가 되면 언제나 한국 정치의 답은 통합이었고, 협치였다. 진영 논리가 극성을 부릴수록 답은 더 자명해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