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content finds a home offline : Online videos for kids become hits whether on television or the stage
Published: 26 Aug. 2018, 19:02
While many web comics and web novels have been adapted into successful television dramas and films, web dramas and online videos have, up until now, been less likely to be made into content for tradition platforms.
This is because most web dramas and online videos are missing the standard four-step narrative structure that most film or television are looking for. However, since young people are more used to watching video on the internet rather than on television, entertainment works targeting this audience has been increasing.
The third installment of the Pinkfong musical series, which started last month, is an example of online video content that was rearranged for a new audience.
Unlike “Pororo,” “Tayo the Little Bus” and “Hello Carbot,” which all started out as popular animated series for television, “Pinkfong” started out as a video series titled “Family of Sharks.” The series was originally a children’s song that had over 170 million views.
The fox character Pinkfong was added to the series and also became popular. A stage musical based off of the web video titled “Pinkfong Baby Shark” was produced last year and was later followed up by the second musical, “Pinkfong Winter Wonderland.” The third musical premiered last month.
“The simplicity of the story is why a creative composition is possible,” said Choi Jung-eun the creator of Pinkfong and general manager of SMARTSTUDY. The stories revolve around the characters and the missions they have to go through
The web drama “Love Playlist,” the third season of which is expected to air this fall, was also produced into a play in June. The original web story is focused on male and female characters that are friends who start to develop romantic feelings for each other. The series accumulated over 30 million views on YouTube.
The play was a success, with the audience giving the play an average 9.7 out of 10 stars. “After seeing online content like ‘Pinkfong’ and ‘Carrie And Toys’ successfully debut on stage, I thought it would be possible for web dramas that are popular with viewers in their teens and their twenties to also be turned into plays,” said Lee Sang-min the founder of HU:CON Production. “The overall response was great, which is why we are planning to produce another run starting from November.” Lee who originally worked at a professional agency producing family plays later moved on to create HU:CON Productions. The play version of “Love Playlist” was the first play he produced.
Another web drama “A-Teen,” which started in July, is now gaining popularity. Both web dramas are produced by Playlist - a production company made through a joint investment between Naver Webtoon and Snow. “A-Teen” had six million views in a month and a half. Even a song from the show’s soundtrack, sung by K-pop group Seventeen, secured the No. 1 spot in multiple music streaming services. “If ‘Love Playlist’ was targeted towards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target of ‘A-Teen’ is teenagers. [As we are] the first production company to produce a web-drama soundtrack and play, we will try our best to diversify future content,” said Playlist.
Some animated series have successfully gone from television to the web. A supplementary story of the horror animation “The Haunted House” titled “Remember, Ha-ri” is an example. “The Haunted House,” has a viewership rating of 10.82 percent with its main target audience of children aged four to 13, making it the highest rated show on cable channel Tooniverse. “Remember, Ha-ri,” a project between YouTube and Tooniverse, premiered on Aug. 2.
“Unlike most animated series usually viewed by children ‘The Haunted House’ has a strong teenage fandom,” said production director of CJ ENM Seok Jong-seo, the person responsible for leading “The Haunted House” into a success.
“Since [‘The Haunted House’] was an unusual horror animate series and because the main character is designed to attract popularity, we expected that the web drama would be popular with the right target audience,” added Seok.
The movement to eliminate the division between different media platforms is expected to pick up speed in the near future. Shows like MBC’s “My Little Television,” which takes its inspiration from live streaming platforms online, and Marvel’s “Avengers” series are gaining popularity because young people are used to stories that revolve around characters rather than a narrative.
“The bigger the story opens up, the easier it will be for it to graft itself to other genres. The user will also feel more enjoyment with experiencing different [media] platforms,” said Prof. Park Ki-su from the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engineering systems at Hanyang University.
The way of consuming content at a designated time and in a specific sequence is now gone. No longer will the sequel of a certain television show or movie piggyback on the popularity of the original content, but it will be enjoyed by viewers as they try to piece the story together.
“These days, people consume brands like Marvel. This is why shows like tvN’s ‘Just Happened’ and ‘Encyclopedia of Useless Facts,’ which star well-known intellectual personalities, gain popularity,” said cultural critic Kim Bong-suk. “[Viewers] consume content not only through leaving comments but also through real-time chats. If the characters are strong, then they will be able to attract mor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from viewers],” he added.
BY MIN KYUNG-WON
[[email protected]]
잘 빚은 온라인 영상 하나, 열 영화 부럽지 않다
웹콘텐트의 활동 무대가 넓어지고 있다. 네이버TV·유튜브 등 온라인으로 즐기던 동영상에서 출발한 콘텐트가 새로운 형태로 TV와 공연장, 해외까지 진출하는 중이다. 그동안 웹툰·웹소설이 드라마나 영화가 되는 경우는 많았지만, 웹드라마나 웹영상이 출발점인 사례는 흔치 않았다. 분량이 5~10분으로 짧은 데다, 기승전결의 서사 구조를 갖추지 않은 경우도 많아서다. 하지만 어린이·청소년을 포함한 젊은 세대가 TV보다 인터넷을 보는 데 익숙한 만큼, 이들을 겨냥한 작품도 늘고 있다.
지난달 세 번째 시리즈를 시작한 핑크퐁 뮤지컬이 대표적이다. 뽀로로·타요·카봇 등의 캐릭터가 TV 애니메이션과 함께 어린이들에게 인기를 끈 것과 달리 핑크퐁은 동요 영상 ‘상어가족’ 시리즈에서 출발했다. 이 시리즈가 누적 조회 수 17억 뷰를 돌파하는 등 폭발적 인기를 누리면서 영상에 삽입된 여우 캐릭터 핑크퐁도 유명해졌다. 뮤지컬은 지난해 1편 ‘핑크퐁과 상어가족’, 2편 ‘핑크퐁과 상어가족의 겨울나라’에 이어 지난달부터 ‘핑크퐁랜드-황금별을 찾아라’가 공연 중이다. 1편은 오는 9월 8~16일 말레이시아, 11월 2~4일 싱가포르 등 해외 공연을 앞두고 있다.
핑크퐁을 개발한 스마트스터디의 최정은 본부장은 “스토리 라인이 간단한 것이 되려 창의적 구성을 가능하게 했다”고 밝혔다. 캐릭터를 중심으로 단계별 미션을 해결해 나가는 이야기를 만들고, ‘상어가족’ 등 인기 동요와 율동을 곁들여 주크박스 뮤지컬로 재탄생시킨 것. 최 본부장은 “핑크퐁은 초기부터 해외 채널을 함께 운영해 해외 인지도가 높은 것이 강점”이라며 “율동을 따라 하는 영상이 인도네시아·필리핀 등에서 크게 유행했기 때문에 해외투어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하반기에 TV 애니메이션도 내놓을 예정이다.
올가을 시즌3을 앞둔 웹드라마 ‘연애플레이리스트(이하 연플리)’도 지난 6월 연극으로 재탄생했다. 원작은 남사친과 여사친의 썸과 사랑의 경계를 다룬 내용으로 누적 조회 수 3억 뷰를 기록하며 웹드라마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연극도 관객 평점 9.7점을 기록하며 순항하고 있다. 가족공연 전문 기획사에서 일하다 지난해 말 휴콘프로덕션을 설립, 첫 작품으로 ‘연플리’를 택한 이상민 대표는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핑크퐁’ 등 온라인 키즈 콘텐트가 성공적으로 공연 시장에 자리 잡는 걸 보며 10~20대의 지지를 받는 웹드라마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며 “반응이 좋아 11월부터는 오픈런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플리’에 이어 지난달 시작한 ‘에이틴’도 흥행 가도에 올랐다. 두 웹드라마 모두 네이버웹툰·스노우가 공동출자한 제작사 플레이리스트가 만들었다. ‘에이틴’은 공개 한 달 반 만에 누적 조회 수 6000만을 달성하고, 아이돌그룹 세븐틴이 부른 OST 수록곡 ‘에이틴’이 음원차트 1위에 오르는 등 파급력이 거세다. 플레이리스트 측은 “‘연플리’가 대학생 취향의 캠퍼스물이라면 ‘에이틴’은 중고생을 겨냥한 것이 주효했다”며 “웹드라마 최초로 OST를 만들고 연극을 제작한 만큼 앞으로도 콘텐트 다각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로 TV애니메이션의 인기를 바탕으로 웹드라마를 제작한 사례도 등장했다. 지난 2일 유튜브와 투니버스에서 시작한 ‘기억, 하리’가 그 주인공이다. 호러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이 지난 3월 4~13세 타깃 시청률 10.82%를 기록하며 투니버스 채널 최고 시청률로 종영하자 이를 외전 형태로 만든 것이다. 신비아파트에 사는 초등학생 하리·두리 남매와 꼬마 도깨비 신비의 이야기를 다룬 원작은 4년 뒤 고등학교 1학년이 된 하리가 중심인 학원물로 재탄생했다. 지난달 시작해 매진을 이어가는 동명 뮤지컬이나 올여름 67만 관객이 관람한 극장판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과 달리 도깨비는 아예 나오지 않는다.
호러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주인공 하리·두리 남매와 도깨비 신비. [사진 CJ ENM]
‘신비아파트’ 시리즈를 이끈 CJ ENM 석종서 제작국장은 “미취학 아동이 주로 보는 기존 애니메이션과 달리 중고생 팬덤이 형성될 정도로 시청 층이 넓었다”며 “호러 애니메이션이란 독특한 장르와 남자주인공 최강림 캐릭터가 인기를 견인했기 때문에 타깃 시청층에 맞춰 웹드라마를 만들면 소구력이 있을 것으로 봤다”고 밝혔다. ‘신비아파트’를 좋아하는 청소년들은 뮤지컬도 반복 관람하는 등 충성도가 높은 편이다.
이처럼 플랫폼의 경계를 허무는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개인방송을 TV에 접목했던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나 아이언맨부터 블랙 팬서까지 한데 모인 마블 영화 ‘어벤져스’ 시리즈처럼, 서사보다 캐릭터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데 익숙한 세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박기수 교수는 “이야기의 개방성이 커질수록 다른 장르와 접목이 쉬울뿐더러 수용자 역시 플랫폼을 오가며 콘텐트를 즐기는 것에서 더 큰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해진 시간에 순서대로 콘텐트를 소비하는 방식이 무너지면서 나중에 등장한 콘텐트가 원작의 후광 효과를 누리는 것이 아니라, 느슨한 연결고리만 있어도 이용자 스스로 이야기 조각을 찾아 나서는 것 자체를 즐긴다는 얘기다.
김봉석 대중문화평론가는 “지금은 마블처럼 브랜드를 소비하는 시대라서, 지식인 캐릭터를 앞세운 tvN ‘어쩌다 어른’이나 ‘알쓸신잡’이 호응을 얻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며 “댓글뿐 아니라 실시간 채팅을 하며 콘텐트를 소비하기 때문에 캐릭터를 강화할수록 더 높은 몰입도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경원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