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uade the public firs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ersuade the public first (KOR)

The Blue House plans to have the cabinet approve the April 27 declaration following the first summit between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to ready it for legislative endorsement.

The opposition is hardly likely to give its formal blessing to it when similar ceremonies were not held after the 2000 and 2007 summits.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may be aiming to ensure that the agreements remain intact and avoid the fate of earlier ones that were trashed by conservative governments.

North Korean leader Kim reportedly asked for a legislative stamp on their agreement made at Panmunjom, and Moon may be hoping to take it as a gift when he goes to Pyongyang next week.

But there is no hurry in institutionalizing the statement, which contains figurative and hopeful rhetoric rather than specific and binding details. On denuclearization, the statement said the two leaders “confirmed the joint goal of making the Korean Peninsula nuclear free through complete denuclearization.” There is no way for Seoul to force Pyongyang’s denuclearization through the joint statement. On inter-Korean economic projects, the two agreed on “comprehensive” cooperation.

If what was declared at Panmunjom gains legal standing through a legislative approval, Seoul can earmark spending for North Korean projects. Since the first summit in April, however, North Korea has not made any meaningful steps towards denuclearization. There are even reports that it has continued with its nuclear program.

A legislative endorsement on economic projects for North Korea amid little progress in denuclearization cannot win support from the public. As it has happened to previous liberal presidents, Moon will come under attack for being overly generous to Pyongyang and stoke division in South Korea over inter-Korean dialogue.

The government must not hasten the endorsement without easing lingering public concerns and doubts.

JoongAng Ilbo, Sept. 10, Page 34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절대 서두를 일 아니다
청와대가 11일 국무회의에서 '4.27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안을 의결해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6.15 나 10.4 남북공동선언 때도 하지 않았던 국회 비준 동의를 야권의 반발을 무릅쓰고 밀어붙이는 의도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합의된 두 공동선언이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휴지조각이 된 것을 감안해 판문점 선언은 정권이 바뀌어도 손을 댈수 없도록 대못을 박겠다는 속내일 것이다.
판문점 선언 비준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핵심 요구 사항인 것으로도 젼해졌다. 정부로선 18~20일로 잡힌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방문 전에 국회의 비준 동의를 받아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을 것이다.
하지만 비준은 절대 서두를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판문점 선언엔 "~하여야 한다"는 법적 구속력을 갖춘 조항이 하나도 없고 "~하기로 하였다"는 선언적 조항만 있다. 우리의 최우선 현안인 북한 비핵화에 대해 선언 말미(3조4항)에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였다"고만 한 것이 대표적이다. 판문점 선언을 갖고 북한에 '법적으로' 비핵화를 강제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반면 남북경협과 관련해선 비핵화 조항보다 훨씬 앞선 1조 1·4·6항에서 '포괄적 협력'을 선언하고 있다.
이런 판문점 선언이 비준돼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내게 된다면 정부는 대북 지원에 대규모 국가예산을 투입할 명분을 갖게 된다. 그러나 북한이 판문점 선언 이후 넉달 반이 지난 지금까지 취한 가시적인 비핵화 조치는 전무하다. 오히려 이 기간중 핵개발을 계속해 핵무기 개수를 더욱 늘렸다는 소식만 있다.
이런 마당에 북한의 비핵화엔 아무 힘도 쓰지 못하고, 정부의 대북 지원에만 날개를 달아줄 우려가 있는 판문점 선언 비준은 국민의 공감을 얻기 어렵다. 오히려 '퍼주기' 논란이 재연되고 국론 분열이 극심해져 남북대화의 동력이 약화될 우려가 크다. 정부는 비준을 서두를 것이 아니라, 이같은 우려에 대해 국회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설명부터 내놔야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