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ortance of Englis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importance of English (KOR)

KIM SU-JEONG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In Korea, English language skills are a key source of stress. Former Foreign Minister Kim Sung-hwan told me that when he was the North American section chief, “Those who didn’t have English speaking skills were stressed after joining the ministry and practiced in the field. It was inevitable that their pronunciation was not good. But what was important were their contents and rhetoric.” Within the Foreign Ministry, there are rumors that an official did not want anyone accompanying him when receiving a foreign guest because he didn’t want others to know about his English skills. But this is in the past.

Foreign Minister Kang Kyung-hwa, who worked as an interpreter for President Kim Dae-jung, addressed the often lacking English skills of Korean diplomats. As their limited skills do not suit the national status and strength of Korea, the Foreign Ministry is revising its language assessment and training system. Many feel that it is an appropriate point to address, as the ministry is dealing with national interests. But some say that the minister is stressing English because she is known for her fluent English, and point out that the section on ending the war in the Panmunjom Declaration submitted to the United Nations was translated to fit the English translation by North Korea.

A similar incident occurred in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 on Sept. 14. When asked whether English skill was an important quality for the position of foreign minister, Japanese Foreign Minister Taro Kono said it was. The media and the foreign minister were at odds over having the opening statements of meetings in English. Minister Kono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and interned at the U.S. Congress. Coincidentally, the foreign ministers with the best English skills in their countries’ history are in office in both Korea and Japan. They freely communicate in English and are said to be closer than the foreign ministers in the past.

Proficient language skills enhance the productivity of diplomacy, especially for the heads of overseas delegations at the frontlines of diplomacy with resident countries. The special mission chiefs appointed by the president are in key countries, including the so-called “big four” ambassadors to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Some of them have trouble communicating in English, not to mention the local language. Even powerful countries whose diplomats are influential don’t send someone without language skills to key countries. When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was China’s Ambassador to Japan, he used his native-level Japanes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Japanese elites, including Japanese monarch Akihito and his wife.

Those at the core of the administration are treated well even if they have limited English skills, but those with neither influence nor language skills will find it hard to fulfill their duty. When Kang addressed Korean diplomats’ subpar English skill, many diplomats wondered why the English and second foreign language tests were not included when the special mission chiefs were selected.

JoongAng Ilbo, Sept. 17, Page 35

영어가 뭐길래 김수정 논설위원

한국에서 영어는 예제없이 스트레스 요인이다. “우리 땐 학창 시절 외국 연수를 한 사람도 별로 없었다. 영어 회화가 부족한 사람은 입부해서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현장에서 갈고닦았다. 발음 안 좋은 건 어쩔 수 없다. 중요한 건 콘텐트와 그걸 풀어나가는 논리다.” 김성환 전 외교통상장관이 북미국장 시절 들려준 얘기다. 외교부에선 “외국 손님이 방문하면 배석자를 두지 않는 선배가 있었는데, 알고 보니 영어 실력이 들통날까 봐 그랬던 것”이란 얘기도 전해 온다. 다 오래전 일이다.
김대중 대통령의 영어 통역관 출신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우리 외교관들의 영어 실력을 지적했다고 한다. 한국의 국격, 국력에 못 미친다는 질타에 따라 외교부가 어학평과와 교육제도 개편에 착수했다는 보도다. “국익이 맞붙는 현장인 외교부에서 당연히 했어야 할 지적”이라는 호응도 있지만, “장관의 특기인 영어만 강조한 것” “유엔에 제출한 판문점 선언의 종전선언 부분을 북한 측 영문 번역본에 맞춰 번역한 것부터 해명하라”는 쓴소리도 나온다.
지난 14일 일본 외무성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났다. 고노 다로 외상이 ‘일본 외무대신의 자질로 영어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회담의 모두발언을 영어로 진행하고 있는 고노 외상과 언론의 신경전 여파였다. 고노 외상은 미국에서 유학하고 하원에서 인턴생활도 오래 했다. 공교롭게도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 역사상 영어 실력이 가장 뛰어난 장관이 자리에 앉아 있는 셈이다.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두 사람은 과거 양국 외교장관들보다 친밀하다는 게 외교가의 전언이다.
막힘없는 언어는 외교의 생산성을 높인다. 상대국과의 외교 최전선에 가 있는 재외 공관장은 더할 나위 없다. 직업 외교관 출신이 아닌, 대통령이 특별히 임명한 '특임공관장'들은 미·중·일·러 등 이른바 4강 대사를 비롯해 주요국 공관에 나가 있다. 이 중엔 현지어는 물론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도 힘겨운 대사들이 있다. 외교관이 국력의 후광을 받는 강대국들도 이렇게는 하지 않는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주일대사 시절, 원어민 수준의 일본어로 아키히토 일왕 내외 등 일본 고위층과도 교분을 쌓았다.
정권 핵심에 있는 인사라면 어학실력이 부족해도 '대접'은 받지만, 이도 저도 아니면 그야말로 '혼밥' 신세다. 강 장관이 외교관들의 영어 실력이 국격에 못 미친다고 질타할 때 많은 외교관이 이들을 떠올렸을 것이다. 그 중요한 영어시험(제2외국어 포함)을 지난번 특임공관장 선발 때는 왜 빼버렸을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