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ght time for a hik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right time for a hike? (KOR)

The Bank of Korea (BOK) finally raised its policy rate on Friday. During this year’s final monetary policy meeting, the benchmark rate went up to 1.75 percent from 1.5 percent in the first move after rising from a record-low of 1.25 percent in November 2017. But, the timing was a bit awkward.

A policy rate is raised to adjust inflation or the pace of growth. But the move was made in Korea at a time when the economy has been sinking. The industrial output data for October released on Friday showed all indicators pointing to negative prospects. The coincident index, measuring how the economy was doing, slipped for the seventh month in a row. At a recent National Assembly hearing, chief of Statistics Korea Kang Shin-wook said that the economy was in a downturn. Jobs show little sign of improvement.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d other institutions have all downgraded their estimates for Korea’s growth outlook for next year.

The BOK’s hike aimed to address household debt and the widening gap with U.S. interest rates. Household debt reached 1,514 trillion won ($1.3 trillion) at the end of September, adding 95 trillion won on year. The central bank needed to interfere to tame debt levels before bubbles from cheap liquidity blow over. A wider spread with the U.S. interest rates also could spur foreign capital to leave the Korean market. But tightening in the United States and buildup in household debt have been factors throughout the year. The hike should have been made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when economic conditions were better.

Higher interest rates could further dampen corporate and consumer spending. Fiscal actions must be matched to compensate for higher borrowing costs. Yet the government remains obsessed with income-led growth, which does not help hone productivity and corporate investment. The Korean economy is in danger of falling into a vicious cycle with job insecurity worsening demand and growth. The government must act fast to remove unnecessary regulations and relax the rigidity in the labor market to make jobs in new sectors.

Authorities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vulnerable class that could turn delinquent on their loan payments when interest rates go up. There were 350,000 borrowers who regularly missed their monthly obligations when the benchmark rate was at 1.25 percent last year. Consumers have had to turn to non-banking lenders charging higher rates since then because the government toughened bank loan regulations to rein in housing prices. Without backup measures, the hike will harm financial security.

JoongAng Sunday, Dec. 1, Page 34

때 놓친 금리 인상…정책 틀지 않으면 경제에 독 될뿐
한국은행이 어제 기준금리를 올렸다. 1.5%에서 1.75%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 지난해 11월 1.25%에서 1.5%로 조정하고 1년 만이다. 시기는 묘하다. 보통은 경기와 물가 상승 속도를 조절하려고 금리를 올리는 법이다. 하지만 지금은 경기가 가라앉는 국면이다.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을 봐도 그렇다.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7개월 연속 하락했다. 강신욱 통계청장은 최근 국회에서 “경기가 하강 국면에 있다”고 했다. 고용은 절벽이고 투자ㆍ생산도 여의치 않다.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기구들은 내년도 세계 경제 성장률을 잇달아 하향 조정하고 있다.
그런데도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린 것은 가계부채와 미국의 금리 인상 때문이다. 올 9월 말 가계부채는 1514조원으로 1년 새 95조원 증가했다. 빚이 소득보다 빨리 늘어 돈줄을 죌 필요가 생겼다. 한국보다 금리가 높은 미국으로 돈이 빠져나갈 우려도 커졌다. 그러나 가계 빚과 미국 금리 조정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경기 상황이 나았던 올 상반기에 금리를 올리지 않았다가 때를 놓쳤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금리 인상은 자칫 투자와 소비를 더 냉각시킬 수 있다. 대책이 시급하다. 금리 인상에 어울리게 경기를 끌어올려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고용 참사를 일으킨 소득주도 성장에만 집착하고 있다. 고용 불안→소비 감소→경기 침체의 악순환에 빠질 우려가 있는 데도 그렇다. 여기서 벗어나 하루빨리 규제를 혁파하고 노동 시장을 유연화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틀어야 한다. 그래야 신산업 일자리가 늘고 경기가 살아날 수 있다. 또한 이자 부담으로 한계에 몰릴 취약 계층을 고려해야 한다. 지난해 기준금리가 1.25%일 때도 빚 갚기 힘든 한계 차주가 35만 명이었다. 그 뒤 집값을 잡겠다며 정부가 주택담보 대출을 옥죄는 바람에 이자가 높은 신용대출 등으로 서민들이 몰렸다. 금리 인상까지 겹쳐 한계 차주는 훨씬 늘었을 터다. 이에 대한 대책이 없다면 금리 인상은 경제에 득이 아니라 독이 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