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fine system needs work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ew fine system needs work (KOR)

The ruling Democratic Party (DP) and Ministry of Justice are mulling a relative penalty system of imposing fines in proportion to violators’ wealth or business conditions. Justice Minister Cho Kuk proposed the idea ahead of a confirmation hearing earlier this month. He seems to believe that the current penalty system imposing a fixed amount of fines regardless of offenders’ wealth can be “cruel and crippling to common citizens, but its effect on wealthy people is minimal.” The belief also had been shared by President Moon Jae-in during his presidential campaign.

But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why the radical move must take place at a sensitive time when the prosecution’s investigation on Cho’s family is picking up. The idea behind the so-called day-fine is to have offenders of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committing the same crime pay the same portion of their wealth instead of the same absolute amount of money. Under the system, a judge determines fines per day based on the convicted individual’s financial status and the severity of the crime. For instance, Germany has a range of fines from 1 to 30,000 euros ($33,125), France from 1 to 1,000 euros, Austria 4 to 5,000 euros, and Switzerland 30 to 3,000 Swiss francs ($3,000).

The ministry plans to gauge opinions from various corners to design a day-fine system that fits Korean conditions. The move is nothing new. It was proposed in 1986 and has been sought for since then. A similar bill is pending at the National Assembly. Critics point to the imbalance on the façade if people are fined differently for the same crime.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enalty aimed at de-incentivizing to prevent the repetition of wrongdoings if fines are too light. The sentencing could also be lengthened for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offender’s wealth. Salary earners whose pay is transparent could also be disadvantaged vis-a-vis the self-employed whose incomes are not as clear.

The court’s administrative office pointed out that if wealth becomes a major factor behind sentencing, it could go against the principle of criminal liability.

The party and government have paid too little thought on the long-mooted issue. The British revoked the relative fining system after the sentencing on one offender with 64 pounds and the other 640 pounds in a case involving mutual assault caused controversy. Korea should take a more discreet approach as society is already touchy and resentful over the issue of unfairness.

JoongAng Ilbo, Sept. 19, Page 30

재산비례 벌금제, 더 신중해야 한다
재산이 많을수록 더 많은 벌금을, 경제 상황이 나쁘면 더 적은 벌금을 물리는 ‘재산비례 벌금제’를 더불어민주당과 법무부가 추진한다. 조국 법무부 장관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둔 지난달 26일 후보자 신분으로 발표해 논란이 일었던 정책이다. 당시 딸의 특혜 의혹을 돌파하려는 포퓰리즘 정책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현행 벌금제(총액벌금제)가 “서민에게는 지나치게 가혹하고 부유층에게는 형벌의 효과가 미약하다”는 게 조 장관의 입장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해서 여당은 밀어붙일 기세다.
조 장관 가족에 대한 검찰수사가 속도를 내는 시점에 파격적인 제도를 추진하는 당정의 의도에 대한 의심을 차치하고도, 재산비례 벌금제는 많은 논란거리를 내포하고 있다. ‘일수벌금제’라고도 부르는 이 제도는 판사가 범죄에 대한 벌금 일수를 정한 뒤 범죄자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산정된 1일 벌금액을 곱해 벌금액을 정한다. 빈부 차이에 따라 1일 벌금액을 수백~수만 배 달리 설정해 ‘형벌의 실질적 평등’을 구현한다는 취지다. 독일은 1일 벌금액을 1유로에서 3만 유로(약 1300원~3900만원)까지 차이를 둔다. 프랑스(1~1000유로), 오스트리아(4~5000유로), 스위스(30~3000프랑) 등의 입법례는 다양하다.
법무부는 “각계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실정에 맞는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어느 정도 입법 취지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돼 1986년부터 몇 차례 추진되다가 좌초됐고 현재 국회에 유사법안이 계류돼 있다. 우선 똑같은 범죄를 저지르고 훨씬 적은 벌금을 냈을 때 발생하는 ‘외형상의 불평등’ 문제가 지적된다. 가벼운 벌을 받는 범죄자에게 범죄 예방 및 계도 효과가 있을지도 의문이다. 피고인의 재산 상태를 투명하게 조사할 현실적 방안도 마땅치 않아 신속한 재판을 받을 헌법상의 권리가 침해될 수 있다. ‘유리 지갑’인 월급소득자는 재산 파악이 어려운 자영업자에 비해 더 비싼 벌금을 내는 역차별을 당할 수 있다. 법원행정처는 “재산이 양형의 주된 변수가 되면 ‘책임이 없으면 형벌이 없다’는 책임주의 원칙에 반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당정의 어제 발표는 오랜 기간 누적된 이런 우려에 대한 고민이 부족해 보인다. 1992년 같은 제도를 시행한 영국은 쌍방 폭행 사건에서 한 피고인에게는 64파운드, 다른 한 명에겐 640파운드의 벌금이 선고되면서 논란이 일자 6개월 만에 총액벌금제로 회귀했다. 불공정과 특혜 논란에 휩싸인 지금의 한국에서는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