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lyzed checks and balance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aralyzed checks and balances (KOR)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PSPD) that has long been Korea’s iconic NGO is facing its biggest challenge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94. The liberal civic group confronts a brewing internal conflict over its role as a government cheerleader. Cho Hye-kyung, a member on the Center for Economic and Financial Justice, wrote in a community site that the PSPD has left a “lasting stain” in its 25-year history following the debacle over former Justice Minister Cho Kuk. The center head and accountant Kim Kyung-yul also fell out with the PSPD leadership that stood behind Cho who used to be its member. Before Cho’s ouster, Kim demanded Cho to resign from public office, raising questions over the private fund his family invested in.

They were critical of the NGO’s abandonment of its role as a watchdog over powers with partiality to a government employee who used to be one of its own.

Internal disgruntlement has been simmering from excessive recruitment of the NGO figures for government posts b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ll the presidential policy chiefs — Jang Ha-sung, Kim Soo-hyun and Kim Sang-jo — have served in the PSPD. Cho Kuk, Unification Minister Kim Yeon-chul and Tak Hyun-min, chief of the presidential protocol office, also came from the PSPD. When including Seoul Mayor Park Won-soon and Cho Hee-yeon, superintendent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PSPD has been a hotbed for the human resources for the ruling power.

The partiality of the PSPD has upset the checks- and-balances mechanism in democracy. An NGO that used to play a pivotal role as a ruling power watchdog now keeps mum on state affairs. An ex-PSPD member wrote that the NGO tried to keep its distance from political power in order not to lose balance despite internal differences in the past. But it has lost balance under the Moon administration.
PSPD must return to its original civic role as mandated in its foundation declaration. The NGO must serve to “safeguard civilian rights” by monitoring and reporting power abuses.

JoongAng Ilbo, Nov. 6, Page 30

'관변 단체' 자초한 참여연대 '전관예우' 멈추라
한국 대표 시민단체로 불렸던 참여연대가 1994년 설립 이래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관변(官邊) 시민단체로 전락했다”는 내부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조혜경 실행위원은 최근 인터넷 회원 게시판에 “‘조국 사태’를 통해 참여연대는 25년 역사에 씻기 어려운 오점을 남겼다”며 지도부 총사퇴를 요구했다. 앞서 경제금융센터 소장이자 참여연대 공동 집행위원장이었던 김경율 회계사는 “조국 장관과 관련된 사모펀드는 권력형 범죄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조 전 장관을 옹호한 지도부와 반대로 장관직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의 비판 요지는 “시민단체의 사명인 권력감시를 참여연대 출신 공직자에게는 하지 않았다”는 반성이다. 조 전 위원은 이를 ‘참여연대 방식의 전관예우’라고 일갈했다.
참여연대 내부 불만이 곪아 터지기 이전부터 정부와 정치권의 참여연대 편중 인사에 대한 불안감은 컸다. 장하성-김수현-김상조로 이어진 역대 청와대 정책실장이 모두 참여연대 출신이고, 조국 전 장관과 김연철 통일부 장관,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탁현민 전 청와대 행정관 등 영향력 있는 정ㆍ관계 인사가 참여연대를 간판으로 달았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까지 더하면 ‘참여연대 마피아’, ‘한국 최고 대학은 참여연대(大)’라는 비유가 설득력 있다.
상식의 선을 넘은 편중은 민주주의의 핵심 작동 원리인 견제와 균형을 마비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역대 정부를 향해 끊임없이 비판의 날을 세웠던 시민단체가 국가적 갈등을 폭발시킨 조국 사태에 얌전한 고양이가 되게 하는 ‘역대급 내로남불’이 자행됐다. 조 전 위원은 “과거에도 참여연대에는 늘 의견 차이가 있었고 정치적 거리 두기와 균형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들어 중심을 잡는 일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토로했다.
참여연대는 권력감시가 아닌 권력잡기로 빠진 탈선을 당장 멈춰야 한다. “명실상부한 나라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매일매일 국가권력이 발동되는 과정을 엄정히 감시하는 파수꾼이 되어야 한다”는 창립선언문의 정신을 더는 훼손하지 말길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