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astrophysics on YouTub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arning astrophysics on YouTube (KOR)

YUN SEOK-MAN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editor and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I learn astrophysics on YouTube.” On Nov. 25, I gave a lectur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newly appointed judges at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and I asked the future judges whether they knew what “singularity” meant. It refers to the point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supersedes human capability, a concept from physics. The center of a black hole where curvature and density of time and space become infinite is called singularity.

While it is a difficult idea that people who did not major in physics would not know, one judge explained it accurately. When I asked if he was a science major or reads physics books, he said no. Instead, he is interested in space and likes to watch YouTube. Others also said they learn various knowledge on YouTube. A judge who worked at a law firm before being appointed said he often looked up precedents on YouTube.

YouTube is now a school. You can learn how to cook and how to change a car battery. Lately, it is expanding to knowledge beyond simple information. A science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learns quantum physics on YouTube on the weekends. He said he can watch lectures by Nobel Prize winners he doesn’t have access to at school.

Futurist Thomas Frey said that half of universities will disappear by 2030. People go to college for diplomas, but a diploma’s influence is diminishing. As MOOCs — massive open online courses — are rapidly spreading, you don’t need to go to class if you are only listening to the lecture. We only need one professor who is the best at teaching for economics 101. The same goes for basic classes on law and chemistry.
Now, what should professors do? Stanford University’s Chief Technology Office Paul Kim says professors should engage in coaching, not teaching. The role of teachers and professors in the future is to provide insight and perspective for students to explore knowledge and build problem-solving skills on their own.

To change the cramming method of education that makes students write the right answer even when the problem is wrong, teachers and professors must change first. They should be more sensitive to changes in technology and social environment. Classes should focus on discussion-centered creative learning. No professor should use an outdated syllabus out of mannerism.

Until the 20th century, education was supply-oriented. As admission resources were overflowing, there was a shortage of instructors. But now, the needs of students — the users — come first. The University of Bologna, the oldest university in the world founded in the 11th century, weeds out incompetent professors and obsolete majors after consultation with students. If a university is not as good as YouTube in the 21st century, what should we do with it?

JoongAng Ilbo, Dec. 23, Page 30

“유튜브로 우주물리학을 배웠습니다” 윤석만 사회에티터 겸 논설위원
“유튜브로 우주물리학을 배웠습니다.” 지난달 25일 사법연수원의 신임 법관 교육. ‘4차 혁명’을 주제로 강의하던 중 예비 판사들에게 ‘싱귤래리티(singularity·특이점)’의 뜻을 물었다. 이는 ‘인공지능(AI)이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시점’을 뜻하는 말로 물리학 개념에서 따왔다. 시공간의 곡률과 밀도가 무한대에 이르는 블랙홀의 중심을 특이점이라고 부른다.
전공자가 아니면 알기 어려운 내용인데도 법관 한 명이 정확히 설명했다. 이과 출신이거나 물리학 서적을 즐겨 읽느냐고 물었더니 아니란다. 대신 우주에 관심이 커 유튜브를 자주 본단다. 다른 이들도 유튜브를 통해 여러 지식을 얻는다고 했다. 임관 전 로펌에서 일했다는 한 판사는 “유튜브에서 판례를 찾아보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했다.
유튜브는 이제 학교다. 음식 조리법부터 자동차 배터리 교환법까지 많은 정보를 유튜브에서 얻는다. 최근에는 단순 정보를 넘어 지식의 영역까지 확장 중이다. 서울의 한 과학고생 A군은 주말엔 유튜브로 양자역학을 배운다. 그는 “학교에서 접하기 어려운 노벨상 수상자들의 강의도 맘껏 볼 수 있다”고 했다.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는 “2030년 대학의 절반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졸업장 때문에 대학을 갔는데 이제 그 영향력도 줄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엔 ‘온라인 공개 수업(MOOC)’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일방적인 수업을 들을 거면 굳이 강의실에 갈 필요가 없다. 단적으로 말해 경제학개론 교수는 강의력이 제일 뛰어난 한 명만 있으면 된다. 법학개론, 화학개론 등도 마찬가지다.
그럼 이제 교수는 무엇을 해야 하나? 스탠퍼드대 CTO(최고기술책임자)인 폴 킴은 “티칭(teaching)이 아니라 코칭(coaching)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학생 스스로 지식을 탐구하고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게 인사이트와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 미래 교수·교사의 역할이다.
지금처럼 틀린 문제를 내도 정답을 써내는 주입식 교육을 바꾸려면 교수·교사가 제일 먼저 변해야 한다. 기술·사회 환경의 변화에 더욱 민감해야 하며 수업도 토론 중심의 창의적 학습으로 달라져야 한다. 과거의 관성대로 철 지난 교안을 그대로 강의하는 교수는 이제 없어야 한다.
20세기까지 교육은 공급 우위였다. 입학자원이 넘쳐났고 가르칠 사람이 부족했다. 그러나 지금은 수요자인 학생의 니즈가 절대적이다. 최초의 대학인 11세기 볼로냐 대학도 능력 없는 교수나 배울 게 없는 전공은 학생들이 논의해 퇴출했다. 하물며 21세기에 유튜브보다 못한 대학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