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p Year economics (KOR)
Published: 13 Feb. 2020, 19:51
The author is the content production editor of the JoongAng Ilbo.
This year is Leap Year, which returns every four years. February in 2020 has 29 days instead of 28 days. It is also the year of the Summer Olympics.
A leap year has significant economic effects, most notably the positive growth of the Japanese economy in the first quarter of 2016. While negative growth was expected due to the strong yen and global economic downturn that year, it turned out that the economy experienced surprising 0.4 percent growth compared to the same period the previous year. Nihon Keizai Shimbun reported that one extra day had the effect of boosting GDP by 0.3 percentage points in the first quarter.
The Summer Olympics, the biggest global sporting event, also plays a role. Sales of electronic items, such as televisions, go up, and rising consumption during the Olympic period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global economy. In fact, the average global economic growth rate for four-year cycles for 48 years from 1972 to 2019 shows that growth rate of the Leap Year was the highest at 3.98 percent. Average growth of non-Leap Years is 3.3 to 3.4 percent, according to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data.
This year is a plus for the Korean economy as well. Exports, which have been in decline for 14 consecutive months, are expected to turn positive in February, with the extra business day.
But I think that’s about it. The negative impact from the coronavirus outbreak is far greater. Capital Economics lowered Korea’s growth rate for this year from 2.5 percent to 1.5 percent out of concern for shrinking exports, production and spending.
As emergency signals are on for the economy before the April 15 parliamentary elections, the ruling Democratic Party is considering a supplementary budget to boost the economy. In order to boost the growth rate, the government wants to create a kind of “artificial Leap Year effect” to prevent losing votes because of our economic downturn.
However, it is not easy to play the supplementary budget card now. It is still early in the year. “The ink on this year’s budget plan is not even dried,” as Vice Prime Minister for Economic Affairs Hong Nam-ki said. If pursued, it will be the sixth consecutive year with a supplementary budget. The budget has been in deficit for 12 consecutive years.
The government cannot delay the discussion on drafting another supplementary budget if the epidemic and consequent economic impact grow. But it should have criticism in mind. I want to quote President Moon Jae-in.
“This supplementary budget is solely because of the government’s incompetence. If the government had properly responded and hadn’t caused a loss in tax revenue because of economic failures, such an astronomical amount of taxpayers’ money would not have been added.”
JoongAng Ilbo, Feb. 13, Page 28사그라진 윤년의 경제 효과 손해용 콘텐트제작에디터 올해는 4년마다 돌아오는 윤년(閏年ㆍleap year)이다. 2월이 하루 더 많은 29일이다. 그해 연도가 4의 배수이면 윤년이다. 하계 올림픽이 열리는 해이기도 하다. 윤년의 경제 효과는 제법 된다. 2016년 1분기 일본의 플러스 성장이 대표적이다. 연초 이후 엔화 강세와 글로벌 경기둔화 영향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됐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전 분기 대비 0.4% 깜짝 성장을 했다. 당시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하루가 늘어난 것이 1분기 국내총생산(GDP)를 0.3%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었다고 전했다. 세계 최대의 스포츠 축제인 하계 올림픽이 열리는 것도 한몫한다. TV 같은 가전제품의 판매가 증가하고, 올림픽 기간에는 각종 소비가 늘다 보니 세계 경제에 긍정적이다. 실제 1972년부터 지난해까지 48년간 4년 주기로 평균 세계 성장률을 구해보면 윤년의 성장률이 3.98%로 단연 높다. 윤년이 아닌 해에는 평균 3.3~3.4%대다.(OECD 자료) 올해 한국 경제에도 득이다. 14개월 연속 전년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한 한국의 수출은 2월부터 플러스로 돌아설 것으로 보이는데, 조업일이 늘어난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해 4분기 1% 이상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도 일정 부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여기까지인 듯싶다.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따른 마이너스 효과가 훨씬 커서다. 수출ㆍ생산ㆍ소비 위축 우려에 영국의 캐피털이코노믹스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5%에서 1.5%로 낮췄다. 이처럼 4월 총선을 앞두고 경제에 비상등이 켜지면서 여권에서는 경기부양을 위한 추경 편성론이 흘러나온다. 쉽게 말해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일종의 인위적인 윤년 효과를 만들겠다는 것인데, 경제 악화로 표가 달아나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말처럼 “올해 예산안 잉크도 마르기도 전”인 연초라는 점, 2015년부터 무려 6년 연속 추경을 편성한다는 점, 정부의 재정상황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가 1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는 점 등에서 추경 카드를 꺼내기가 부담스럽다. 실무 부서인 기획재정부의 고민이 깊어지는 배경이다. 감염 확산과 그에 따른 경제적 충격이 더 커진다면 정부도 추경 논의를 더 미루긴 힘들다. 다만 비판은 염두에 둬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5년 7월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 정부의 메르스 추경에 대해 한 말을 그대로 옮긴다. “이번 추경은 전적으로 정부의 무능으로 인한 것이다. 정부가 제대로 대처했더라면, 그리고 경제 실패로 세수 손실을 만들지 않았다면 이렇게 천문학적 국민 세금이 추가될 일도 없었을 것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