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ice by the slic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Justice by the slice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American philosopher John Rawls (1921-2002) is a scholar who studied the theme of justice for half a century. His 31-page paper titled “Justice as Fairness” in 1958 was the beginning. While it is a short paper, it contains the ideas of the theory of justice he continued to advocate.

Rawls considered justice a process of creating fair rules through social consensus. In order to fairly distribute a pizza, Rawls might say, people who cannot even smell the pizza should be given consideration. He argued that the least advantaged who cannot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rules should be given the greatest benefits. A notable example is priority seating for pregnant women on subway cars in Seoul.

I paid attention to President Moon Jae-in’s inauguration speech in 2017. He said, “Opportunities should be equal, processes fair, and results just.” The address resembles Rawls’ theory on justice in terms of the keywords and narrative.

Moon’s inauguration speech has been challenged since the end of last year. From allegations against former justice minister Cho Kuk to the controversial offering of regular employment status to security guard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his inauguration address has become a buzz topic. Rep. Ha Tae-kyung, an opposition lawmaker, argued that it would be fair if a public corporation gives extra points to contract workers when they want to become regular workers instead of converting their position to comply with the president’s order.

Meanwhile, Blue House secretary for jobs Hwang Deok-soon said that fairness between irregular and regular employees is also important.

Let’s go back to Rawls’ theory of justice. Who is the least advantaged: an irregular employee working as a security guard receiving 35 million won ($29,167) a year or a young jobseeker? According to Statistic Korea’s employment report, real youth joblessness has reached 26.3 percent, the highest in five years. When given the statistics, Hwang said that the switch for contract workers to regular employment does not take away jobs from young people. It’s like saying there is no need to worry because another pizza is coming when actually there is no cheese to bake more pizzas. So I want to ask Moon: “Who is the least advantaged in Korean society, an irregular employee who makes 35 million own or a young job seeker?”



공정으로서의 정의
강기헌 산업1팀 기자


미국 철학자 존 롤스(1921~2002)는 반세기 동안 정의(justice)란 주제를 연구하는데 매진한 학자다. 1958년 펴낸 31페이지 분량의 '공정으로서의 정의(justice as fairness)'가 출발점이다. 에세이 수준의 짧은 논문이지만 훗날 그가 그려낸 정의론에 관한 아이디어가 곳곳에 담겨 있다.

롤스는 정의를 사회적 합의를 통해 공정한 규칙을 만드는 절차로 봤다. 피자 한 판을 공정하게 나눠 정의에 다다르기 위해선 피자 냄새조차 맡을 수 없는 구성원을 배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표현을 빌어오면 “규칙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할 수조차 없는 최소 수혜자(least advantaged)에게 최대한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분홍색 임산부 지정석이 대표적이다.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고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란 대통령의 취임사에 주목한 건 롤스 때문이다. 키워드는 물론이고 문장의 서사 구조도 롤스의 정의론을 빼다 박았다.

대통령의 취임사는 지난해 연말부터 고난의 행군 중이다. 조국 전 장관 의혹을 시작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보안검색 요원의 정규직전환 논란에도 취임사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다. 하태경 의원은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경력 가산점을 주고 청년 취업자에게도 문을 열고 공정하게 경쟁해야 한다”는 주장했다. 반면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공정성도 중요하다”고 맞섰다.

똑같은 취임사를 두고 해석이 제각각인 이유는 문장의 주어가 빠져 있기 때문이다. 다시 롤스의 정의론으로 돌아가자. 연봉 3500만원의 비정규직 보안검색 요원과 청년 취업준비생 중 최소 수혜자는 어느 쪽일까. 통계청의 고용 동향에 따르면 청년 체감실업률은 26.3%로 5년 내 최고 수준이다. 통계를 들이밀자 “기존 청년들의 일자리를 뺏는 것은 아니다(황덕순 수석)”고 피해간다. 더는 피자를 구워낼 여력이 없으니 이를 공정하게 나눠야 한다는 지적에 또 다른 피자 조각이 기다리고 있으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답하는 격이다.

그래서 문재인 대통령께 묻고 싶어졌다. 한국 사회 최소수혜자는 연봉 3500만원의 비정규직인가 아니면 청년 취준생인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