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 grapes in the Blue Hous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our grapes in the Blue House (KOR)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Aesop considering the popularity of his fables. Most people know he was a Greek man living in the 6th century B.C. While not much is known about Aesop, I have to acknowledge his insight into human nature and psychology. One of the most notable fables is the Fox and the Grapes. A hungry fox wants to pick grapes on the vine, but when he can’t reach them, he says he doesn’t want the fruit because it is sour.

American psychologist Leon Festinger (1919-1989) paid attention to this fable and studied how humans cope when they find out that their knowledge is different from reality. And he came up with the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Festinger focused on the aspect of “dissonance” rather than that of cognition. A notable example would be how a jobseeker, who fails to pass an interview, claims that he’s better off because the company will go out of business soon. When their confidence meets the reality of failure, psychological dissonance arises. It’s a kind of psychological law of inertia.

Having confirmed cognitive dissonance, Festinger thought that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dissonance was important when the direction of thoughts collided with experiences and opinions.

An equivalent of a huge psychological laboratory i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proves that the cognitive dissonance theory was right. Minister of Land Kim Hyun-mee declared that statistics could not be trusted after the government’s 24 sets of real estate measures to control soaring housing prices didn’t work. It is a typical denial of reality.

The case of Justice Minister Choo Mi-ae also fits this category. Choo attacked Prosecutor General Yoon Seok-youl for his alleged abuse of special activities allowance but kept mom when the same thing happened in her ministry.

President Moon oversees overall state administration but does not talk about such volatile issues. It is a psychological avoidance to get out of dissonance. Being generous to oneself and being strict to others is the only way to treat cognitive dissonance.

Festinger claimed that the longer you are exposed to cognitive dissonance, the harder it is to get out of it. It is especially so when a group, not an individual, is dealing with cognitive dissonance. He advised that trying to get out of dissonance is a basic human instinct like satisfying your appetite.

You can not look at everything in the world, even human nature, in black and white only, says the cognitive dissonance theory.


인지부조화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이솝 우화의 인기에 비해 이솝의 인지도는 초라할 정도다. 기원전 6세기 무렵에 살았던 그리스인이란 정도만 알고 있을 뿐이다. 이솝에 대해 알려진 건 적지만 인간 본성과 심리를 꿰뚫어 본 통찰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신포도와 여우의 우화가 대표적이다. 굶주렸던 여우는 주렁주렁 매달린 포도를 따기 위해 안간힘을 쓰지는 결국 실패한다. 발걸음을 돌리며 여우가 하는 말. “저건 신포도 일 거야.”

미국 행동심리학자 레온페스팅거(1919~1989)는 이 우화에 주목한다. 알고 있던 지식과 현실이 다를 때 인간이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연구했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게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이론이다.

페스팅거가 초점을 맞춘 건 인지가 아닌 부조화였다. 최종 면접에서 낙방하고 회사를 나서면서 “조만간 망할 회사니 차라리 잘됐다”며 혼잣말을 내뱉는 게 대표적인 인지부조화다. 충만했던 자신감과 불합격이란 현실이 만나는 순간 심리적 부조화가 생겨나는 것이다. 일종의 심리적 '관성의 법칙'이다. 인지부조화를 확인한 페스팅거는 생각의 방향과 경험·의견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부조화를 해소하는 과정 그 자체가 중요하다고 봤다.

문재인 정권 들어서 탄생한 거대한 심리 실험실은 인지부조화 이론이 옳았음을 증명한다. 국토교통부 장관은 20번 넘게 내놓은 집값 대책이 먹히지 않자 통계를 믿을 수 없다고 선언한다. 전형적인 현실부정이다. 법무장관 사례도 딱 들어맞는다. 검찰총장의 특수활동비 집행문제를 지적하다 법무부 내부에서 문제가 불거지자 입을 닫았다.

국정을 총괄하는 문 대통령은 이런 쟁점은 입에 올리지도 않는다. 부조화에서 벗어나려는 심리적 회피다. 인지부조화 관점에서 보면 내로남불은 부조화 증상을 사라지게 만드는 특효약이다. 자기 자신 혹은 내 편에게 느슨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다.

폐스팅어는 부조화에 노출된 기간이 길수록 이에서 벗어나는 게 어렵다고 주장한다. 개인이 아닌 집단이 부조화 상황에 놓여 있다면 더욱 그렇다. 그는 이렇게 조언한다. “부조화에서 벗어나려는 건 식욕해소와 같은 기본적 행동방식이라는 걸 알아야 해요. 인지부조화 이론이 주는 교훈은 인간의 본성을 포함한 세상 모든 게 검은색과 백색 딱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