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we really call marriage a blessing? (KOR)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Can we really call marriage a blessing? (KOR)

CHUN SU-JIN
The author is the deputy head of economic policy teamof the JoongAng Ilbo.



“Men Without Women,” the title of Haruki Murakami’s novel, could be reality in Korea. If the government is working hard to supply apartments for newlyweds to improve the fertility rate, the direction is wrong. Most young people have an implicit consensus on not having children, or at least having less children. They are increasingly tending to not get married, too.

The reason is simple. Both men and women calculate what they lose out from marriage. The new normal of “men without women” and “women without men” is approaching. The social consensus on marriage has an invisible crack that the older generation cannot see. In August, research company M-Brain Trend Monitor surveyed 1,200 adult men and women in Korea, and only 18.1 percen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must get married. According to a recent study by Statistics Korea, single-person households make up a whopping 30.2 percent last year, breaking 30 percent for the first time.

TV personality Sayuri Fujita showed that marriage is not a requirement for having a child. She pioneered the option to have a family without men — for those women who want children but don’t want to get married. Billionaire Nicolas Berggruen became a father of two children in 2016 through an egg donation. If you think that fatherless children are a problem, you are a certified boomer.

You are wrong to think it is out of egocentrism. It is the opposite. The young generation was born and raised in an abundance of capitalism. In 1921, Walter Benjamin wrote “Capitalism as Religion,” but in the pandemic of the 21st century, capitalism is a way of life, not a religion that people can choose to subscribe to. Professor Kim Nan-do’s major keyword in his book “Trend 2021” is the “capitalist kids” generation who have a strict sense of economy.

Young people think that if they cannot share the abundance they experienced with their spouses and children, they’d rather just enjoy economic freedom and engage in meaningful spending alone. Born and raised in apartments, they cannot afford to buy their own and have a hard time finding a job. Adding family members to that mix? No thank you. This generation prioritizes economics over marriage.

How about starting a social debate on the definition of “family?” Japanese writer Junko Sakai cried out in 2006 that unmarried women over 30 without children were not miserable losers. In a meaningful transition, her latest work is titled “End of Family.”

Marriage is clearly a blessing, but a blessing that is hard to defend. If you insist that marriage is the beginning of forming a family, the Republic of Korea can hardly be sustained. That is the current state of marriage economics in the 21st century.


결혼의 경제학
전수진 경제정책팀 차장

‘여자 없는 남자들.’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소설 제목이 한국에선 현실이 될 수도 있겠다. 저출산 해결을 위해 신혼부부용 아파트 공급만 고민한다면 번지수가 틀렸다. 젊은 세대 다수는 저출산을 넘어 비(非)출산에 대한 암묵적 동의를 굳히는 중이다. 비혼 지향성도 뚜렷하다.

이유는 간단하다. 남녀 모두 계산기를 두드려보니 결혼=손해라서다. ‘여자 없는 남자’ ‘남자 없는 여자’가 뉴노멀이 될 시대가 가시권이다. 결혼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기성세대 눈엔 보이지 않는 금이 가고 있는 셈. 지난 8월 리서치 기업 엠브레인이 120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결혼은 꼭 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18.1%에 그쳤다. 통계청이 8일 공개한 바에 따르면 1인 가구 비율은 지난해 30.2%로, 처음으로 30%대 선을 돌파했다.

방송인 사유리 씨는 출산의 필요충분조건이 결혼이 아닐 수 있음을 몸소 보여줬다. 결혼은 별로인데 아이는 원하는 여성에게 남자 없는 가족을 꾸릴 수 있는 길을 개척해줬다. 해외에선 ‘집 없는 억만장자’ 니콜라스 베르그루엔이 이미 2016년 난자를 기증받아 두 아이의 아버지가 됐다. 아비 없는 자식만 문제라고 생각한다면, 찐 꼰대 인증.

이기심의 발로라고 판단한다면 오산. 외려 반대다. 젊은 세대는 자본주의의 윤택함 속에서 나고 자랐다. 발터 벤야민은 1921년『종교로서의 자본주의』를 썼지만, 21세기 팬데믹 시대 젊은 세대에 자본주의는 선택의 자유가 있는 종교가 아닌, 삶이자 생활이다. 김난도 교수의『트렌드 2021』의 주요 키워드가 경제관념이 투철한 ‘자본주의 키즈’ 세대인 것도 이유가 있다. 자기가 경험한 윤택함을 배우자와 자식과 못 나눈다면 차라리 혼자 의미 있는 소비를 하며 경제적 자유를 누리겠다는 게 이들의 사고방식이다. 아파트에서 나고 자란 이들에게 아파트는 자신의 소득만으론 취득 불가능해졌고, 취업조차 어렵다. 그런데 결혼을 해서 먹는 입, 즉 식구(食口)를 늘린다? 언감생심이다. 결혼에도 경제학이 우선인 세대다.

아예 이참에 ‘가족’의 정의에 대해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30대 이상, 비혼, 무자녀 여성이라고 비참한 패배자는 아니다”라고 일찍이 2006년 부르짖은 일본 (여성) 작가 사카이 준코(酒井順子)의 근작이『가족 종료』인 건 의미심장하다.

결혼은 분명 축복이지만, 지키기 어려운 축복이기도 하다. 결혼만이 가족 구성의 시작이라고 한정 짓는다면 대한민국의 존속은 위태롭다. 그게 21세기의 결혼 경제학의 현주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