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and victim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ower and victims (KOR)

PARK JIN-SEOK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Austrian writer Stefan Zweig famously said it was more common for those in power to fear the victims more than the other way around. He described the nature of power as desiring an enemy’s sacrifice but fearing consequences as he discussed the sacrifice of Marie Antoinette.
 
The leaders of the French Revolution had to punish the royal family, the symbol of the old system, but they also feared a reactionary revolt by antirevolutionary groups. On the day of Antoinette’s execution, the powerful mobilized the infantry and cavalry divisions and deployed loaded artillery in Paris from daybreak. Zweig pointed out that countless troops had gathered for a woman who could not think of anything but death.
 
The counterattack of the victim happened twice in Korean courts last week. One of them was Prosecutor General Yoon Seok-youl, who was portrayed by the opposition as a victim. After a court’s ruling supported the top prosecutor following an earlier ruling, he fought back at the power with his second “revival.” As he is leading the potential presidential candidate pool of powerful politicians in polls, Yoon, the victim, showed the “reverse effect of sacrifice.”
 
Chung Kyung-sim — the wife of former Justice Minister Cho Kuk and another person that the power named as a victim — betrayed the sitting power through her devastating fall from grace after she was sentenced to four years in jail last week. Her “innocence” was identified as proof of the power’s moral high ground, and was the basis for prosecution reforms. In a flustered attempt, even Jesus was cited, but the possibility of her salvation looks slim.
 
In the eyes of the power, the sentencing of Chung prompted references to a “judicial cartel” and a “coup,” while the court that pardoned the prosecutor general suddenly became a “mere judge” who delivered “arbitrary rulings.”
 
But a judge’s decision based on their conscience is the authori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three-trial system is in place to avoid suspicious rulings being handed down. They surely know this.
 
Judges don’t have to raise their voice to argue with the powers that be. They are only required to deliver a ruling strictly based on what the law deems is just, their own conscience and of course, common sense principles. That is what power fears the most. 
 
 
 
박진석 사회에디터
 
“희생자가 권력을 겁내는 것 이상으로 권력이 희생자를 겁내는 건 흔히 있는 일이다.”  
 
오스트리아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는 적의 희생을 염원하면서도 후과(後果)를 두려워하는 권력의 속성을 이렇게 표현했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희생을 거론하면서다. 프랑스혁명 주도세력은 구체제 반동세력의 대표격인 왕가에 철퇴를 내려야 했지만, 그게 촉발할 수 있는 반혁명 세력의 ‘반동 소요’를 감내하면서까지는 아니었다. 권력은 앙투아네트가 처형되던 날 이른 새벽부터 파리 시내에 보병과 기병은 물론이고 장전된 대포들까지 총출동시켰다. 츠바이크는 “죽음 이외에는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는 한 여자 때문에 무수히 많은 군대가 집결했다”고 꼬집었다.  
 
앙투아네트가 해내지 못했던 ‘희생자의 반격’이 지난주 대한민국 법정에서 두 번이나 이뤄졌다. 그중 한 명, 권력의 반대 세력이 희생자로 지목했던 검찰총장은 두 번째 ‘부활’을 마무리하면서 권력에 비수를 꽂았다. ‘권력의 사람들’을 모두 제치고 차기 대선 주자 후보군 중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르면서 권력이 우려했던 ‘희생의 역효과’도 제대로 보여줬다.  
 
또 다른 한 명, 권력이 희생자로 명명했던 전직 장관의 부인은 처절한 몰락을 통해 권력을 배신했다. 그의 ‘무고함’을 자신들의 도덕성과 동일시하면서 이른바 검찰개혁의 근거로 삼았던 권력은 경악했다. 당황이 지나쳤던지 예수까지 끌어 붙였지만 구원의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두 희생자의 엇갈린 운명 속에서 그 일각이 무너지기 시작한 권력은 책임을 전가할 또 다른 희생자를 찾아냈다. 법원이었다. 권력의 세 치 혀 속에서 법원은 순식간에 ‘법조 카르텔’의 일원이자 ‘쿠데타’ 세력으로 추락했고, 법관은 ‘자의적 판단’을 남발한 ‘일개 판사’로 전락했다. 사법부가 굳이 그들에게 일개 판사의 (양심에 기반을 둔) 자의적 판단이 바로 헌법이 보장하는 법관의 권한이며, 그 자의적 판단이 실체적 진실과 외떨어진 것일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3심제가 운영된다는 사실까지 알려줄 필요는 없을 듯하다. 그걸 몰라서 하는 말들은 아닐 것이라서다.  
 
굳이 목청 높여 맞설 필요도 없다. 그저 철저하게 법률과 양심, 상식에 따른 판결로 답하면 그만이다. 권력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도 그것일 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