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from King Sejong (KOR)
Published: 28 Mar. 2021, 19:11
The author is a national team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On Oct. 18, 1422, in the fourth year of his reign, King Sejong the Great found a letter of request from a court office in charge of national ceremonies, protocols and education. The office, called Yejo, which is equivalent to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today, was located in Gwanghwamun in downtown Seoul. The request was an appeal for the king to grant days off on every 8th and 23rd day of the month for pupils at higher schools of Seonggyungwan — an elite academy — to allow them to visit their parents and wash their clothes. The king immediately approved the request.
These various types of leave and breaks were systemat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the first to introduce maternity leave for state slaves. In 1430, the king ordered 100s day of leave be given to state slaves that had given birth, and a one-month exemption from labor ahead of their due date. He also ordered 30 days of leave be given to slaves that were new fathers to take care of their wives. The king also institutionalized a 10-day honeymoon furlough for frontline soldiers and 100-day leave for them to return to their hometowns in case of the death of their parents or grandparents.
Some abused the system. King Sejong’s nephew applied for leave in 1447 to visit Jinju. When he did not return to office after his leave ended, the royal inspection office reported it to the king. He instantly sacked his nephew from his job.
Today, we may see a new break to get a vaccine jab. It is one of many new ideas born from the Covid-19 pandemic.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offering a day-off related to vaccination a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have been complaining of a fever and aches after inoculation. It is deliberating whether to make it paid or unpaid leave. But it must not neglect irregular, freelance or contract workers who are not covered by the Labor Act. They must not feel further isolated by Covid-19.
백신 휴가
김현예 내셔널팀 기자
1422년, 세종 4년 10월 8일의 일이다. 지금으로 치면 건의문 한장이 세종의 책상에 올라왔다. 계를 올린 곳은 예조. 국가 의례와 학문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현재의 광화문 거리에 있던 정부 부처였다. 내용인즉슨 이랬다. “성균관(成均館)의 생원과 학당의 생도들이 휴가가 없어 어버이를 뵙지도, 옷을 세탁하지도 못하니 매월 초 8일과 23일에 휴가를 달라”는 것이었다. 세종은 토를 달지 않고 예조의 건의를 바로 받아들였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휴가제도는 세종 때 생긴 것들이 많다. 많이 알려진 것처럼 관노의 산전 휴가를 만든 것도 그였다. 관에서 일하던 노비가 아기를 낳으면 100일의 출산휴가를 준 데 이어 “산기가 임박해 복무하게 했다가 몸이 지치면 집에 가기 전에 아이를 낳는 경우가 있으니 1개월간 복무를 면해주자”(1430년)고 제안했다. 3년 뒤엔 아내가 출산하면 ‘남편 구실을 해야 한다’는 어명과 함께 노비에게도 30일간 남성 육아휴직제도 만들었다. 세종의 다양한 '휴가 복지'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는데, 먼 북방에서 경계근무를 서는 병사들을 위해선 열흘간의 결혼 휴가를 부여했고, 부모나 조부모상(喪)을 당하면 고향 집 거리까지 따져 다녀올 수 있도록 100일 휴가를 줬다.
휴가제가 널리 퍼지면서 골치 아픈 일도 생겨났다. 세종의 조카 순성군 이개가 1447년 겨울, 진주에 다녀온다며 휴가를 냈다. 해가 바뀌기 전에 돌아오겠다던 이개가 명령을 어기고 돌아오지 않자, 왕실 비위 감찰 등을 담당하던 부서인 종부시(宗簿寺)가 발끈해 상소를 올렸다. 보고를 받은 세종은 조카를 그 자리에서 파직(罷職)했다.
60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른 요즘, 새로운 휴가가 생겨날 기세다. '백신 휴가'다. 코로나19가 가져온 신 풍경이다. 백신을 맞고 발열, 근육통 등을 호소하는 접종자들이 생기자 정부가 접종 독려 차원에서 백신 휴가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유급휴가냐, 무급휴가냐를 놓고 고심하고 있지만 정작 배려해야 할 것은 비정규직, 프리랜서, 특수형태 근로 종사자와 같은 근로기준법 적용에서 비켜나 있는 사람들이다. 코로나 한파로 위기에 내몰린 이들에게 또 한 번의 설움을 주지 않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