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igin of K-strateg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origin of K-strategy (KOR)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Korea used to be a vaccine wasteland until about ten years ago. GC Pharma started to mass-produce vaccines at the time of the novel influenza outbreak in 2009. Until the flu outbreak, Korea’s vaccine industry imported undiluted solution, divided it into smaller units and distributed it. Domestic vaccine production increased because of that painful memory. As the novel influenza outbreak led to global vaccine shortages, the Korean government pleaded with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for vaccines.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drastically increased government assistance for vaccine makers and got over the novel influenza outbreak.
 
It was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at raised the vaccine self-sufficiency rate. Hurt by the MERS outbreak, the Park administration devised a policy to increase Korea’s vaccine self-sufficiency rate to 50 percent in 2017. This became the backdrop for Korean bio companies such as GC Pharma and SK Bioscience to actively develop vaccine technology. The Korean disease control that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akes pride in couldn’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accumulated experience and technology.
 
The Korean hydrogen industry was made possible thanks to planning for the future.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first came up with a comprehensive national-level plan for a hydrogen econom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rafted a masterplan to realize an environment-friendly hydrogen economy in 2005. The masterplan, which has a subtitle, “the fuel cell industry and the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redicted that various hydrogen industries, including hydrogel fuel cells, would be needed as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fossil fuel would be strengthened. Due to the growth of the shale gas industry and technological limitations, the hydrogen economy masterplan is yet to be implemented. However, without the masterplan that fills one chapter of national energy policy, Korea’s hydrogen economy wouldn’t have been possible.
 
On May 13, the Moon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K-semiconductor strategy. Most of the future investment of 510 trillion won ($449.3 billion) will be made by private companies. The government doesn’t need to step forward, as the private sector has no reason to be reluctant in making investments in the profitable semiconductor business. The vaccine and hydrogen economy highlighted the reason for the government to exist. The government foresees the future and preemptively makes investments in areas where the private sector is not taking initiative.
 
In 2017, the Moon administration made five state objectives — a government owned by the people, an economy for the prosperity of all, a state that takes responsibility for citizens’ live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a Korean Peninsula of peace and prosperity. As they are abstract goals, I don’t see any tangible future strategy. Cooking is the hard part, anyone can eat a prepared meal.
 
K의 기원
 
강기헌 산업1팀 기자

 
 
 
한국은 백신 불모지였다. 불과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 녹십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백신 대량생산에 나선 건 2009년 신종플루 무렵이다. 신종플루 전까지 국내 백신 산업은 원액을 수입해 소분한 다음 유통하는 데 그쳤다. 국내 백신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난 건 아픈 기억 때문이다. 신종플루 대유행으로 세계적인 백신부족 현상이 이어지자 한국 정부는 다국적 제약사를 찾아다니면 백신을 공급해달라고 읍소해야 했다. 이명박 정부는 백신 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을 대폭 늘렸고 신종플루를 이겨냈다.
 
백신 자급률을 끌어올린 건 박근혜 정부다. 메르스 바이러스에 데인 박근혜 정부는 2017년 백신자급률을 50%로 높이는 정책을 마련했다. 녹십자와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국내 바이오기업이 백신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한 배경이 됐다. 문재인 정부가 자랑하는 K 방역은 이렇게 축적된 경험과 기술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K 수소도 미래를 내다본 계획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수소경제에 대한 국가차원의 종합적 대책을 마련한 건 노무현 정부가 처음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05년 발표한 친환경 수소경제 구현을 위한 마스터플랜이 그것이다. 연료전지산업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비전이란 부제가 붙은 수 경제 마스터플랜은 “화석연료 사용에 대한 환경 규제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라며 “수소 연료전지 등 각종 수소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셰일가스 성장과 기술력 한계로 수소경제 마스터플랜은 실행 단계에 접어들지 못했지만, 국가 에너지 정책 한편을 채운 마스터플랜이 없었다면 'K 수소경제'는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정부가 지난 13일 'K-반도체 전략'을 발표했다. 510조원에 이르는 미래투자 대부분은 민간기업이 맡는다. 정부가 나서지 않아도 돈이 되는 반도체산업에 대한 투자에 민간이 소극적일 이유가 없다. 백신과 수소는 정부의 존재이유를 명확히 한다. 미래를 내다보고 민간이 선뜻 나서지 못하는 분야를 선점해 투자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2017년 발표한 5대 국정과제는 다음과 같다. 국민이 주인인 정부, 더불어 잘사는 경제, 내 삶을 책임지는 국가,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다. 추상적이다. 미래전략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밥 짓는 게 어렵지,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 얹는 건 삼척동자도 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