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he term ‘tapering’ settled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w the term ‘tapering’ settled (KOR)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On April 30, 2013, Jerome Powell, then a member of the 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 said in a policy meeting that the Federal Reserve should give a reasonable and convincing opportunity to taper.

“Tapering” literally means “the process of gradually lessening.” Former Fed Chair Ben Bernanke first used the word on May 22, 2013, in relation to the decision to slow down the pace of asset purchase by the Federal Reserve. Since then, tapering has officially been recognized as a financial term.

At the time, the market responded immediately. The 10-year U.S. Treasury yield rose from 1.6 percent in May to 3 percent in September 2013. Global financial markets fluctuated. Emerging markets could not avoid major outflows of capital. Short-term interest rates soared in China after dollars left at once.

The term tapering was first used in marathon, as it refers to adjusting conditions to the event schedule by reducing mileage or speed without changing the frequency of training. According to website Marathon Online, tapering was first coined by Australian Olympic swimming coach Forbes Carlile and physiology professor Frank Cotton in 1947.

Emil Zatopek, who was nicknamed the “Czech Locomotive,” made tapering widely known. In 1950, he started intensive training for the European Championship but ended up in hospital for two weeks. Two days after he was discharged, he won 5,000-meter and 10,000-meter races, breaking his own records. An unintended rest led him to be in his best physical state.

As the Fed suggested possible tapering within the year at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in July, the Korean stock market plunged. The attention is on the Jackson Hole conference on August 23. Central bank governors and economic experts from major countries gather in Jackson Hole, Wyoming, and possible mentions of tapering cannot be ruled out. Depending on the result, volatility in the global financial market as well as the Korean stock market could grow.

The truth about tapering is simple. Money cannot be released indefinitely, and humans cannot run without taking a rest. Neither financial markets nor marathoners can avoid tapering. Of course, I wish the coronavirus would be an exception.


테이퍼링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연방준비제도는 합리적이고 설득이 가능한 테이퍼(taper)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이사가 2013년 4월 30일 시작된 정책 만남에서 한 말이다. 테이퍼는 ‘점점 가늘어지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그해 5월 22일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는 결정을 할 수 있다”며 테이퍼링(tapering)이란 말을 처음 사용했다. 테이퍼링은 그렇게 금융용어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2013년 5월, 1.6% 수준이던 미국 국채 10년 금리가 그해 9월 3%를 넘겼다. 세계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신흥국은 대규모 자본유출을 피할 수 없었다. 달러가 썰물처럼 빠져나간 중국에선 단기금리가 급등했다.

테이퍼링은 마라톤이 원조(元祖)다. 훈련 빈도에 변화를 주지 않고 달리는 속도나 거리를 낮추거나 줄여 경기 일정에 맞춰 컨디션을 조절하는 것을 일컫는다. 마라톤 전문 홈페이지 ‘마라톤 온라인’에 따르면 테이퍼링란 말은 1947년 미국 카럴레와고턴 박사의 논문에서 처음으로 쓰였다.



이후 ‘인간 기관차’라 불린 에밀 자토펙(1922~2000)이 테이퍼링을 널리 알렸다. 자토펙은 1950년 유럽선수권 대회를 앞두고 강도 높은 훈련에 돌입했다 2주간 병원 신세를 졌다. 퇴원 이틀 후 참가한 5000m와 1만m에서 그는 자신이 세운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우승했다. 강제휴식이 최고의 몸 상태를 만든 것이다. 테이퍼링이 자토펙 현상(Zatopek Phenomenon)이라 불리는 이유다.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국내증시가 급락했다. 이목은 23일로 예정된 잭슨홀 미팅에 쏠린다.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와 경제전문가들이 모인 잭슨홀 미팅에서 테이퍼링 발언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공식적인 테이퍼링 진입이다. 결과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은 물론 세계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수도 있다.

테이퍼링을 관통하는 진리는 간결하다. 돈은 무한정으로 풀 수 없고 인간은 쉬지 않고 달릴 수 없다. 금융시장도 마라토너도 테이퍼링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물론 코로나 바이러스는 예외였으면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