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den’s Afghan fiasco (KOR)
Published: 24 Aug. 2021, 19:43
Updated: 25 Aug. 2021, 11:26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On July 8 in the East Room of the White House, U.S. President Joe Biden said, “There’s going to be no circumstance where you see people being lifted off the roof of an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from Afghanistan. It is not at all comparable.” He was answering a reporter who was comparing the withdrawal from Afghanistan to the U.S. evacuation from Saigon during the Vietnam War.
In the same press conference, President Biden said it was “highly unlikely” that the Taliban would overrun Afghanistan and take control.
Mentioning a possible contingency in Afghanistan at the Hous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on June 7, Secretary of State Tony Blinken said, “If there is a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security, I don’t think it’s going to be something that happens from a Friday to a Monday.”
Coincidentally, the fall of Kabul happened over a weekend and the Taliban took over the entire country. Shortly before the fall, U.S. military helicopters evacuated diplomats from the embassy.
Biden is commonly acknowledged as a “diplomatic” president. He served as the chair of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three times, and President Barack Obama picked him as running mate due to his experience in foreign affairs.
But in the first test of his diplomatic caliber as president, he failed miserably.
A week has passed since the fall of Kabul, but the situation is aggravating and questions grow. President Biden said that the Afghan military, which was supposed to have 300,000 troops, had little will to fight. But is it possible to evaluate an army by ignoring military discipline? There were 2,500 American troops in Afghanistan when Biden was inaugurated. But when most of them withdrew, there were still 10,000 to 20,000 Americans left in the country. Is it possible for armed troops to “escape” before unarmed civilians do? Six thousand more troops were sent again for the evacuation operation.
Some think Biden’s mistake in Afghanistan is a disaster comparable to Jimmy Carter’s naive response to the Iranian hostage case in 1979, George W. Bush’s late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in 2005 and Donald Trump’s inaction against Covid-19 in 2020. Carter and Trump failed to be reelected, and Bush’s approval rating fell from 90 percent to 30 percent in the first year of his second term.
America and Biden’s leadership is shaking. Allies are uncertain whether they can trust the U.S. In the meantime, China is elated to have spotted the weakness. As new variables are added to U.S.-China relations, North Korea could take advantage. Biden’s Democratic Party cannot be optimistic about the midterm elections next year. His reelection is uncertain at this time. As a fluttering butterfly can cause a tornado, I wonder what will happen after his mistakes in Afghanistan.
‘외교’ 대통령의 아프간 실책
박현영 워싱턴특파원
#1. 지난 7월 8일 미국 백악관 이스트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미국대사관 옥상에서 사람을 실어나르는 걸 보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프간 미군 철수가 베트남전 당시 ‘사이공 탈출’과 유사점이 있느냐는 기자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 2. “탈레반이 모든 것을 제압하고 국가 전체를 소유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같은 기자회견에서 바이든은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가능성을 일축했다.
# 3. 6월 7일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장.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아프간 급변 사태 발생 가능성에 대해 “안보가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하더라도 '금요일부터 월요일'까지 일어날 일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카불 함락은 급박하게 돌아간 주말에 일어났고, 탈레반은 아프간 전체를 손에 넣었다. 그 직전 미군 헬기가 대사관에서 외교관들을 탈출시켰다. '바이든 외교팀은 미래를 보는 재주가 있다'는 조롱도 나온다.
바이든은 자타공인 ‘외교’ 대통령이다. 상원 외교위원장을 세 번 맡았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그를 부통령 후보로 선택한 것도 그의 외교 경험을 높이 사서다. 하지만 정작 대통령으로서 중요한 첫 외교 시험대에서는 다채로운 어록만 남긴 채 무참히 실패했다.
카불 함락 일주일이 지났지만, 상황은 나빠지고, 의문은 커진다. 바이든이 30만 대군이라고 주장한 아프간군은 싸울 의지가 없었다는데, 정신력을 무시하고 군을 평가하는 게 가능한가. 바이든 취임 당시 2500명이던 미군이 아프간에서 대부분 철수했을 때 미국인은 1만~2만 명이나 남아있었다. 총 든 군인이 총 없는 민간인보다 먼저 '탈출'하는 게 가능한가. 구출 작전에 병력 6000명이 다시 투입됐다.
바이든의 아프간 실책은 지미 카터 대통령의 1979년 이란 인질 사건 미숙 대응,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늑장 대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무대응과 맞먹는 대재앙이라는 시각이 있다. 카터와 트럼프는 재선을 놓쳤고, 재선 첫해였던 부시는 지지율이 90%에서 30%대로 급락해 조기 레임덕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과 바이든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동맹은 미국을 믿을 수 있겠느냐며 불안해하고, 중국은 미국의 약점을 잡았다며 의기양양하다. 미·중 관계에 새로운 변수가 추가되고, 북한도 빈틈을 노릴 수 있다. 바이든의 민주당은 내년 중간선거 결과를 낙관할 수 없게 됐다. 바이든 재선도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나비의 작은 날갯짓이 토네이도를 일으키듯, 아프간 실책은 어떤 예상치 못한 엄청난 결과로 이어질까.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