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turn of utilitarianism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return of utilitarianism (KOR)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Jeremy Bentham (1748-1832) adhered to his philosophy even after death. His will was to use his body for dissection and then to preserve it for public interest instead of a burial. As he wished, his body was preserved and displayed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His head was separately displayed and was stolen in 1975. After the incident, the head is separately kept in storage. Having participated in the founding of University College London, Bentham is seated at the student center, greeting students today.

The utilitarianism master’s philosophy can be summed up as “pleasure is the only good,” while “pain is the only evil.” It is so-called quantitative utilitarianism. Until the last moment, Bentham was devoted to the utilitarianism he advocated.

It was John Stuart Mill (1806-73) who developed Bentham’s utilitarianism further. A proponent of “qualitative utilitarianism,” Mill asserted that “it is better to be Socrates dissatisfied than a fool satisfied.” He was discontent with qualitative pleasure.

Birth of utilitarianism in Engl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citizens that emerged from economic growth needed a philosophy to confront the aristocrats and elites. “The purpose of morality is to procure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s.” Utilitarianism was a philosophical device to protect the majority from the elite few.

The argument to represent the majority against the minority was intuitive and powerful. Prioritization of the majority over the minority still works as a formula of a democracy. Actually, the history of race, women and sexual minority was a process of fighting against utilitarianism.

Utilitarianism is gathering traction because of the pandemic.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introduce a “vaccine pass” to give benefits to the fully vaccinated. In other words, the 5 million unvaccinated people will be penalized. A petition opposing the vaccine pass was posted on the Blue House petition board. They argue it was a violation of basic rights to give them a disadvantage because there are people who cannot get vaccinated due to health issues.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 that the government boasts of limits the business right of a few business owners for the safety of the majority. Assemblies are banned under the pretext that public’s right to disease control measures should be prioritized. The “vaccine pass” is likely to be introduced with the justification for the majority’s health and safety. The invisible virus is turning back the hourglass of history.

백신 패스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제러미 벤담(1748~1832)은 죽음 이후에도 자신의 철학을 지켰다. 그는 시신을 땅에 묻지 말고 해부실습에 활용하고 박제로 보존해 공공이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의 뜻대로 벤담의 시신은 박제로 만들어져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 전시됐다.

머리는 박제 밑에 따로 전시되다 1975년 도난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도난사건 이후 머리는 창고에 따로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설립에 참여한 벤담은 이 대학 학생회관에 앉아 학생들과 인사하고 있다.

공리주의(功利主義)를 대표하는 벤담의 사상은 “쾌락은 선이고 고통은 악”이란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른바 '양적 공리주의'다. 따져 보면 벤담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자신이 주창한 공리주의에 헌신한 셈이다.

벤담의 공리주의를 발전시킨 건 존 스튜어트 밀(1806~1863)이다. '질적 공리주의'를 주장한 밀은 “만족한 바보보다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되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양적 쾌락에 대한 불만이다.

영국에서 공리주의가 탄생한 건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제성장으로 등장한 시민계급이 귀족 등 소수 특권층과 맞설 수 있는 사상이 필요했다. “도덕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적으로 한다”는 말이 등장한 배경이다. 공리주의는 소수로부터 다수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철학적 장치였다.

소수에 맞서 다수를 대변해야 한다는 주장은 직관적이고 강력했다. 다수가 소수에 앞서야 한다는 건 민주사회의 공식처럼 여전히 작동한다. 인종·여성·성적 소수자의 역사는 이런 공리주의에 맞서는 과정이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공리주의가 다시 힘을 얻고 있다. 정부는 백신접종 완료자에게 혜택을 주는 '백신패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뒤집어 말하면 백신 미접종자 500만명에게 불이익을 주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백신패스에 반대한다는 청원이 올라왔다. 이들은 “알레르기 부작용으로 백신을 맞지 못하는 사람도 있는데 불이익을 주는 건 기본권 침해”라고 주장한다.

정부가 자랑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도 다수를 위해 소수 자영업자의 영업권을 제한한 것이었다. 집회는 공공(다수)의 방역권이 우선이란 명목으로 금지됐다. '백신패스'도 다수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크다.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가 역사의 모래시계를 되돌리고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