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uel month of October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cruel month of October (KOR)

 CHANG CHUNG-HOON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dustry 1 team of the JoongAng Ilbo.


One in four young people are jobless, six out of ten gave up looking for a job, and three in 100 are reclusive loners. These are the images of young people reflected in various statistics released earlier this month. October used to be the month of dreams, when large corporations begin recruiting. But it has become the cruelest month.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released a survey result that 65 percent of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have given up looking for a job. They gave up because their qualifications were insufficient to find employment. Yet young people today are of the generation armed with various licenses and certificates, such as computer programing, data analysis and e-commerce management.

I am shocked by the September employment statistics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The number of employed increased by 670,000 on-year. Deputy Prime Minister for Economic Affairs Hong Nam-ki, who was visiting Washington DC, welcomed the news, as jobs in the private sector, mostly in services, have recovered despite the fourth surge of Covid-19. But if you look at the 316,000 jobs created in the private sector, they are mostly functional, mechanical and operational positions in food, textile and construction or simple labor in manufacturing, transport, cleaning, security and housework. Almost three-hundred-thousand jobs outside the private sector are public administration and health and welfare jobs with government funding. In other words, half of the newly employed, or 48 percent, are over the age 60, while the employed in their 30s looking for decent jobs actually decreased by 12,000.

Frustrated young people who are unable to find a job have lost confidence. According to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3.4 percent of th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or about 370,000, are recluses who don’t go out except to go to the convenience store. The number increased by 2.4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The increase of reclusive young people was caused by the impact of Covid-19, such as more online classes and less outdoor activities, but prolonged preparation for employment was a decisive factor.

Some research results offer comfort. Jobs at Samsung Electronics, Hyundai Motors, LG Electronics, SK Hynix, Kia Motors and Samsung C&T, which are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increased from 276,948 in 2015 to 300,491 last year, up 8.5 percent. Especially last year, jobs at these seven companies grew 2 percent despite the spread of Covid-19. But when small or medium-sized companies become major corporations, they are subjected to stifling regulations such as the Fair Trade Act, the Financial Holding Company Act and the Commercial Act. The way to make universities flooded with job postings next October is obvious. The government must help companies to create jobs.


'취포족'에게 잔인한 10월이 간다
장정훈 산업1팀장


청년 4명 중 1명은 실업자, 10명 중 6명은 '취포족', 100명 중 3명은 은둔형 외톨이…. 이달 들어 나온 각종 통계에 비친 우리 청년들 모습이다. 대기업 채용시즌이 시작되던 10월은 한때 꿈의 계절이었지만 언젠가부터는 가장 잔인한 달이 됐다.

이달 초 한국경제연구원은 대학생이나 졸업생 65%가 구직을 아예 단념하고 취업을 포기한 취포족이란 조사결과를 내놨다. 이들이 구직을 포기한 이유는 취업 문턱을 넘기에 자신들의 스펙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이유였다고 한다. 하지만 요즘 청년들은 컴퓨터프로그래밍·데이터 분석·전자상거래관리사 등 각종 자격증으로 무장한 세대다. 그들의 스펙이 낮은 게 아니라 그들이 선망하는 일자리가 부족해 더 높은 스펙 경쟁자에게 밀렸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이달 중순 내놓은 9월 고용동향 통계는 뜨악하다. 취업자 수가 지난해 9월보다 67만명이 증가했다는 것. 마침 워싱턴 출장 중이던 홍남기 부총리는 "코로나19 4차 확산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 중심으로 민간 일자리가 크게 회복되고 있다"고 반색했다. 하지만 홍 부총리가 언급한 민간 일자리 31만6000여개를 들여다보면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대부분이 식품·섬유·건설 분야의 기능·기계 조작직이거나, 제조·운송·청소·경비·가사 관련 단순 노무직이었다. 또 민간을 제외한 28만개는 재정을 투입한 공공행정·보건복지 일자리다. 그렇다 보니 67만명의 취업자 중 절반(48%)이 60세 이상이고, 좋은 일자리를 찾는 30대 취업자는 되레 1만2000명이 줄었다.

취업 문턱에서 좌절한 청년들은 자신감과 자존감을 잃고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30대 중 편의점 정도만 왔다 갔다 할 뿐 집 밖에 나가지 않는 은둔형 외톨이가 3.4%(약 37만명)라고 했다. 한 해 전 2.4%보다 늘었다. '은둔형 외톨이' 청년이 느는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증가나 바깥 활동의 어려움 때문이기도 하지만 취업준비 기간 장기화가 결정적이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조사결과도 있다. 포천 글로벌 500대 기업에 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SK하이닉스, 기아, 삼성물산 등 7개 기업의 일자리가 2015년 27만6948명에서 지난해 30만491명으로 8.5% 증가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에도 이들 기업에선 일자리가 2% 늘었다. 청년들이 가고 싶은 일자리를 만드는 건 결국 기업이라는 얘기다. 그런데도 우리는 중소·중견기업이 대기업만 되면 공정거래법·금융지주회사법·상법 등의 규제로 겹겹이 에워싼다. 다시 10월이 되면 대학가에 구직공고가 넘치게 하는 길은 너무도 자명하다. 기업을 키워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