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s the presidential vow? (KOR)
Published: 01 Nov. 2021, 19:39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Regular and irregular jobs are not legal terms. The Labor Standard Act, the basis of labor-related laws, do not contain the terms. While they are often used in daily life, the two forms of work cannot be strictly divided. There is no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 for irregular jobs.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identify and compare temporary workers by country, based on the temporary nature of employment.
In Korea, the social definition of irregular jobs dates back to 2002, when the tripartite commission among employers, unions and government classified irregular workers into three types: Temporary workers who have a labor contract indicating a fixed term or who have a contract not indicating a fixed term but cannot expect to continue working for involuntary reasons; hourly workers who work shorter hours than regular workers; and atypical workers who are dispatched or subcontracted or engaged in special forms of labor.
Irregular workers were classified separately because various types of work became available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they needed social protection. The tripartite committee announced that the government decided to strengthen labor supervision in order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ocial insurance and welfare to irregular workers and enhance their working conditions. The government began compiling statistics on the irregular workforce from 2003, based on the tripartite agreement.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the number of irregular workers in Korea marked 8,066,000 as of August. It is the first time that irregular workers have exceeded 8 million. Compared to a year ago, the number increased by 640,000 from 7,426,000. Compared to August 2016, nearly a year before the start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1.62 million people have been added. President Moon’s “zero irregular employment” pledge has fallen flat.
In an address to the National Assembly on Oct. 25, Moon said Korea was the first among developed countries to have recovered to the pro-pandemic level and that employment last month recovered to 99.8 percent of the level before the crisis. But he did not mention the sudden rise of irregular jobs.
The more than 8 million irregular jobs tell the story of the real limits on jobs created by the government budget. Also, it shows how a policy with only belief and willpower can fail. The policy for irregular jobs is still trapped in 2002.
비정규직 800만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적법한 단어는 아니다. 노동 관련법의 근간이 되는 근로기준법에선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란 단어를 찾아볼 수 없다. 일상에서 흔히 쓰이지만 두 가지 근무형태를 엄밀하게 나누긴 어렵다는 의미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비정규직에 대한 기준이 없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국가 간 비교를 위해 대개 고용의 한시성을 기준으로 한 임시 근로자(Temporary workers)를 국가별로 파악해 비교하고 있다.
비정규직에 대한 사회적 정의(定義)가 탄생한 건 20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노사정위원회는 그해 노사정 합의에 따라 비정규직 근로자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한시적 근로자(근로계약기간을 정한 자 또는 정하지 않았으나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근로자), 시간제 근로자(통상근로자보다 근로시간이 짧은 근로자), 비전형 근로자(파견·용역·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정내일일근로자)가 그것이다.
비정규직을 별도로 구분한 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다양한 근로형태가 자리를 잡으며 이들에 대한 사회적 보장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노사정위원회는 “비정규직에 대한 사회보험의 적용 확대 및 복지확충을 늘리고 근로조건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나서 근로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노사정 합의를 기반으로 2003년부터 비정규직 통계 작성을 시작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국내 비정규직 근로자는 806만6000명을 기록했다. 비정규직 800만명 돌파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8월(742만6000명)과 비교하면 1년 사이 64만명이 증가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전인 2016년 8월(644만4000명)과 비교하면 162만2000명 증가했다. “비정규직 제로”를 앞세우며 일자리 대통령을 자처한 문 대통령의 말은 공염불이 됐다. 대통령 집무실에 자리한 일자리 상황판이 머쓱할 정도다.
문 대통령은 지난 25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선진국 가운데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가장 빨리 회복했다. 고용에서도 지난달 위기 이전 수준의 99.8%까지 회복했다”고 말했지만 비정규직 급등은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비정규직 800만은 예산으로 찍어낸 일자리의 한계를 말해준다. 더불어 신념과 의지만 있는 정책이 어떻게 실패하는지도 보여줬다. 비정규직 정책은 2002년에 갇혀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