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years with Kim Jong-u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10 years with Kim Jong-un (KOR)

 CHUN SU-JIN
The author is the head of Today & People Teamof the JoongAng Ilbo
.


Dec. 17 will mark 10 years since the death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 vividly remember his youngest son saluting next to the black Lincoln Continental lorry. Kim Jong-un, who was in his 20s at the time, is busy creating an atmosphere to celebrate the 10th anniversary of his rule. Foreign policy and security experts tipped me at the time, “The next 10 years for the young leader to consolidate his power base will offer a chance for the Korean Peninsula. If we miss those 10 years, we’ll face a crisis. Reunification will be a challenge in his lifetime.”

After a decade has passed, we are still living with Kim Jong-un. Is reunification near? No camp, left or right, can readily say yes.

Celebrating the 10th anniversary of his rule and preparing for the next 50 years, Kim said, “We cannot waste each minute, as precious as gold.” But South Korea is deeply confused over the controversies of the two presidential candidates for the March 9 election.

Kim Jong-un has plans for the future. How about the candidates dreaming of entering the Blue House? When foreign policy and security frames are rapidly changing, what heats up the election are volatile issues like the Daejang-dong development scandal or ordering criminal complaints against the government, not very related to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Foreign policy and security are like oxygen. Though not visibl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s. If we had read into the structure of subtle changes in the U.S.-China conflict and made a wise plan, the critical shortage of diesel exhaust fluid (DEF) wouldn’t have happened.

Foreign policy and security are areas where the president’s attention, scope of understanding, attitude, philosophy and investment are especially important. Looking at security experts in both presidential candidates’ camps, I cannot dispel the impression that they prioritize expanding their own campaign. Each candidate’s foreign policy and security aides must look back on whether they are missing important things because of internal fights. We still have time.

Inter-Korean and South Korea-Japan relations are very important for the new president, who will come into office next year. In fact, only politicians use diplomacy for votes in South Korea and Japan.

A college student in Seoul still misses a ramen restaurant in Shibuya while an office worker in Tokyo wants to go to a crab restaurant in Seoul. Young Japanese director Yuya Ishii’s new film “You Won’t Believe” is a joint project of Korea and Japan. After a Korean and a Japanese person clash over misunderstanding in the beginning of the movie, one line was repeated: “What’s important is the attitude to understand each other.” As foreign policy and security are conducted by people, let’s go back to the basics.



 
‘위드 김정은’, 벌써 10년
전수진 투데이ㆍ피플 뉴스팀장
 
다음 달 17일이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지 꼭 10년이다. 앳된 얼굴의 막내아들이 검은 링컨 컨티넨털 운구차 곁에서 경례를 붙이던 모습이 선하다. 20대였던 김정은은 마음이 확고하게 선다는 이립(而立)을 지나 불혹(不惑)을 향하며 집권 10주년 자축 분위기 만들기에 한창이다. 그의 등극 당시 외교ㆍ안보 전문가가 당시 귀띔했던 얘기가 새삼스럽다. “젊은 지도자가 기반을 다져나가는 앞으로의 10년이 한반도엔 기회다. 그 10년을 놓친다면 위기다. 통일은 그의 생전엔 어렵다.”  
 
그 10년이 지나고, 이젠 위드 코로나, 아니, 위드 김정은 시대가 변수 아닌 상수다. 2021년의 마지막 달이 가까운 지금, 통일은 가까운가. 예스라 선뜻 답할 수 있는 진영은 좌우 어디에도 없다. 10년 새 유일한 가시적 변화로 남은 건 김정은의 몸무게일 뿐.  
 
평양의 젊은 지도자가 집권 10주년을 자축하며 “순간도 헛되이 할 수 없는 천금 같은 일각 일초가 흐른다”(노동신문 8일 자)며 앞으로의 50년을 준비하는 이때, 서울은 앞으로 5년간 국가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 지도자들의 논란으로 혼란의 도가니다. 김정은은 다 계획이 있다.  
 
청와대 입성을 꿈꾸는 이들은 어떤가. 외교ㆍ안보의 판이 바뀌는 이 시점에서 판을 달구는 건 대장동이며 고발사주 등 휘발성은 강하지만 한반도 미래와는 상관관계가 크지 않은 논란들이다. 외교ㆍ안보는 산소 같다. 눈엔 안 보여도 국민 삶과 직결돼 있다. 미ㆍ중 관계의 미묘한 갈등 변화 구조를 읽고 현명한 판을 짜두었더라면 요소수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을 수 있다.  
 
외교ㆍ안보는 대통령의 관심과 이해의 폭과 태도, 철학과 투자가 유난히 중요한 분야다. 그런데도 최근 각 유력 후보 캠프의 외교ㆍ안보 전문가 판을 보면 각자의 세 불리기가 우선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김흥규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장이 SNS에 밝혔듯, “외교ㆍ안보 전문가들의 국내 정치화 편승은 더는 용인”할 수 없다. 각 후보의 외교ㆍ안보 캠프는 내부 드잡이 때문에 정작 중요한 걸 놓치고 있지는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아직은 시간이 있다.  
 
북한뿐 아니라 한ㆍ일 관계 역시 내년 취임할 대통령의 주요 과제다. 사실 각국 정치인들만 애꿎은 외교를 득표에 활용하지, 서울의 한 대학생 A씨는 ”시부야의 라멘집이 그립다”고 하고, 도쿄의 한 직장인 B씨는 “서울의 간장게장 맛집을 가고 싶다”고 서로를 그리워한다. 일본 영화의 주목할만한 젊은 감독, 이시이유야(石井裕也)의 신작 ‘당신은 믿지 않겠지만’도 한일 합작이었다. 영화 초반, 한국인과 일본인이 오해로 부딪히는 장면에 자주 나오던 대사가 떠오른다. “중요한 건 서로를 이해하려는 자세란다.” 외교도 안보도 사람이 하는 것. 나와 내 사람의 이득과 세력이 아닌, 우리와 나라를 생각하는 기본으로 돌아가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