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ressing price misconception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ddressing price misconceptions (KOR)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of the JoongAng Ilbo.


In the digital age of metaverse,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remains in the analog domain. The survey staff of Statistics Korea select 25,000 retailers nationwide, including department stores, supermarkets and traditional markets, as samples and either personally visit them or make calls to collect price information. It takes a lot of time and budget to survey prices.

The surveyors investigate the prices of representative goods and services. As of 2015, the list included 460 items.

Price collection is conducted in a designated period every month. As prices of agricultural, livestock and fisheries and petroleum products fluctuate greatly, they are surveyed three times a month and averaged out. The price is based 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that consumers paid, and hence, includes taxes, such as VAT. The survey items are selected every five years to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times. Statistics Korea drafted a revised plan for the consumer price index in July 2020. Fourteen items have been added to the list of consumer price index base items, including cherries, face masks, probiotics, dishwashers and rice noodles. Masks have been add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stead, briquettes, printers, ties, suits and school meal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list, as well as cameras, which have been nearly completely replaced by smartphones. Statistics Korea will release the revised plan on Dec. 22.

As the CPI is based on sample surveys, it is different from actual prices. Countries have different survey items, so the index varies among countries. In October, Korea’s CPI rose by 3.2 percent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In the same period, the index increased 6.2 percent in the U.S.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the largest surge in 31 years since December 1990.

The illusion of the prices in Korea and the U.S. is due to housing prices. In America, cost for housing ownership is surveyed and reflected in the CPI, while in Korea, only monthly rent and jeonse (long-term deposit-based rent) prices are included. The housing ownership price refers to the expenses of owning a home, such as mortgage interest payment and tax. If the housing ownership price is included in the survey as in the U.S. and Japan, some predict Korea’s CPI could be in the 4 to 5 percent range.

There are voices within the Bank of Korea that say housing ownership cost should be on the list. It is about time we seriously consider ways to reduce price illusion.


물가 착시
강기헌 산업 1팀 기자


메타버스까지 등장한 디지털 시대지만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아날로그 영역에 남아있다. 통계청 조사직원들은 표본으로 선정된 백화점·대형마트·전통시장 등 전국 약 2만5000여개 소매점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조사를 통해 가격자료를 수집한다. 모든 소매점을 대상으로 가격을 조사하는 건 많은 시간과 예산이 필요하기에 적절한 표본을 선정해 가격조사를 진행한다.

통계청 조사직원이 가격을 조사하는 건 상품과 서비스의 대표 품목이다. 2015년 기준 대표품목은 460개로 이뤄져 있다. 품목이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품목군(品目群)이 맞다. 쌀과 라면처럼 하나의 품목으로 구성된 경우도 있지만 냉동식품이나 즉석식품처럼 여러 품목을 포괄하는 경우도 있어서다.

가격수집은 매월 한 차례 정해진 기간에 이뤄진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는 가격변동이 심해 매월 3차례 가격을 조사해 평균을 낸다. 가격은 소비자가 실제로 지출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부가가치세와 같은 세금도 포함된다.

조사품목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해 5년마다 개편한다. 통계청은 지난 7월 2020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 개편안을 내놨다. 소비자물가지수 품목에 체리와 마스크·유산균·식기세척기·쌀국수 등 14개 품목이 추가됐다. 마스크가 추가된 건 코로나 때문이다. 반면 연탄·프린터·넥타이·정장제·학교급식비 등은 조사품목에서 탈락했다. 스마트폰에 밀린 사진기도 조사품목에서 탈락했다. 통계청은 다음 달 22일 개편안을 공표할 예정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표본조사이기에 실제물가와 다르다. 나라마다 조사 품목이 다르기에 국가별 지수 차이도 크다. 지난 10월 국내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3.2%가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전년동월 대비 6.2%가 올라 1990년 12월 이후 31년 만에 최대폭으로 급등했다. 한·미 물가 착시는 주거비 때문이다. 미국은 자가주거비를 조사해 물가지수에 반영하지만 한국은 전세와 월세만 조사품목에 포함된다. 자가주거비는 주택을 소유하는 데 쓰이는 대출금 이자와 세금 등 비용을 뜻한다. 미국이나 일본처럼 자가주거비를 조사 품목에 편입할 경우 소비자물가지수가 4~5%대로 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 내에서도 자가주거비를 조사품목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물가착시를 줄이는 방법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