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 an excavator at the canal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ike an excavator at the canal (KOR)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news teamof the JoongAng Ilbo.


Looking back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this year, the Ever Given stuck in the Suez Canal is overlapping here and there. On March 23, the container ship was jammed at the critical spot of maritime trade, causing a global logistics crisis. It was an unprecedented accident for a 220,000-ton vessel to be stuck diagonally in the narrow waterway.

The ship prevented thousands of other ships from transporting cargos, and the international attention turned it into various memes. It was compared to the people who were caught among many tasks or helpless and could not move forward.

That’s how Afghan people at the Kabul Airport must have felt as they tried to escape after Taliban occupation. They had no other option when they threw their children over the fence to the U.S. troops. The Middle East refugees waiting for helping hands in the forests on the Polish border thousands of miles from home are not different. They are struggling with cold and starvation as they fell into the trap of the dictatorship in Belarus, using “pushing refugees” as a means to pressu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ose who attempt to enter the United States illegally and are driven away by guards with whips on the Rio Grande River are not different either. A boat smuggling people from France to England capsized, but rather than being rescued by coast guards, it was told to “go back,” stuck there like the Ever Given.

With wildfires in Siberia and flooding in Germany, the entire Earth may have been the Ever Given this year. Despite the demands to replace greenhouse gas-inducing fossil fuels with alternative energy, COP26 was in a standstill. The foreign minister of Tuvalu, an island nation in the South Pacific, gave a speech underwater to no avail.

With signs of the pandemic subsiding, the world is rushing toward suppressed consumption and growth.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stuck between the two tasks of disease control and economic recovery. As the Omicron variant is spreading, next year won’t be much different.

It took a week for the Ever Given to move again. Tens of thousands of cubic meters of sand and soil were removed from the canal embankment where the ship was stuck, and dozens of tugboats were mobilized.

Another scene caught our attention. There was an excavator constantly scooping out in front of the gigantic vessel that is 400 meters (1,300 feet) long and 60 meters wide. The overwhelming size difference became another meme for “Covid-19 stress versus one walk a day.”

People self-deridingly said not much could be done in the face of an inevitable obstacle. Next year will be just as eventful as this year. And our silent scooping will continue, as the excavator was working at the Suez Canal.


 
수에즈 운하의 굴삭기처럼
강혜란 국제팀장

 
올 한해 국내외 뉴스를 되돌아보노라면 수에즈 운하에 꽉 끼었던 에버기븐(Ever Given) 호가 이리저리 겹친다. 지난 3월 23일 해상교역의 급소에 좌초해 글로벌 물류 위기를 불렀던 컨테이너선 말이다. 22만t급 초대형 선박이 좁은 수로에 대각선으로 갇혀 옴짝달싹 못한 초유의 사건이었다. 수천척의 물동량을 멈춰 세운 이 배는 세계적 관심 속에 각종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사진이나 영상)도 탄생시켰다. 할 일들 사이에 치여 있는 자신, 나아가야 하는데 자신도 어쩌지 못하는 불가항력을 빗대는 식이었다.  
 
탈레반 점령 후 카불 공항에서 탈출을 모색하던 아프가니스탄인들의 심정도 그렇지 않았을까. 철조망 너머 미군들에게 아이라도 받아달라고 던질 때 다른 선택지란 없었다. 고향에서 수만 리 떨어진 폴란드 국경 숲속에서 구원의 손길을 기다리는 중동난민들도 다르지 않다. ‘난민 밀어내기’를 국제사회 압박으로 활용하는 벨라루스 독재정권의 덫에 빠져 한기와 굶주림에 떨고 있다. 만신창이된 나라를 벗어나 미 불법입국을 시도하다 리오그란데 강둑에서 채찍 든 국경수비대에 쫓겨나는 이들도 마찬가지다.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밀항하던 보트가 전복됐는데 양쪽 해경으로부터 구조되긴커녕 “돌아가라”고 내침당한 이들 역시 옴짝달싹 못하는 에버기븐 신세다.  
 
시베리아가 불타고 독일이 대홍수로 잠기는 등 이상 재해 속에 어쩌면 올 한해 지구 전체가 에버기븐이었을지 모른다. 온실가스를 부르는 화석연료를 대안에너지로 바꿔야 한다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기후정상회의(COP26)는 제자리걸음을 반복했다. 남태평양 섬나라 투발루의 외무장관이 수중연설로 호소했지만 소용 없었다. 팬데믹이 누그러질 조짐을 보이자 전 세계는 억눌러온 소비와 성장을 향해 앞다퉈 달려갈 뿐이다. 방역과 경제회복이라는 두 과제 사이에서 각국 정부는 대각선으로 낀 채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덮치면서 내년도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에버기븐 호가 다시 움직이기까진 일주일이 걸렸다. 뱃머리가 박힌 운하 제방에서 모래와 흙 수만㎥를 퍼냈고 예인선 수십대가 동원됐다. 그 사이 우리 눈길을 끈 또 다른 장면이 있다. 길이 400m, 폭 60m 골리앗 선박 앞에서 묵묵히 제방 흙을 퍼내는 굴삭기였다. 압도적인 덩치 차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vs 하루 한번의 산책 허용’ 등 또 다른 밈으로 번져나갔다. 불가항력적인 삶의 장애 앞에 할 수 있는 건 우공이산 뿐이란 걸 그렇게 자조했다. 내년도 올해처럼 다사다난 할 것이다. 그리고 각자의 '묵묵한 삽질' 또한 계속될 것이다. 수에즈 운하의 굴삭기처럼-.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