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eless construc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enseless construction (KOR)

 
HAN YOUNG-IK
The author is a politic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The World Cup Bridge, which opened in September 2021, started construction in 2010. While it was supposed to be completed by 2015, the budget was not allocated in time. It took 11 years to partially open. The full opening — which includes connecting all roads ­— is planned for this December. As it took seven years longer than planned, the project was accused of “teaspoon construction.” It is a newly coined term referring to a slow construction project that might as well have been done with a teaspoon. Seoul Mayor Oh Se-hoon complained that there is criticism of the teaspoon budget allocation.

There are other examples of teaspoon construction beside the World Cup Bridge. The double-track railway project between Suwon and Incheon took more than 15 years to build. Construction began in 2004, but the opening date was postponed to 2017 from 2013, and then to 2021. The recently-opened 65.7-kilometer double-track train between Busan and Ulsan was planned for 2010. Construction was delayed by more than 10 years. Just like the World Cup Bridge, only a small budget was allocated on the costly social overhead capital (SOC) construction.

As the construction period extends, the project cost rapidly increases. The delay of the Suwon-Incheon train project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budget from 571 billion won ($479 million) to 2 trillion won. Construction companies are also burdened with the indirect cost of labor and office operation as construction takes longer. But there is a simple reason why construction takes so long: There are simply too many projects in progress. The general consensus is that a tsunami of civil engineering promises by politicians every election is beyond what the government can afford.

For the March 9 presidential election, trillion-won civil engineering promises have been made. Ruling Democratic Party (DP) candidate Lee Jae-myung plans to put Seoul subway line No. 1 underground, extend lines No. 2 and No. 7 and put the Gyeongin Highway underground.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PPP) candidate Yoon Suk-yeol wants to add GTX D, E and F lines and and a new GTX in Busan, Ulsan and the South Gyeongsang area. He also wants both the Gyeongin Railway and Gyeongin Highway to go underground.

These plans raise questions: How long will it take? When will construction begin? All these projects do is raise the hopes of local residents and increase political distrust.

 
 
티스푼 공사
한영익 정치에디터
 
지난해 9월 개통한 월드컵대교는 2010년 착공했다. 2015년 완공이 목표였지만, 예산투입이 지지부진하면서 부분개통까지 11년이란 세월이 걸렸다. 연결도로까지 포함한 완전개통은 올 12월이 목표다. 최초계획보다 7년이란 세월이 더 걸리면서 ‘티스푼 공사’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공사가 마치 티스푼으로 땅을 파는 것처럼 하염없이 느리다는 일종의 신조어다. 오세훈 서울시장 역시 “티스푼 예산 배정이라는 비판이 있을 정도”라며 한탄했다.  
 
티스푼 공사 사례는 월드컵대교 외에도 곳곳에 있다. 1995년 계획한 수인선(수원~인천) 복선전철 사업은 공사만 15년 이상 걸렸다. 2004년 착공에 들어갔지만 개통 예정일이 2013년에서 2017년, 2021년까지 연기됐다. 최근 개통된 부산~울산 복선전철(65.7㎞) 역시 처음에는 2010년이 개통 목표일이었다. 10년 이상 공기가 지연됐다. 월드컵대교와 마찬가지로 막대한 돈이 드는 사회간접자본(SOC) 공사에 예산이 찔끔 투입되며 생긴 일이다.  
 
공사기간이 늘어나면 사업비가 처음 계획보다 급증한다. 수인선 복선전철은 공사지연으로 사업비 5710억원이 2조원까지 늘었다. 건설업체 역시 늘어나는 공사기간만큼 인건비, 사무실 운영비 등 간접비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해 부담이 크다. 그런데도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공사를 빨리 끝내지 못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선거철마다 쏟아지는 정치권의 토목공약 쓰나미를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는 게 중론이다.  
 
이번 대선에서도 ‘조 단위 토목공약’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쏟아지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서울 지하철 1호선 지하화, 2·7호선 연장,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등을 추진 중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역시 수도권 GTX D·E·F 노선을 추가하고, 부산·울산·경남권에도 GTX를 신설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인선·경인고속도로 지하화도 함께 추진한다.  
 
대선 후보들의 쏟아지는 선물보따리를 보며 ‘얼마나 걸릴까. 과연 임기 내 착공은 할까’라는 의문이 든다. 숙원사업을 기다리는 지역주민들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티스푼 공사로 인한 희망고문은 정치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선후보들도 공사 완료 시점에 대한 대략적 청사진은 제시해야 하는 것 아닐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