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sia’s attack on Europe’s buffer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ussia’s attack on Europe’s buffer (KOR)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news team of the JoongAng Ilbo.

The most unforgettable city that I have traveled to in Europe is Bratislava, the capital of Slovakia. It is especially memorable not because of the spectacular scenery, but because of the unusual shabbiness. After being a regular city in Czechoslovakia, it became the capital when Slovakia gained independence as a sovereign state in 1993.

What left a deep impression was that a local tour guide pointed out the imprint of a shell on a fortress wall and said, “It is a mark from Napoleon’s invasion.” I intuitively realized that the future they dream of was to be one with Western Europe. The capital is located on the western side of the country close to Austria.

Slovakia joined the European Union and NATO in 2004.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loc, Eastern European countries joined the EU to ride on the Western free economy. Austria, which borders Slovakia, was already an EU member, and the Czech Republic, Poland and Hungary joined the EU together in 2004. Ukraine, to the east of Slovakia, was the only country not to join. After a pro-Russian group was ousted in the Orange Revolution in 2004, Ukraine made desperate attempts to join the EU and NATO to no avail. As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is making a move on Ukraine, Slovakia may feel secretly thankful to the country for acting as a buffer between itself and Russia.

After losing the Crimean Peninsula to Russia, Ukraine is on the verge of losing the entire eastern Donbas region. There is a little possibility for Donetsk and Luhansk — two republics dominated by pro-Russian rebels — to realistically function as independent states. After invading Georgia in 2008, Russia has been using two self-proclaimed republics — South Ossetia and Abkhazia — as its own military bases. Russia has set up another buffer within the buffer state of Ukraine.

The name Ukraine originates from a Slavic word for borderland. When it was Kievan Rus in the 12th century, the area bordering Poland was referred to as Ukraine. In the nearly 60-minute-long televised “speech of madness,” Putin repeated the initial claim that Ukraine was “historically Russian territory,” and criticized the “manipulation of the West to tear Russia away.”

Is it really the reason that Ukraine turned to the West? Did Putin forget the country’s history? Ukraine’s sense of deprivation for being treated as part of the “periphery” by Moscow during the Soviet era led to over 90 percent support for independence in a referendum. I find the sad reality of a powerful state abusing the sovereignty of a small and weak country in the 21st century goes directly against all of the norm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가장자리 나라, 우크라이나
강혜란 국제팀장  
 
유럽 여행 중 특히 잊히지 않는 도시가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다. 경관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너무 볼품이 없어서다. 체코슬로바키아 시절까지만 해도 군소 지방도시 중 하나였을 이곳은 1993년 슬로바키아가 주권국가로 독립하면서 수도로 ‘신분상승’ 했다. 인상적인 것은 도시 명물을 소개하는 지역민이 광장 성벽에 남은 포탄 자국을 가리켜 “나폴레옹이 진군했을 때 흔적”이라고 자랑하듯 말한 것이다. 이들이 꿈꾸는 미래가 서유럽과 한 덩어리가 되는 거란 게 직감적으로 와 닿았다. 수도 위치도 나라 전체에 비해 서쪽 오스트리아에 너무 치우쳐져서 지도만 보면 동쪽으로부터 멀찌감치 달아나고 싶어하는 것 같다.  
 
슬로바키아는 2004년 유럽연합(EU)과 나토(NATO)에 가입했다. 소련 및 동구권 연방 붕괴 후 동유럽 국가들이 서구식 자유경제에 올라타고자 EU 품에 안기던 시점이다. 접경국가 중에 오스트리아는 이미 EU 가입국이었고 2004년 체코‧폴란드‧헝가리도 동시 가입했다. 유일하게 동쪽 우크라이나는 빠졌다. 우크라이나는 오렌지혁명(2004)을 통해 친러 집권세력을 축출한 뒤 애타게 EU와 나토 가입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좌절됐다. 우크라이나 침공을 본격화한 푸틴의 행보를 보면서 어쩌면 슬로바키아는 우크라이나에 내심 고마워할지 모르겠다. 러시아와의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해주는 데 말이다.  
 
2014년 흑해 연안 크림반도를 러시아에 빼앗긴 우크라이나는 또다시 동부 돈바스 지역 전체를 강탈당할 위기에 몰렸다. 친러 반군 세력이 장악한 도네츠크와 루간스크의 두 공화국이 실제 독립국가로 기능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2008년 조지아를 침공한 러시아가 자칭 남오세티아와 압하지야 공화국을 사실상 자국 군사기지처럼 쓰고 있듯이 말이다. 러시아로선 완충국가 우크라이나 안에 또 한 겹의 완충장치를 마련한 격이다.  
 
우크라이나는 ‘가장자리‧변방’이라는 뜻의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국호다. 12세기 키예프 루스 시절 폴란드와 경계선상 지역을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 엊그제 60분 가까운 ‘광기의 TV 연설’ 동안 푸틴은 “우크라이나가 역사적으로 러시아 땅”이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며 “러시아를 찢어놓으려는 서방의 간계”를 비난했다. 우크라이나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마음을 돌린 게 과연 그 때문일까. 소련 시절 모스크바 정권의 ‘가장자리’ 정도로 치부됐던 우크라이나의 박탈감이 1991년 독립 투표 때 90% 넘는 찬성률로 이어진 역사는 잊은 걸까. 국제사회 규범은 아랑곳없이 21세기에도 강대국이 약소국의 주권을 좌지우지하는 현실이 씁쓸할 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