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arning about ‘the fall of the moon’ (KOR)

Home > 영어학습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warning about ‘the fall of the moon’ (KOR)

AHN HYO-SEONG
The author is a financial news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The cryptocurrency Terra and its sister coin, Luna, created by a Korean developer, plummeted last week. As the market cap of the two coins (45 billion dollars) evaporated within a week, it deserves to be called the "fall of the moon." Many people suffered losses. As of May 15, 280,000 people own Luna through domestic exchanges alone.
 
Media reports and online communities are full of various stories regarding the collapse of Terra and Luna.  Most of the stories boil down to failed investments b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fter being frustrated by the surge of housing prices, including an investor in his 20s who tried to make money for a lease deposit but now cannot even afford monthly rent. Politicians stepped in. At a meeting of the National Policy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on May 17, one started with a statement that a protective measure for the investors should be prepared as soon as possible, and someone even argued that the person in charge should testify at the National Assembly.
 
There is a lack of investor protection in regards to cryptocurrencies. There is no basis to prevent shady listing processes and unclear disclosure, unfair trading using insider information or substandard coins. In the last five years, 541 cryptocurrencies have been delisted. There are many issues surrounding cryptocurrencies, so legislation is moving slow.
 
Kim Yong-beom, former deputy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who served as the vice chairman of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 2017 when the first cryptocurrency craze started, said in his book "Upheaval and Equilibrium," "The government also needs to move away from the position of minimum involvement and hasten legalization of overall virtual asset system."
 
However, among the 280,000 Luna holders who are called "victims," at least 100,000 of them bought the coin after the price started to fall, aiming at short-term profit. The financial authorities are internally concerned that the latest debate of investor protection would encourage short-term investment. Moreover, even if investor protection is enhanced in Korea, not all issues related to cryptocurrencies can be prevented as they are traded across borders.
 
Former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Chairman Eun Seong-soo said on cryptocurrency investment in April 2021, "If you go the wrong way, you should be told clearly that it is the wrong way. I believe that protecting the asset that can go up by 20 percent overnight can encourage investment. The grown-ups must tell them." Upon retirement, Eun adhered to the conviction and said, "Someone had to talk about the overheating of the market." Just as Eun said, it is necessary to warn the people going into the "short trading hell" aiming for short-term profit. This a moment we need a clear warning for.
 
 
달의 몰락과 어른의 말
안효성 금융팀 기자
 
 
국내 개발자가 만든 암호화폐 테라(UST)와 자매코인 루나(LUNA)가 지난주 폭락했다. 일주일 사이 두 코인의 시가총액 450억 달러(57조7800억원)가 증발했다고 하니 ‘달(Luna)의 몰락’으로 불릴 만하다. 손해를 본 이들 숫자도 만만치 않다. 국내 거래소를 통해서만 지난 15일 기준 28만 명이 루나를 보유하고 있다.  
 
언론 기사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도 온갖 사연이 넘친다. 전세자금을 마련하려다 월세방도 힘들어졌다는 20대, 대출금 5000만원의 절반을 잃었다는 30대 등 대부분의 사연은 집값 급등에 좌절한 20, 30대의 투자 실패기로 귀결된다. 정치권도 나섰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는 조속히 투자자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발언에서 시작해 관련 청문회를 열어 책임자를 국회 증언대에 세우자는 주장까지 나왔다.  
 
암호화폐 관련해 투자자 보호장치는 부족하다. 깜깜이 상장 절차와 불투명한 공시, 내부정보를 이용한 불공정거래, 한탕을 노리고 상장되는 불량코인 등을 막을 근거가 마련되지 않았다. 지난 5년간 암호화폐 541종이 상장 폐지됐고, 관련 투자자 피해액만 1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추산도 있다. 달러 등 법정통화에 가격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율도 전무하다.  
 
암호화폐를 둘러싼 쟁점이 많다 보니 입법도 더디다. 관련법이 없다는 이유로 금융당국도 소극적이다. 암호화폐 1차 광풍이 불었던 2017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차관은 『격변과 균형』에서 “정부도 최소관여 입장에서 벗어나 가상자산제도 전반에 대한 법제화 작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투자자 보호 강화만 강조되다 보니 놓치는 것도 있다. '피해자'로 불리는 루나 보유자 28만 명 중 적어도 10만 명은 가격 하락이 시작된 후 단기 차익을 노리고 진입한 투자자다. 금융당국 내에서는 최근 부쩍 강조되는 투자자 보호가 이런 단기투자를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국내에서 투자자 보호 조치가 강화되더라도, 국경을 넘어 거래되는 암호화폐 관련 문제를 모두 틀어막을 수는 없다.  
 
은성수 전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4월 암호화폐 투자에 대해 “잘못된 길로 가면 잘못된 길로 간다고 분명히 이야기해 줄 필요가 있다”며 “하루에 20%씩 올라가는 자산을 보호해줘야 한다는 게 (투자를 부추기는) 쪽으로 간다고 생각한다. 어른들이 이야기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은 전 위원장은 퇴임 때도 “시장 과열에 대해 누군가는 얘기해야 했다”며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은 전 위원장의 말처럼 지금은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리고 ‘지옥의 단타’에 나선 이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줄 필요도 있다. 마음먹고 한 경고가 필요한 순간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