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lood, sweat and tears in Brazil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blood, sweat and tears in Brazil (KOR)

LEE KYOUNG-HEE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JoongAng Ilbo Innovation Lab.

Sixty years ago on Dec. 18, the first group of 103 immigrants to Brazil left the port of Busan. It was the first immigration since the enactment of the Overseas Migration Act in March 1962. In the early 1960s, Korea drew up an active immigration policy to address overpopulation and food shortages. Brazil, with a small farming population, wanted to reclaim farmland by accepting immigrants. The interests of the two governments matched.

By 1966, four more immigration groups were sent, but the agricultural immigration failed. The Korean immigrants who travelled more than two months by boat arrived in Brazil but were provided with poor facilities. The immigrants struggled to find food and places to stay, fighting swarms of ants and poisonous insects without proper lodging or equipment. The land ownership was also vague. As most immigrants were veterans and merchants, they could not cultivate wasteland as farms. In the end, most of them moved to big cities like Sao Paulo.

If the first generation of immigrants to Japan had the Pachinko business, the first generation of immigrants to Brazil had the clothing industry. Having difficulty finding a proper job in the city, Korean women jumped into door-to-door clothing sales. The clothes they brought were popular as they were of better quality than those of the Brazilian working class.

In 1971, technicians in the clothing industry of the Dongdaemun market and others joined the immigration. They set up a few sewing machines and worked as contractors or purchased fabric and sold clothing. With the synergy of the peddlers and sewing industry, Koreans had their own production and sales network. It was a symbolic event for the Korean immigrants to establish a Korean general clothing center in Brazilian fashion mecca Bom Retiro in Sao Paolo in the late 1980s. In 2010, the district was officially designated as a Korea Town.

According to the Americas section of the “The History of Overseas Koreans in Records” published by the National Archives in 2016, Korean immigrants accounted for 50 percent of Brazil’s middle and high-priced clothing production, contributing to Brazil’s rise as a global fashion powerhouse.

That’s why immigration to Brazil is considered a success. At one point, 90 percent of Koreans in Brazil were employed in the clothing industry, but the occupations have diversified since. Celebrating the 60th anniversary of immigration to Brazil, I expect a new history of success by the 1.5 and second generations of immigrants.
 
 
 
브라질 이민 60주년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60년 전인 1962년 12월 18일. 제1차 브라질 이민단 103명이 부산항을 떠났다. 1962년 3월 해외이주법 제정 이후 첫 공식이민이었다. 1960년대 초 한국은 인구과밀과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 이민정책을 폈다. 농업인구가 부족했던 브라질은 이민으로 농토를 개간하려 했다. 양국 정부의 이해가 맞아떨어졌다.  
 
1966년까지 4차례 더 이민단이 파견됐다. 그러나 농업이민은 실패로 돌아갔다. 배를 타고 두달여 만에 도착한 한인에게 배정된 외딴 농장엔 기반시설이 없었다. 이민자들은 제대로 된 숙소나 농기구도 없이 개미떼와 독충과 싸우며 살 곳과 끼니를 마련하느라 고군분투했다. 토지소유권도 불명확했다. 게다가 대부분의 이민자는 퇴역군인, 상인 출신의 중산층이었다. 이들이 황무지를 개간해 농사를 짓는 건 애초에 무리였다. 결국 대부분 상파울루 같은 대도시로 재이주했다.  
 
일본 이민 1세대에게 파친코가 있었다면, 브라질 이민 1세대에는 의류산업이 있었다. 도시에서도 마땅한 일자리를 찾기 어려웠던 한인여성들은 옷가지를 파는 방문 행상에 뛰어들었다. 이민 보따리에서 꺼낸 옷은 브라질 서민들의 옷보다 질이 좋아 인기가 있었다.  
 
1971년엔 동대문시장 등지에서 의류업에 종사한 기술자들이 이민자로 합류했다. 재봉틀을 몇대 두고 봉제 하청일을 하거나 천을 떼다 옷을 만들어 팔았다. 행상과 봉제업이 시너지를 내며 한인들은 자체 생산 및 판매망을 갖추게 됐다. 1980년대 후반 브라질 패션의 메카인 상파울루 봉헤찌로 중심부에 한인 종합의류센터가 들어선 건 상징적 사건이었다. 2010년엔 봉헤찌로 지역이 아예 한인타운으로 공식 지정됐다.  
 
국가기록원이 2016년 펴낸 『기록으로 보는 재외 한인의 역사』 아메리카 편에 따르면 한인들은 브라질 중·고가 의류생산의 50%를 차지하면서 브라질이 세계 패션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했다. 한인 의류업 종사자는 3만여 명에 그치지만 직·간접적으로 고용하는 현지 인력은 20만 명에 달했다. 브라질 이민이 성공적 역사로 불리는 이유다. 한때 브라질 재외동포의 90%가 의류업에 종사했지만, 이제는 직업군이 점차 다양해진다. 브라질 이민 60주년, 이민 1.5세대와 2세대들이 써 가는 새로운 성공의 역사를 응원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