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A gloomy forecast for Korea in 2075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ditorial] A gloomy forecast for Korea in 2075 (KOR)

Korea’s economy dragged down by the world’s lowest birth rate and fastest aging will be smaller than Nigeria’s after 20 years and the Philippines’ after 50 years, according to a recent global economic outlook by Goldman Sachs. In the nomin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scale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Korea in 2020 was 10th largest after Italy and Canada. Nigeria was 26th and the Philippines 31st. The U.S. investment bank predicted China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economy by 2050, followed by the United States, India, Indonesia and Germany.

The population will become a determining factor behind economy. Korea suffers the worst birth rate and fastest aging. Its total fertility rate last year stood at a mere 0.81 percent, the world’s lowest. Due to lacking births, aging against total population inevitably has become the fastest. Real GDP from 2050 is expected to fall behind Japan which has been grappling with demographic risks earlier than Korea.

Goldman Sachs estimated Korea’s growth rate at the average 2-percent range in the 2020s. Its GDP would fall 0.1 percent in the 2060s and 0.2 percent in the 2070s. Korea was the sole economy in Goldman Sachs’ report on 34 nations to be performing in the negative territory over the long term. Fortunately, its per capita income will exceed $100,000 by 2075 on par with the levels of France and Canada.

State think tank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presented a grimmer outlook. The economy is rapidly losing growth potential, painting tough life for the future generation. Potential growth — the rate an economy can sustain at full capacity and employment without causing too much inflation — is primarily determined by labor, capital input,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Labor and capital input could be zero by 2040 due to Korea’s fast population thinning, according to KDI. Korea’s TFP is also sinking due to setbacks in smooth entry and exit by companies to the market and increased social trade cost owing to conflict and distrust among the society.

The Future Labor Research Council, an expert group, released a set of recommendations on reforming the labor market by lifting the retirement age from current 60 to help sustain economically-active population. A presidential committee on low birth and aging society also has gone beyond the usual proposal of improving working environment for females to suggest an easing of Korea’s immigrant policy and extension of retirement age. All the tasks cannot be easy as they can cause conflicts among generation and across the society. But since the problems are crystal clear, solutions are laid out. The government, legislature, companies and individuals must help build a sustainable country for our future generation.
 
 
 
필리핀보다 작아질 2075년 한국경제
 
급속한 저출산ㆍ고령화로 경제규모 축소돼
고용연장ㆍ이민ㆍ갈등해소 등 숙제 풀어야
 
 
한국의 경제규모가 20년 후엔 나이지리아에 추월당하고, 50년 뒤엔 필리핀에도 따라잡힌다는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최근  발표한 ‘2075년 글로벌 경제 전망’ 보고서의 분석내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명목 국내총생산(GDP)으로 본 한국의 경제규모는 2020년 현재 세계 10위로, 이탈리아(8위)-캐나다(9위) 다음이다. 나이지리아는 26위, 필리핀은 31위다.  보고서는 2050년에 중국과 미국ㆍ인도ㆍ인도네시아ㆍ독일이 세계 5대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경제규모 후퇴 원인은 최근 급속히 진행되는 저출산ㆍ고령화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81%로, 세계최저를 기록 중이다. 새로 태어날 아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으니, 고령화 속도도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2050년대부터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이 저출산ㆍ고령화의 선배국가격인 일본보다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골드만삭스는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2020년대 평균 2%에서 2040년대 0.8%로 떨어진 뒤, 2060년대에는 -0.1%, 2070년대에는 -0.2%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가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은 34개국 가운데 마이너스 성장률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그나마 희망적인 소식이라면 한국의 2075년의 1인당 실질 GDP는 10만 달러를 넘어서면서 프랑스와 캐나다 수준으로 향상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가 추정했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 같은 골드만삭스의 전망도 지나치게 후하다는 입장이다. 최근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이 급속히 하락 중이어서 이대로 가다간 다음 세대가 누릴 세상은 어두울 수밖에 없다고 분석한다. 잠재성장률을 구성하는 요소는 노동과 자본투입ㆍ총요소생산성 세가지다. 이 중 노동과 자본투입은 인구감소 등의 이유로 2040년이면 0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계산된다. 문제는 한국의 총요소생산성마저 최근 급속히 하락 중이란 점이다. 기업의 원활한 진입과 퇴출이 되지 않고, 갈등과 불신으로 사회의 거래비용도 높기 때문이라는 게 KDI의 진단이다.  
 
마침 미래노동시장연구회가 어제 현행 60세인 정년을 올려 경제활동인구를 지금보다 늘리는 방안 등 노동시장 개혁과제 권고문을 발표했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ㆍ고령사회위원회도 여성의 근무여건 개선뿐 아니라 이민ㆍ고용연장 등 예민한 이슈까지 거론하기 시작했다. 모두 세대간, 사회간 갈등요소를 안고 있어 풀기 어려운 난제다. 하지만 문제가 뭔지 알고 있으니, 해결책도 분명하다. 우리의 아들ㆍ딸에게 물려줄 세상을 위해 기성 정치권과 정부ㆍ기업ㆍ개인이 뼈를 깎는 각성을 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