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Smoothly fixing the rigid 52-hour workweek (KOR)
Published: 08 Mar. 2023, 09:33
Specifically, while respecting the 52-hour workweek (40 basic hours and 12 extended hours) framework, the management and union can discuss and set extended hours by monthly, quarterly, six-monthly, or on an annual basis. The arrangement can enable a maximum 69-hour workweek during the peak season and a 40-hour workweek during the slow season.
The government outline expands the choices for employers and employees. Workers can save their overtime and weekend or holiday work in their personal work account and use them for breaks. The right to choose working hours and days to suit the workers can be applied to all industries for three months (expanded from the current 1 month) and for six months for R&D workers (up from the current three months.) Under the new arrangement, working from anywhere — and for four days — is possible.
The 52-hour workweek was executed under the past Moon administration in 2018 to raise living standards and ease heavy working conditions. But its uniform enforcement rather helped lower real income for workers and aggravate business conditions for small and mid-sized companies.
The rigid regulation failed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paradigm.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by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57 percent of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e regulation unsuitable for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 government claims that it has come up with multiple protections so that the flexibility in work hours does not damage workers’ health or welfare. Still, it failed to reflect labor experts’ recommendation that the government ensure an 11-hour rest for workers after their extended work.
Given the low income and job insecurity in small workplaces, whether the protections will be well activated cannot be certain.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the second largest umbrella union after the militant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condemned the change to the work hour rule, as it will “help legitimize the longer work from 9 a.m. to 12 a.m. for five days.” During a review process at the legislature, the revision should be supplemented to better address workers’ welfare.
주 52시간제 개편, 근로자 건강권 세밀히 살펴야
4차 산업혁명 시대 맞지 않는 제도 개편 바람직
영세기업 근로자 초과근로 방지할 대책 있어야
정부가 현행 ‘주 52시간제’를 대폭 수술하는 개편안을 내놨다. 핵심은 근로시간 유연화다. 근로자가 주당 52시간까지만 일하게 허용하던 것을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게 하되, 52시간보다 더 일한 것에 대해선 추후 단축근무와 장기휴가로 충분히 쉴 수 있게 하자는 것. 한마디로 바쁠 때 더 일하는 대신 한가할 때 더 쉴 수 있게 하자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주 52시간제’(기본 40시간+연장 12시간)의 틀을 유지하되 ‘주’ 단위로 관리하는 연장근로 시간을 노사합의를 거쳐 월ㆍ분기ㆍ반기ㆍ연간 단위로 관리할 수 있게 했다. 이렇게 되면 성수기엔 주당 근로시간이 69시간까지 늘어날 수 있고, 비수기엔 근로시간이 40시간으로 줄어들 수 있다.
정부안에 따르면 기업과 근로자의 선택권이 크게 넓어진다. 연장ㆍ야간ㆍ휴일 근로시간을 모아 휴가처럼 쓸 수 있는 ‘근로시간저축계좌제’가 도입된다. 또 근로자가 출퇴근과 근로일을 정할 수 있는 ‘선택근로제’ 적용기간을 모든 업종은 3개월(기존 1개월)로, 연구개발(R&D) 업무는 6개월(기존 3개월)로 확대한다. ‘제주도 한 달 살기’ ‘주 4일 근무’ 등이 가능해진다고 정부는 설명한다.
‘주 52시간제’는 과로를 막고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문재인 정부가 2018년 도입했지만, 근로자 실질임금 하락과 중소기업 경영난 등 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기본적으로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읽지 못한 경직된 규제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조사에서 20~30대 직장인 57%가 ‘현행 근로시간 제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고 응답한 것에서도 현 제도의 시대 착오성을 읽을 수 있다.
문제는 근로자 건강권과 복지 확보다. 정부는 주 52시간 예외 기간이 길어질수록 연장근로 허용시간을 줄이는 ‘연장근로 총량 감축제’ 등 3중의 건강보호 장치를 마련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전문가그룹이 제시한 ‘하루 근로 뒤 11시간 휴식보장’ 조항이 다소 느슨해진 것을 비롯해 아쉬운 대목이 없지 않다.
저임과 고용불안이 일상화된 많은 영세사업장의 현실을 고려하면 근로자 과로를 막을 안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을지 의문인 것도 사실이다. 당장 노동계에선 “5일 연속 아침 9시 출근에 밤 12시까지 일을 시켜도 합법이 되는 제도개편”(민주노총)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개편안의 향후 국회 입법과정에서 근로자 복지에 대한 우려가 보다 심도 있게 보완되길 기대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