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Low birthrate fueled by high education expens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ditorial] Low birthrate fueled by high education expense (KOR)

The number of students declined by 40,000 to 5.28 million, but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stretched by 2.6 trillion won ($2 billion) to 26 trillion won in 2022, according to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tatistics Korea. Private education spending rose 11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the highest increase since 2007.

Out-of-school education cost 410,000 won per student, gaining from 367,000 won in 2021 and 302,000 won in 2020. As students moved up in school levels, so did the cost for their education out of school. The spending was 372,000 won for elementary students, 438,000 won for middle-school students, and 460,000 won for high-school students. The rate of private education also hit the record-high of 78.3 percent, with 85.2 perc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aking some form of private lessons.

The data underscores the depth of distrust in public education. Remote schooling during the pandemic was partly the reason. But fundamentally, schools are failing to do their role despite plentiful budget. Some 20 percent of domestic tax is automatically assigned as education tax. Education budget has been rising in line with tax revenue growth despite the decline in students.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per student that was at the bottom when the country first joined the OECD is now among the highest.

Yet, academic standards are rapidly deteriorating. The ratio of middle schoolers underperforming the basic standards surged 6 times for the Korean language over the 2012-2021 period and math 3.3 times. For high schoolers, the ratio rose 3.4 times for Korean language and 3.3 times for math. Academic standards have sharply fallen amid less focus on grades in public schools over the last 10 years despite ever-intensifying competition over select colleges.

Private education cost becomes a bigger social problem as it is the major reason for young people choosing not to have a child.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Population, Health, and Welfare Association last year, the young people aged 19 to 34 pointed to the burden from childcare and education cost (57 percent) as the primary reason for not having a baby.

The government must address the private education issue in the context of low birth. Public education standards should be improved sharply so that students have no need for private education. For lower age, schools must provide greater after-school care. Parents have to send kids to academies because they cannot find care for their kids after school.

Public policy addressing low birth has not worked so far despite enormous government spending, as it did not provide what would-be parents worry most. Housing cost, childcare burden, and other issues scaring women from having children must be addressed one by one. Such approach to reform public education can end up helping birthrate issue.
 
 
 
저출산 부추기는 주범, 사교육비 부담
 
학생은 4만 줄었는데, 사교육비는 2조6000억 늘어
비출산 원인 57%가 양육비·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
 
 
학생수(528만 명)는 4만명 줄었는데 사교육비는 2조6000억원 늘었다. 어제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다. 사교육비 총액은 약 26조원으로 2021년(23조4000억원)에 비해 11%가량 증가했다. 조사가 시작된 2007년 이후 최고치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원으로, 2020년(30만2000원), 2021년(36만7000원) 이후 급증한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교육비도 높아져 초등학생 37만2000원, 중학생 43만8000원, 고등학생 46만원이다. 사교육 참여율(78.3%)도 역대 가장 높아 초등학생의 85.2%가 사교육을 이용 중이다.  
 
이는 공교육 불신이 그만큼 크다는 걸 뜻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업 공백이 사교육 의존을 높인 부분도 있겠지만, 본질적으론 교육재정이 급증하는 가운데 학교가 제역할을 다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교육재정교부금은 내국세의 20.79%가 자동 할당돼 학생수가 줄어도 매년 늘어난다. 그 결과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하위권이었던 학생 1인당 공교육비는 20년 새 최상위권으로 올라섰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력저하는 심각하다.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2012~2021년 국어는 6배, 수학은 3.3배 늘었다. 고교는 국어 3.4배, 수학 3.3배 증가했다. 최근 10년간 학력 경시풍조가 공교육 전반에 자리 잡으면서 학력이 하향평준화된 탓이 크다. 여기에 입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며 사교육 의존도를 높였다. 대학진학에선 여전히 성적경쟁이 극심한데, 학교교육만으론 충족이 안 되니 학원과 과외로 발길이 쏠린다.  
 
사교육비 증가는 비단 입시정책만의 문제가 아니라 저출산을 악화시키는 주요인이기도 하다. 지난해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실시한 ‘저출산 인식조사’에서 청년세대(만 19~34세)가 출산을 원치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양육비·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57%)이었다.  
 
이제 정부는 사교육비 문제를 저출산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문제로 인식을 바꿔야 한다. 학생들이 학원에 가지 않아도 원하는 공부를 학교에서 할 수 있게 공교육을 개혁하는 것은 물론, 저학년의 경우엔 학교의 돌봄기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생 사교육비 급증의 주원인이 방과 후 아이를 맡길 데가 없어 학원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란 점도 주지해야 한다.  
 
저출산 정책이 그동안 큰 효과를 보지 못한 이유는 당사자들에게 시급한 문제를 속시원히 해결해 주지 못한 탓이 크다. 주거부담, 경력단절 등 저출산의 이유가 되는 문제들을 하나씩 풀어가야 한다. 그러려면 사교육비도 입시문제만이 아니라 공교육개혁을 통해 저출산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접근해 가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