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K-pop’s defining momen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ditorial] K-pop’s defining moment (KOR)

The ferocious battle to purchase SM Entertainment between Kakao and HYBE has ended with Kakao’s victory. As the acquisition race was heated, SM’s stock price skyrocketed. Whoever won the war had to pay excessive costs. Fortunately, the shareholders reached a dramatic agreement at the last minute to avoid the winner’s curse.

But all parties involved in the mud fight must not brush off the criticism that they alienated K-pop bands and their fans, inadvertently or not. In the face of deepening public disappointment, the entertainment companies reflected on what they did. Kakao promised to honor the integrity of SM’s executives and staffers, members of its K-pop bands and their fans. Kakao also pledged to guarantee the autonomous operation of SM Entertainment, along with a vow to accelerate their global promotion. In reaction, SM made a commitment to elevate itself to global entertainment company respecting fans and shareholders.

The battle over the management rights of SM exposed the shades of K-pop success. Though the market cap of SM snowballed to billions of dollars, the problem was its opaque business operation by a top producer intervening in all decision-making processes of the company. For instance, SM annually gave 10 billion won ($7.6 million) as “producing cost” to CTP, a Hong Kong-based company 100 percent owned by SM founder Lee Soo-man. The issue was first raised by activist fund Align Partners. Investment funds in Korea already pointed out the problem, but SM didn’t move until the hedge fund raised issue with the shady practice.

Though K-pop seems to enjoy its heyday, insiders started expressing their concerns. Despite the popularity of K-pop, the combined sales of the top four entertainment companies in Korea account for only two percent of the global market dominated by Universal (31.9 percent), Sony (21.9 percent) and Warner Brothers (16.3 percent).

Album sales are dwindling fast. K-pop sold albums worth $231.4 million last year, the largest ever, but grew at less than five percent. There are no powerful boybands on par with BTS, either. Even Bang Si-hyuk, board chair of HYBE, recently worried about “many dangers ahead if K-pop is left unattended.”

The time has come for industry insiders to look back. They must wonder if they were intoxicated with the success of K-pop too much. All parties involved must review their K-pop strategy. No success lasts forever. To help extend the success, they must raise transparency befitting its bigger size while moving forward through the multi-label strategy. Otherwise, K-pop will follow in the sad path J-pop took before.
 
 
 
SM 인수전 타결...K팝 재점검, 재도약의 계기 돼야
최근 K팝 성장세 둔화...세계시장 점유율 2%뿐  ‘1인 체제’ 극복 못 하면 J팝 실패 되풀이할 우려

 
카카오와 하이브가 뛰어들며 ‘쩐(錢)의 전쟁’으로 비화하던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이 카카오의 승리로 일단락됐다. 인수전이 과열되면서 SM 주가가 치솟았고 누가 승리하든 과도하게 비용을 치르고 생채기만 남는 ‘승자의 독배’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극적 합의가 이뤄진 점은 다행스럽다. 하이브는 자사 주주 가치를 고려한 결정이라고 발표했다.
 
SM 인수전이 진흙탕 싸움으로 흐르면서 정작 K팝의 주역인 팬들과 아티스트는 소외됐다는 비판은 업계 모두 곱씹어볼 대목이다. 국민의 따가운 시선에 업체들도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카카오는 ^SM의 가장 강력한 자산이자 원동력인 임직원·아티스트·팬덤 존중 ^자율적·독립적 운영 보장 ^글로벌 성장 가속화를 약속했다. SM도 팬·주주 중심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회사로의 도약을 다짐했다.  
 
SM 경영권 분쟁은 화려한 K팝 성공의 이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시가총액은 몇조원 단위로 커졌지만 한 명의 뛰어난 프로듀서가 기업의 모든 과정에 개입하는 불투명한 경영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개인회사인 라이크기획에 매년 100억원 이상을 프로듀싱 명목으로 지급해 온 잘못된 관행을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이 지적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얼라인 이전에도 국내 운용사가 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SM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잘못된 관행을 스스로 고치고 이수만 전 총괄이 ‘아름다운 퇴장’을 할 수 있던 기회를 놓쳤다.   
 
K팝이 세계적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는 것 같지만 업계 내부에서도 위기론이 나온다. K팝이 잘나간다고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상위 4개 기획사를 합한 매출 비율은 2%에 불과하다. 반면에 세계 음반시장에서 3대 메이저로 통하는 유니버설(31.9%)·소니(21.9%)·워너(16.3%)의 시장 점유율을 합하면 70.1%에 달한다. 
 
음반 수출 성장세도 눈에 띄게 움츠러들고 있다. 지난해 K팝 음반 수출액은 2억3138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였지만 성장세는 5%에도 미치지 못했다. BTS의 뒤를 이을 만한 눈에 띄는 보이밴드도 없다. 오죽하면 BTS 성공 스토리를 써낸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이 외신 인터뷰에서 K팝의 일시적 성장 둔화를 거론하며 “이 상태로 놔두면 많이 위험할 수 있다”고 걱정했을까.
 
갈 길이 한참 멀기만 한데 우리 모두 기존 성공 스토리에 너무 취해 있었던 건 아닌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 이번 사태를 K팝 전략을 재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기존의 성공이 앞으로의 성공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멀티 레이블 전략으로 K팝 특유의 색깔을 유지하면서 증시에서 커진 몸집에 맞게 경영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K팝의 1인 체제를 극복하지 못하면 J팝의 몰락을 따라갈 것이라는 경고를 흘려듣지 말기를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