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ntain] An obsession to luxury brands (KOR)
Published: 30 Mar. 2023, 10:15
The author is an industry news reporter for the JoongAng Ilbo.
Publicists at major retailers had a lot of work to do on March 20 and 21. Bernard Arnault, the world’s richest person and the chairman and CEO of LVMH Moët Hennessy Louis Vuitton, visited Korea. CEOs of major Korean companies welcomed him in person. For the media report that he received special treatment from them, some companies asked media organizations to remove the names of their CEOs from their headlines. They denied the news that their owner’s family member personally checked the scheduled route of Chairman Arnault, while it is true that their CEOs were indeed at the scene one hour before his arrival. Probably, they must have thought that it didn’t look good.
In any case, the luxury tycoon has left, and the report card for the special welcome is expected to return as new store openings. New store openings are good news for consumers who would buy luxury goods in long queues despite their high prices and high-interest rates in Korea.
Nevertheless, I have a bitter aftertaste because of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major retail CEOs trying to please the luxury tycoon. Major department stores rely on luxury goods for nearly 30 percent of their sales. Luxury goods make up almost 40 percent in some cases. In 2017, the proportion of luxury sales was about 15 percent, but it has become higher. Therefore, they would still smile even if Arnault left for his next schedule after 10 minutes. They have to accept his “inspection” of the wall materials of 10 stores for 50 minutes.
At this point, I wonder if a local department store without luxury goods cannot succeed. A department store that has made annual sales of nearly 1 trillion won ($768.4 million) with a space targeting the millennials and Gen Z customers even without Hermes, Louis Vuitton and Chanel stores also is eager to host luxury brands. Is it inevitable since Korea has the world’s highest per capita consumption ($325) of luxury goods?
It is no shame that the heads of retailers personally engage in sales. President Yoon Suk Yeol himself claimed to be Korea’s No. 1 salesperson. What is truly regrettable is that they rely on some luxury brands rather than initiating prospective sales. If a luxury brand suddenly changes its mind and removes the store, the retailer suffers a direct hit. Though local department stores try to discover “new luxury brands” that are up-and-coming and high-quality, most are still imports. So they can easily lose leverage.
A Korean online fashion store made news in the industry with over 3 trillion won ($2.3 billion) in annual sales last year, surpassing the top department store. One of the success factors was to “professionally introduce” a wide spectrum of brands, more than 7,000. I hope Korean retail giants to expand their distribution channels for promising brands and nurture Korean luxury brands to be on par with foreign high-end brands. Only then can Korean retailers become proud and confident distributors.
대기업 수장들이 왜 그들 앞에서 작아지나
백일현 산업부 기자
지난 20·21일 주요 유통 대기업 홍보 담당자들은 진땀깨나 뺐다. 세계 1위 부호이자 ‘명품 대통령’으로 불리는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총괄회장의 방한 때문이다.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가 직접 출동해 아르노 회장을 안내했다. ‘특급 의전’을 펼쳤다는 언론 보도가 이어지자 일부 기업은 “제목에서 우리 사장 이름은 빼달라” 읍소하거나 “오너 일가 인사가 아르노 회장이 오기 1시간 전부터 현장에 나와 있었던 건 맞지만 직접 동선을 체크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며 부인하느라 바빴다. 아마 ‘폼이 안 나서’ 였으리라.
어쨌든 명품 대통령은 떠났고 특급 의전 성적표는 신규 매장 유치 여부로 돌아올 전망이다. 신규 매장은 고물가·고금리에도 명품은 줄 서서라도 사는 소비자들에겐 기쁜 소식이다.
그럼에도 뒷맛이 씁쓸한 건 유통 대기업 수장들이 명품 대통령 앞에서 작아지는 근본적 이유 때문이다. 주요 백화점은 매출의 30% 가까이 명품에 의존하고 있다. 명품 비중이 매출의 40%에 육박하는 백화점도 있다. 2017년엔 주요 백화점 명품 매출 비중이 15%였는데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 그러니 아르노 회장이 다른 일정을 이유로 10여 분만 머무르다 떠나도 웃고, 50분간 매장 10여 곳 벽 소재까지 챙기는 ‘점검’을 해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이쯤 되면 명품 없는 백화점은 성공할 수 없나 의문이 생긴다.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없이 MZ세대를 겨냥한 공간 등이 호응을 얻어 1조원 가까운 연 매출을 낸 모 백화점도 명품 브랜드 입점에 열을 올린다. 1인당 명품 소비액(325달러·약 42만원)이 세계 최대(지난해 기준)인 한국이니 어쩔 수 없는 걸까.
유통 기업 수장이 ‘영업을 뛰는’ 것 자체는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대통령도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하지 않나. 진정 아쉬운 건 매출을 주도적으로 일으키기보다 일부 명품 브랜드에 의존하는 구조다. 명품이 갑자기 마음을 바꿔 매장을 빼기라도 하면 직격탄을 맞는다. 기업들은 신생 브랜드면서 명품 못지않은 품질을 갖춘 ‘신명품’도 발굴하지만 역시 대다수가 해외 수입 브랜드라 주도권을 뺏길 여지가 있다.
한때 업계에선 한 국내 온라인 패션 스토어가 지난해 연간 거래액 3조원을 돌파, 백화점 업계 1등을 추월한 게 화제였다. ‘백(百)화점을 넘은 만(萬)화점’ 정도로 7000여 개 다양한 브랜드를 전문적으로 소개한 게 성공 요인 중 하나였다. 한국 유통 대기업도 될성부른 브랜드에 유통 판로를 더 열어 명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K 명품으로 키웠으면 한다. 그래야 K 유통이 당당해진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