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medical system needs an overhaul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orea’s medical system needs an overhaul (KOR)

The government and medical representatives have held a council to start discussions on increasing the medical school quota. The government wants to increase the enrollment quota, but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KMA) steadfastly resists. In the meantime, patients are dying as they cannot find emergency beds and doctors.

Pediatric departments are swarmed with patients because they are short. Hospitals outside the capital cannot find doctors even if they offer up to 1 billion won ($766,871) in salary. Despite the dire deficiencies in primary care, Korea claims its medical care is the world’s best in treatment standards and access.

For the last 18 years, the annual admission quota at medical schools was frozen to 3,058. The government’s negligence in promoting essential fields of medicine and the fast-aging population, as well as young doctors’ shunning of risky and hard fields, also have worsened the problem.

More doctors at hospitals and those who can make house calls are neede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estimates that nearly 30,000 doctors would be short by 2035. Japan has raised the medical school quota by 1,705 to 9,330 to turn the tide. The United States has bumped up the quota by 38 percent over the last 20 years while Britain is doubling the number and Germany upping its by 50 percent. The government hopes to increase the quota starting 2025. The KMA proposed hiring retired doctors to help address a lack of doctors because even if the number of medical students increases, it doesn’t mean they would apply for the essential fields and rural areas short of doctors.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increasing the medical school quota while offering incentives for the essential fields and rural areas at the same time. Medical schools in areas outside the capital also should be able to offer more openings and applicants for jobs in rural areas should be given financial and housing benefits.

While the enrollment quota needs to be increased, authorities should be more prudent in creating a new public medical school. It would not be realistically easy for the new public school to recruit excellent professors and secure hospitals where trainees can gain experience. Some argue the annual quota should be increased by 351 as in the past. But an increase by some hundreds won’t solve the problem.

An independent body comprising the KMA, doctors, local governments and other experts can discuss the supply of doctors by benchmarking Japan’s case. Also, national universities in Busan and South Jeolla should be allow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medical services in the surrounding areas. The basic framework of the Korean medical system needs a complete makeover.
 
 
 
의대정원 늘리되 필수분야·지역의료 회생안 같이 내야
 
미·일 등 선진국은 고령화 대응에 정원 대폭 늘려
수술수가·전공의 지원하고 국립대병원 키워가길
 
 
정부와 의료계가 오늘 의료현안협의체를 열어 의과대학 정원문제 논의를 본격화한다. 정부는 증원을 기정사실로 하지만 의사협회는 반대입장을 굽히지 않는다. 이렇게 입장 차이로 맞설만큼 상황이 한가하지 않다. 응급실을 전전하다 숨지는 환자가 속출하고, 소아청소년과는 문열기 전 줄을 서는 '오픈 런'이 일상화됐다. 지방 병원은 4억~10억원을 제시해도 의사를 구하지 못한다. 기본적인 부분에 구멍이 뚫려 있는데, 한국의료가 치료기술·접근성 세계 최고라고 자랑한들 공허하게만 들릴 뿐이다.  
 
응급실 사고의 원인은 병실부족에다 필수의사 부족 때문이다. 대구 여고생, 용인 70대 노인,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망 사고의 경우 수술의사 부족이 주요원인이었다. 지난 18년간 3058명으로 묶인 의대정원의 여파가 나타난다고도 볼 수 있다. 물론 고난도·고위험의 필수의료에 정부가 제대로 투자하지 않은 탓도 있다. 여기에다 초고령화, 젊은 의사들의 워라벨 중시 풍조 등이 겹쳤다.  
 
2030년 베이비부머(1955~63년생)가 75세 초고령 노인이 될 시대다. 이때부터 고혈압·당뇨병 같은 만성질환과 암, 뇌·심장 질환, 치매 등의 큰 병이 급증한다. 병원 의사도, 재택의료 의사도 더 필요하다. 보건사회연구원은 2035년 2만7232명의 의사가 부족할 것으로 추계한다. 우리보다 고령화가 20년 앞선 일본은 최근 10여 년간 의대정원을 9330명으로 1705명 늘렸다. 미국은 20년간 38%, 영국은 두 배로 늘렸고, 독일은 50% 늘리는 중이다.  
 
정부는 2025년 신입생부터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의협은 "의사를 늘린다고 필수분야나 지방에 근무한다는 보장이 없으니 은퇴의사 활용으로 풀자"고 한다. 이를 보면 접점이 없는 게 아니다. 의대정원을 늘리되 필수분야와 지방의사를 늘리는 정책을 병행하면 될 일이다. 수술·소아·응급 수가를 파격적으로 올리고, 전공의 수련과정을 개편하고 수련비용을 지원해야 한다. 지역출신 의대생 선발을 더 늘리고, 경제적 유인책에다 주거 지원까지 동원해 지역에 머무르게 유도해야 한다.  
 
다만 정원을 늘리되 공공의대 설립방식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우수한 교수와 실습용 대형병원을 확보하기 어렵다. 자칫 실패한 서남대 의대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 정원 50명 미만 대학과 10곳의 국립대 의대정원을 늘려야 한다. 의약분업 이전 정원(351명 증원)만큼 우선 늘리자는 주장이 있는데, 찔끔 늘려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 일본처럼 의사회·의대교수·지자체·전문가들이 모두 참여하는 의사수급 논의기구를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 부산대·전남대 등의 국립대병원이 명실상부하게 해당권역의 의료를 총괄하도록 키워야 한다. 한국의료의 기본틀을 다시 짜야 할 시간이 왔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