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from Sister Gabriella (KOR)
Published: 21 Jul. 2023, 09:12
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In 1926, Sister Mary Gabriella Mulherin set foot in Joseon. The 26-year-old nun from Pennsylvania arrived in the desolate land of Pyongan Province. She traveled throughout the countryside to help poor farmers who were suffering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r service of more than 10 years was stopped by Japan’s deportation order. World War II was intensifying.
She could not forget the children of Joseon, who had a hard time pronouncing her name, Gabriella, and called her Sister Gabyeol. In 1952, she returned to a Korea devastated by the Korean War. She helped the refugees, including widows, at Busan Maryknoll Hospital, as the distribution of relief supplies was not enough. After the war, Korea lacked money and a financial system. Most people were suffering from loan sharks.
Sister Gabriella worked for the Hudson Coal Company before becoming a nun, and she used her expertise as an accounting specialist. She took a cue from the Antigonish Movement, the cooperative system that saved Canada from the Great Depression in the 1930s.
Sister Gabriella founded the first credit cooperative in Korea, the Seongga [Hymn] Credit Cooperative, in May 1960. In partnership with the government-led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Headquarters, she also held lectures for cooperative leaders across the country.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es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set up co-ops. Between May and June 1963, five co-ops were established in Hadun, Wolgok, Jeongam, Oesi, and Masan, South Gyeongsang. The simple yet desperate slogan — “Let’s live a good life by being frugal, saving money and helping each other!” — worked. After a year, 169 local co-ops were established in South Gyeongsang alone by the end of May 1964. It was the beginning of the Korean Federation of Community Credit Cooperatives (KFCC).
After 60 years, the KFCC has grown into a financial institution with total assets worth 284 trillion won ($224 billion), as of the end of last year. The scale is comparable to that of large commercial banks.
But the entire KFCC is shaking due to bad loans and soaring delinquency rates at some local co-ops. The financial authorities “extinguished the fire” to prevent the domino of bank runs, but the anxiety has not dissipated.
“Growth is like the tree growing. If the roots can’t support the branches growing wide, the tree will fall.” Decades ago, Sister Gabriella pondered the future of cooperatives. These are words that the KFCC needs to think about now.
새마을금고와 가브리엘라 수녀
조현숙 경제부 기자
1926년 메리 가브리엘라 뮬헤린 수녀가 조선에 첫발을 디뎠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출신의 스물여섯 살 젊은 수녀가 도착한 평안도는 삭막하기 그지없었다. 그는 시골 곳곳을 다니며 일제에 시달리던 가난한 농민을 도왔다. 10년 넘게 이어진 봉사는 일본의 추방 명령으로 중단해야 했다. 극한으로 치달은 제2차 세계대전의 여파였다.
그는 발음이 어려운 가브리엘라 대신 ‘가별 수녀’라고 자신을 부르던 조선의 아이들을 잊지 못했다. 1952년 6·25전쟁으로 황폐해진 한국 땅을 다시 찾았다. 부산 메리놀병원에서 전쟁미망인 등 피난민을 돕는 일을 했다. 구호물자를 나눠주는 것으론 부족했다. 전후 한국엔 돈이 모자랐고, 금융 시스템이랄 것도 없었다. 고리대금에 시달리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수녀가 되기 전 전 허드슨 탄광회사에서 일했던 가브리엘라 수녀는 회계 전문가로서의 특기를 발휘했다. 1930년대 캐나다를 경제 대공황에서 건져낸 신용협동조합 ‘안티고니시 운동’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가브리엘라 수녀는 1960년 5월 국내 최초의 신용협동조합인 ‘성가신용협동조합’을 설립했다. 정부가 주도하는 재건국민운동본부와 손잡고 전국을 다니며 협동조합 지도자 강습회도 열었다. 강습회에 참여한 청년들이 마을로 돌아가 금고 설립에 나섰다. 1963년 5월과 6월 사이 경남 하둔ㆍ월곡ㆍ정암ㆍ외시ㆍ마산 5곳에 마을금고가 세워졌다. ‘근검ㆍ절약해 저축하고 상부상조하면서 잘살아 보자’. 소박하지만 절실한 구호는 통했다. 불과 1년 후인 1964년 5월 말 경남에서만 169개 마을금고가 생겨났다. 새마을금고의 시작이었다.
60년이 지나 새마을금고는 총자산 284조원(지난해 말 기준)에 이르는 금융사로 자라났다. 대형 시중은행에 버금가는 규모다. 그러나 일부 지역 금고의 부실 대출과 연체율 급증으로 새마을금고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 금융당국의 ‘급한 불 끄기’로 도미노식 예금 인출 사태는 막았지만 불안이 다 가신 건 아니다.
“성장이란 나무가 자라는 것과 같다. 넓어지는 가지를 뿌리가 감당할 수 없으면 나무는 쓰러진다.” 수십 년 전 가브리엘라 수녀는 협동조합의 미래를 이렇게 고민했다고 한다. 지금 새마을금고에 필요한 말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