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go against demands for reinven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w to go against demands for reinvention (KOR)

Rep. Kim Young-joo — the deputy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a member of the majority Democratic Party (DP) — declared that she would change her party affiliation to the governing People Power Party (PPP). Kim, a four-term lawmaker, said, “I fully empathize with PPP interim leader Han Dong-hoon’s call to change politics in Korea,” adding she would do her best to help the PPP win the April 10 parliamentary elections. The legislator is expected to run in her current constituency in northern Seoul. The reason for her sudden about-turn is clear: She has just been cut off from her candidacy after receiving a “bottom 20 percent score for her performance as a lawmaker” from the DP.

Even given the DP’s notoriously opaque nomination standards, her migration to the PPP in just two weeks looks weird. Despite the abnormality, it looks strange for Kim to run in the same district after changing her party membership. But at the same time, the PPP leadership’s attempt to bring in the seasoned politician to run in the same constituency this time as a PPP lawmaker is not convincing, either.

In fact, it is difficult to see any sign of change in the PPP when considering the nominations of its candidates in the election. The head of its innovation committee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change for the conservative party. He pleaded party leaders, lawmakers close to President Yoon Suk Yeol, and senior lawmakers representing South and North Gyeongsang to reinvent themselves. And yet, heavyweights of the party — such as Rep. Chung Jin-suk and Rep. Kwon Seong-dong — have all been nominated as single candidates even without holding a primary.

What really happened to the party’s pledge to reshape itself? Only 16 percent of its current lawmakers have been replaced with new faces. By now, Rep. Chang Je-won may be regretting his earlier decision to not seek his fourth term to help his party inject new blood.

All the alarming developments in the PPP raise suspicion over the party’s persistent promise to rejuvenate itself. Even Kim Keun-shik, the party’s candidate for a seat representing a district in southern Seoul, expressed regrets about the nominations of lawmakers who claimed to be Yoon loyalists and others who had pressured a former floor leader to not run in the race for the party leadership last year.

There cannot be one answer to nominating candidates in the legislative elections. But voters will surely judge them through their ballots. Regrettably, interim PPP leader Han threw cold water on supporters’ expectations for a rebirth of the party through refreshing nominations. The PPP must not brush off people’s growing demand for reinvention of the party.
 
 
 
국민의힘, "와이프·아이만 빼고 다 바꾸자" 하더니…
 
민주당 국회부의장 데려와 출마시키는 희극도
혁신위 강조했던 인적 쇄신 찾기 어려운 공천
 
 
지난달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영주 국회부의장이 오늘 국민의힘에 입당한다고 선언했다. 17대 국회에 입성한 후 서울 영등포갑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19·20·21대 4선 국회의원을 지낸 그는 어제 SNS에 "여의도 정치를 바꿔보자는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주장에 십분 공감했다.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현 지역구인 영등포갑에 출마할 방침이라고 한다. 그가 국민의힘으로 갈아탄 이유는 자명하다. 민주당에서 의정 활동 하위 20%를 통보받고 컷오프됐기 때문이다.  
 
민주당 공천이 불투명하고 문제가 많다는 건 인정한다. 하지만 불과 2주 전까지 민주당 다선 중진의원 몫으로 국회부의장 석에 앉아 있던 인물이 하루아침에 무소속도 아닌 여당으로 바꿔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려는 건 누가 봐도 기이하다. 정치 금도를 벗어난 김 의원도 문제지만, 그를 빨간색에서 파란색 점퍼로 갈아입혀 출마시키려는 국민의힘 지도부 또한 명분도 설득력도 없다. 정치를 희화화할 뿐이다.  
 
83%가량 진행된 현시점에서 국민의힘 지역구 공천을 돌이켜 보면 과연 무슨 변화, 감동, 쇄신이 있었는지 찾아보기 힘들다. 지난해 10월 등판한 '인요한 혁신위원회'는 "와이프와 아이만 빼고 다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현 당시 대표 등 지도부와 친윤, 영남권 중진의 용퇴를 압박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당시 지도부 중 사무총장(이철규), 정책위의장(박대출), 수석대변인(유상범), 조직부총장(배현진) 등 핵심 인사는 모두 경선 없이 단수공천됐다. 친윤 핵심 인사도 불출마를 선언한 장제원 의원을 제외하곤 정진석, 권성동, 정점식, 윤한홍 의원 모두 단수공천을 받았다. 쇄신한다던 영남권 다선 중진들도 대다수가 현상 유지였다. 전체 현역 교체율은 현재 16%에 불과하다. 당시 혁신위가 강조했던 메시지는 공염불에 그치고 말았다. 이러니 장제원 의원만 억울할 듯싶다. 국민 기대와는 다르게 철저한 기득권 공천으로 일관하는 일본 자민당의 모습을 닮았다.  
 
"이럴 거면 뭐 하러 혁신위를 했던 거지"란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러니 내부에서도 "국민들은 핵관 호소인, 친윤 호소인, 나경원·안철수를 눌러 앉혔던 사람들(연판장 초선들), 완장 차고 골목대장 놀이 하던 사람들이 배제되길 기대했을 텐데, 아직은 거의 없다"(김근식 송파병 후보)는 쓴소리가 나온다.  
 
공천에 정답이란 없을 터다. 평가도 결국 유권자가 할 것이다. 하지만 뭔가 크게 정치판을 바꿔줄 것이란 기대로 등장한 한동훈 비대위원장 체제 아니었는가. 그렇기에 잡음 없는 '현역 불패' '리필 공천'에서 감동을 찾으라 하고, 그에 대한 지적조차 억까(억지로 까기)라고 하니 참으로 맥 빠지고 실망스러울 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