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hodical move to reverse judicial risk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methodical move to reverse judicial risks (KOR)

The majority Democratic Party (DP) on Monday submitted a special motion to reinvestigate the suspicious remittance of $8 million to North Korea by SBW Group’s former chairman, Kim Sung-tae. Kim is suspected of sending $5 million to the North in 2018 at the request of former Vice Gyeonggi Governor Lee Hwa-young to proceed with a smart farm project pushed by the province and sending another $3 million in return for then-Governor Lee Jae-myung’s visit to Pyongyang. The prosecution requested a 42-month jail term for Kim and a 15-year jail term for the former vice governor on charges of National Security Act violation. Lee Jae-myung, the current DP leader, faces the charge of offering a bribe to North Korea through a third party. As his own political fate depends on the results of the ongoing trials over his two allies, the DP can hardly avoid criticisms for its calculated move to defend its boss.

The DP claims that the prosecution arbitrarily transformed SBW’s stock price manipulation case into a case of illegal remittance of money to the North. The DP also contends that the prosecution cajoled the vice governor into accepting his crime in order to draw the DP leader to the case. But prosecutors outright denied such allegations. The prosecution linked such accusations to the vice governor’s need to shake the legitimacy of the prosecution’s investigations and court trials. But the majority party hurriedly submitted the special motion just four days before the bench delivers its first ruling on Friday. That upsets the integrity of our normal judicial system.

After submitting two special motions aimed at probing into the presidential office’s alleged pressure on the military investigation on the suspicious death of a Marine and looking into several suspicions around first lady Kim Keon-hee, the DP is preparing to submit other special motions, including one aimed at attacking the prosecution for its “politically-motivated investigation” of the Daejang-dong scandal involving the DP leader. The party prepares to launch an aggressive counterattack against the government through the appointment of special prosecutors to effectively turn the tide. If President Yoon Suk Yeol vetoes such motions, the DP can denounce the president for his habitual resort to his veto power.

The DP even plans to revise its party constitution to help its leader overcome apparent disadvantages from his own judicial risks, extend his chairmanship of the party, and eventually run for president in 2027. The controversy over Lee Jae-myung’s privatization of the majority party is nothing new. The party seems to have forgotten a stern punishment from the voters for the arrogance of political parties whether they are a governing party or an opposition.
 
 
 
노골적 방탄 특검…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 뒤집기 나선 거야
 
1심 판결 나흘 전 '김성태 대북 송금' 특검법 발의
이재명 대선의 걸림돌 될 당헌·당규도 손질 추진
 
 
더불어민주당이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 대북 송금 사건을 전면 재수사하는 내용의 특검법안을 어제 발의했다. '김성태 대북 송금 사건'은 2018년 경기도가 북한에 약속한 스마트팜(지능형 농장) 사업 지원비(500만 달러)와 당시 경기지사였던 이재명 대표의 방북 비용(300만 달러)을 쌍방울 측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요청으로 북측 인사에게 대납했다는 의혹이다. 김 전 회장과 이 전 부지사는 기소돼 각각 징역 3년6개월, 징역 15년이 구형됐다. 이 대표는 제3자 뇌물죄 혐의를 받는다. 이 사건 재판 결과에 따라 공범으로 엮여 있는 이 대표의 사법적 운명이 갈릴 수 있다는 점에서 “노골적인 방탄 특검법”이란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민주당은 “검찰이 쌍방울 주가조작 사건을 대북 송금 사건으로 둔갑시키고 이화영 전 부지사를 회유 압박해 이재명 대표를 끌어들이려고 조작했다”는 게 사건의 본질이라며 “방탄과 상관없고, 검찰 허위 진술 강요 또는 회유에 대한 진상을 밝히는 법률"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전 부지사의 ‘검찰 술자리 회유’ 주장 등에 대해 검찰은 사실무근이라며 상반된 입장을 보인다. 오히려 이화영 전 부지사 측이 회유 의혹을 제기해 수사와 재판의 정당성을 흔들려 한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양측이 증거와 논리에 따라 법정에서 실체적 진실을 가리는 게 중요하다. 재판 중인 사안에 대해, 특히 판결(7일 1심 선고)을 나흘 앞두고 특검법이 발의된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렵다. 이는 사법 체계를 흔들고 신뢰를 훼손할 수 있는 우려스러운 행위다.
 
22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채 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우선 발의한 민주당은 대북 송금 특검법 제출을 신호탄으로, 대장동 50억 클럽과 대장동 정치검찰 조작수사 특검법 등을 추가로 내놓겠다고 벼른다. 이 대표는 대장동 의혹 사건의 피의자 신분이다. 여론에 우호적이라고 판단되는 채 상병 특검법 등을 전면에 내세워 시선을 끈 다음 이 대표 사법 리스크 뒤집기를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추후 윤석열 대통령이 특검법안을 거부한다면 거부한 대로 대통령실에 불통의 이미지를 덧씌울 수 있기에 이 대표로선 꽃놀이패를 쥔 것이나 다름없다.
 
민주당은 ‘대선 1년 전 당권-대권 분리’ 규정에도 예외를 두고, 부정부패에 연루돼 기소된 당직자의 직무 정지 등의 당헌-당규 조항은 없애겠다고 한다. 이 대표의 대표직 연임 도전과 차기 대선 출마 일정, 사법 리스크 등과 직결된 문제들이다. 대표의 대선 행보를 위해 당내 민주화와 혁신의 성과물을 허물겠다는 게 아니고 무엇인가. 정당 민주주의에 반하는 사당화 현상이 지금 이 거대 야당의 현실이다. 오만과 독주에 대한 민심의 심판은 여야를 가리지 않는다는 평범한 진리를 민주당만 잊고 있는 듯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