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igilance versus the composur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vigilance versus the composure (KOR)

The U.S. vigilance to sustain itself as a hotbed of global talents versus Korea’s complacency despite continued hemorrhage in brain power are exemplified by contrasting responses to the wave of AI.

The White House last week released its National Security Memorandum (NSM) pertaining to incorporating AI into “national security systems.” The document is by far the most comprehensive articulation of the U.S. national security strategy and policy toward AI. It encompasses specific approaches and directions for federal agencies to implement and harness AI technologies for national security b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technology’s impact on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policy beyond its understanding as an output of innovative competition in the private sector.

It aims to defend U.S. leadership in AI development and use and concentrate federal capabilities to protect the AI ecosystem against foreign intelligence threats and manage risks to AI safety, security and trustworthiness.

The 38-page unclassified document underscores U.S. vigilance in the AI arena. AI has emerged as an “era-defining” technology that can dictate national capabilities. If the U.S. government does not act quickly, it can risk losing ground to strategic competitors. And ceding the U.S.’s technological edge “would not only greatly harm American national security, but it would also undermine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erode safety, human rights and democratic norms worldwide.”

The memorandum directs federal agencies to “use all available legal authorities to assist in attracting and rapidly bringing to the United States individuals with relevant technical expertise who would improve U.S. competitiveness in AI and related fields such as semiconductor design and production.” The Biden administration in October last year opened a website devoted to issuing visas for highly skilled immigrants and migrants. The U.S. government is directly vying to bring global talents to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AI Index 2024 tracking worldwide AI trends by Stanford University, the United States maintains a relatively high talent acquisition rate with a net inflow at about 0.4 per 10,000 population. Although behind Luxemburg (3.67) and Canada (0.96), the country home to big-tech majors poses as an attractive destination for AI talents. In comparison, Korea recorded a net outflow of 0.3. According to the Paulson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Korea — already short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degrees — loses about 40 percent of hard-won AI talents to other countries. In contrast to the U.S. sense of urgency, the Korean government remains relaxed, oblivious to the brain drain. AI defines corporate competitiveness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 can hardly keep up in the AI race with such a passive mindset.
 
 
 
AI를 전략자산 지정한 미국, 한국 정부 어떤 대응책 준비하나
 
AI 우위 확보 위해 인재 유치전 뛰어든 미 정부
해외유출 파악도 안하는 한국, 미래전략 시급
 
 
인재가 모이는 초강대국 미국의 위기의식, 인재유출 심한 후발주자 한국의 안이함. 지금 인공지능(AI)과 관련한 한·미 양국정부의 태도다. 미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24일(현지시간) AI를 핵무기 같은 국가 전략자산으로 간주하는 '국가안보 각서'(NSM)를 발표했다. NSM은 안보관련 지침을 정부 각부처에 전달하는 공식문건이다. AI가 단순히 민간기업간 기술경쟁이 불러온 산업혁신의 결과물 차원을 넘어 국가안보에 끼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의 체계적 접근을 명시한 문서다. 이미 저만치 앞선 미국이 확실한 기술적 우위를 다지는 동시에 AI의 각종 부작용이나 적대세력의 잠재적 위협 등을 통제하기 위해 범정부적 역량을 총동원하겠다는 이정표다.  
 
총 38쪽의 공개문서는 미국의 위기의식을 잘 보여준다. 미 정부는 "핵무기 보유국과 비보유국간 힘의 불균형처럼, 앞으론 AI기술의 유무와 발전정도가 국가간 역량에 결정적 차이를 만들 것"이라며 "AI의 기술적 우위 상실은 국가안보뿐 아니라 외교정책 목표까지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AI 우위를 위해 인재유치를 최우선과제로 꼽았다. NSM에 드러난 미국정부의 인재확보 노력은 경쟁국엔 공포스러울 정도다. 우선 미국뿐 아니라 해외 AI 인재시장 자료를 만들 것을 지시했다. 또 “국무부·국방부·국토안보부 등은 모든 법적권한을 활용해 AI와 반도체 전문가를 미국으로 데려와야 한다”며 미국 입국 비자 간소화를 명령했다. 앞서 바이든행정부는 지난해 10월 "고도로 숙련된 이민자·비이민자를 위한 비자 허가를 확대해야 한다"며 별도 홈페이지까지 만들어 인재확보를 돕겠다고 밝혔었다. 이젠 민간기업의 조력자 차원을 넘어 미 정부가 직접 글로벌 인재유치 전쟁에 뛰어들겠다는 선언이 NSM이다.  
 
지난 4월 스탠퍼드대가 내놓은 AI 인덱스(2024)에 따르면 미국은 인구 1만 명당 0.4명의 AI 인재 순유입 국가다. 룩셈부르크(3.67명)나 캐나다(0.96명)보다는 뒤지지만 전세계 인재가 여전히 미국내 빅테크로 몰려든다. 반면 한국은 다른 AI 강국들과 대조적으로 0.3명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의대쏠림으로 가뜩이나 우수한 이공계 석·박사 인력배출이 부족한 와중에 어렵게 길러낸 AI 인재 40%가 해외로 떠나는 실정(2022년 기준 시카고대 폴슨연구소)이다.  
 
우리보다 형편이 훨씬 나은 미국 정부도 이렇게 인재사냥에 절박한데, 한국 정부는 해외유출 규모조차 파악하지 않을 만큼 태평하다. AI는 관련기업의 글로벌경쟁력 정도가 아니라 국가의 명운이 달린 과제다. 정부의 이런 안이한 문제의식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지가 걱정스럽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