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mazing power of storytelling in elections (KOR)
Published: 30 Oct. 2024, 12:39
JUNG KANG-HYUN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JTBC.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my career as a journalist, I covered and reported about politics. Despite my career, I still find many parts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hard to understand.
For instance, Harris had a sweeping victory over Trump in the television debates but cannot get ahead of him. Moreover, Trump openly lies and is involved in all kinds of unethical scandals, including paying off a porn star. But with only six days left until the election, Trump’s ratings are ahead of Harris’s in some swing states, rather than declining.
As I covered the public sentiment in Arizona, Georgia and Wisconsin, I had a chance to get a glimpse of what lies beneath this incomprehensible phenomenon. It’s the power of storytelling that Trump constantly fabricates.
American literary scholar Jonathan Gottschall declares in his book “The Storytelling Animal” that “story is constantly nibbling and kneading us, shaping our minds without our knowledge or consent.” I tried to understand Trump’s possible return to power despite various moral flows from the perspective of “Homo fictus,” what Gottschall describes as a “storytelling man.”
Aside from a value judgment, Trump is a better storyteller than Harris. This is evident from their countless speeches and debates. If you want to classify genres, Trump tells fiction while Harris tells non-fiction.
In other words, Trump tells stories that his supporters want to hear, often using false claims to make them. He narrates his character as a hero fighting against villains and turns the presidential campaign into a drama. The basic structure of his story features illegal immigrants as villains, the jobs and security crisis as a conflict and Trump himself as the hero who solves problems. It has the effect of taking the listener into a fantas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reality.
On the other hand, Harris is a nonfiction speaker narrating facts based on reality. Rather than fabricating, she preaches reality such as Trump’s threat to democracy. Her story is morally valid, but it may not be a charming, persuasive one in terms of Homo Fictus, who enjoys raving over gripping stories.
After all, stories depend on the power to attract people. Authority is the power that forces others to obey, while charm is the power that draws people in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In the tight presidential race, the weight of charm may determine the outcome. Authority cannot force charm, but charm can often be an important springboard to seize power.
매력과 권력
정강현 워싱턴 특파원
기자생활의 상당기간을 정치부에서 취재하고 보도했다. 그런 이력에도 최근의 미 대선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이를테면 TV토론에서 압승하고도 해리스는 트럼프를 따돌리지 못했다. 게다가 트럼프는 공공연하게 거짓말을 하고, 포르노 배우와 얽힌 뒷거래를 비롯해 온갖 비도덕적 추문의 당사자다. 하지만 선거를 일주일 앞둔 시점에서 그런 트럼프의 지지세는 꺾이기는커녕 일부 경합주에선 해리스를 앞지르는 결과도 나온다.
최근 애리조나와 조지아, 위스콘신주의 바닥 민심을 직접 취재하면서 이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의 배경을 짚어볼 수 있게 됐다. 바로 트럼프가 끝없이 빚어내는 스토리텔링의 힘이다.
미국 영문학자 조너선 갓셜은 저서 ‘스토리텔링 애니멀’에서 이렇게 선언한다. “이야기는 끊임없이 우리를 만지작거리고 주물럭거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우리의 마음을 빚어낸다.” 나는 여러 도덕적 결함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의 재집권이 아른거리는 현상황을 ‘호모 픽투스(Homo fictus, 이야기하는 인간)’의 관점에서 이해해보려 했다.
가치판단을 제외하고 말하면 트럼프는 해리스에 비해 뛰어난 이야기꾼이다. 트럼프와 해리스, 두 후보의 무수한 연설과 토론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장르로 따지면 트럼프는 픽션, 해리스는 논픽션 쪽이다.
말하자면 트럼프는 지지자들이 듣기 원하는 이야기를 허구를 동원해서라도 지어낸다. 트럼프는 자신을 악인과 맞선 영웅으로 서사화하면서 대선 캠페인을 드라마처럼 끌고 간다. 그의 이야기는 악인(불법 이민자)이 등장하고 갈등(일자리와 치안 위기)이 벌어지고, 이를 해결하는 영웅(트럼프)이 기본구조를 이루는 식이다. 이는 듣는 사람을 현실과 무관한 판타지로 데려가는 효과를 낸다.
반면 해리스는 현실에 기반한 사실을 서술하는 논픽션 강연자다. 그는 판타지를 지어내는 대신 현실(트럼프의 민주주의 위협)을 자세히 설파한다. 이것은 도덕적으로 온당할지 몰라도 잘 짜인 이야기에 열광하는 ‘호모 픽투스’ 관점에선 그리 매력적 설득방식이 아닐 수도 있다.
결국 이야기는 사람을 잡아당기는 힘(매력)에 좌우된다. 권력이 타인의 복종을 강제하는 힘이라면 매력은 옳든 그르든 타인이 스스로 다가오게끔 하는 힘이다. 초박빙으로 흐르는 이번 대선은 그 매력의 경중에 따라 승패가 결정될지 모른다. 권력이 매력을 강제할 순 없지만 매력은 종종 권력창출의 중요한 발판이 된다.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JTBC.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my career as a journalist, I covered and reported about politics. Despite my career, I still find many parts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hard to understand.
For instance, Harris had a sweeping victory over Trump in the television debates but cannot get ahead of him. Moreover, Trump openly lies and is involved in all kinds of unethical scandals, including paying off a porn star. But with only six days left until the election, Trump’s ratings are ahead of Harris’s in some swing states, rather than declining.
As I covered the public sentiment in Arizona, Georgia and Wisconsin, I had a chance to get a glimpse of what lies beneath this incomprehensible phenomenon. It’s the power of storytelling that Trump constantly fabricates.
American literary scholar Jonathan Gottschall declares in his book “The Storytelling Animal” that “story is constantly nibbling and kneading us, shaping our minds without our knowledge or consent.” I tried to understand Trump’s possible return to power despite various moral flows from the perspective of “Homo fictus,” what Gottschall describes as a “storytelling man.”
Aside from a value judgment, Trump is a better storyteller than Harris. This is evident from their countless speeches and debates. If you want to classify genres, Trump tells fiction while Harris tells non-fiction.
In other words, Trump tells stories that his supporters want to hear, often using false claims to make them. He narrates his character as a hero fighting against villains and turns the presidential campaign into a drama. The basic structure of his story features illegal immigrants as villains, the jobs and security crisis as a conflict and Trump himself as the hero who solves problems. It has the effect of taking the listener into a fantas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reality.
On the other hand, Harris is a nonfiction speaker narrating facts based on reality. Rather than fabricating, she preaches reality such as Trump’s threat to democracy. Her story is morally valid, but it may not be a charming, persuasive one in terms of Homo Fictus, who enjoys raving over gripping stories.
After all, stories depend on the power to attract people. Authority is the power that forces others to obey, while charm is the power that draws people in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In the tight presidential race, the weight of charm may determine the outcome. Authority cannot force charm, but charm can often be an important springboard to seize power.
매력과 권력
정강현 워싱턴 특파원
기자생활의 상당기간을 정치부에서 취재하고 보도했다. 그런 이력에도 최근의 미 대선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이를테면 TV토론에서 압승하고도 해리스는 트럼프를 따돌리지 못했다. 게다가 트럼프는 공공연하게 거짓말을 하고, 포르노 배우와 얽힌 뒷거래를 비롯해 온갖 비도덕적 추문의 당사자다. 하지만 선거를 일주일 앞둔 시점에서 그런 트럼프의 지지세는 꺾이기는커녕 일부 경합주에선 해리스를 앞지르는 결과도 나온다.
최근 애리조나와 조지아, 위스콘신주의 바닥 민심을 직접 취재하면서 이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의 배경을 짚어볼 수 있게 됐다. 바로 트럼프가 끝없이 빚어내는 스토리텔링의 힘이다.
미국 영문학자 조너선 갓셜은 저서 ‘스토리텔링 애니멀’에서 이렇게 선언한다. “이야기는 끊임없이 우리를 만지작거리고 주물럭거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우리의 마음을 빚어낸다.” 나는 여러 도덕적 결함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의 재집권이 아른거리는 현상황을 ‘호모 픽투스(Homo fictus, 이야기하는 인간)’의 관점에서 이해해보려 했다.
가치판단을 제외하고 말하면 트럼프는 해리스에 비해 뛰어난 이야기꾼이다. 트럼프와 해리스, 두 후보의 무수한 연설과 토론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장르로 따지면 트럼프는 픽션, 해리스는 논픽션 쪽이다.
말하자면 트럼프는 지지자들이 듣기 원하는 이야기를 허구를 동원해서라도 지어낸다. 트럼프는 자신을 악인과 맞선 영웅으로 서사화하면서 대선 캠페인을 드라마처럼 끌고 간다. 그의 이야기는 악인(불법 이민자)이 등장하고 갈등(일자리와 치안 위기)이 벌어지고, 이를 해결하는 영웅(트럼프)이 기본구조를 이루는 식이다. 이는 듣는 사람을 현실과 무관한 판타지로 데려가는 효과를 낸다.
반면 해리스는 현실에 기반한 사실을 서술하는 논픽션 강연자다. 그는 판타지를 지어내는 대신 현실(트럼프의 민주주의 위협)을 자세히 설파한다. 이것은 도덕적으로 온당할지 몰라도 잘 짜인 이야기에 열광하는 ‘호모 픽투스’ 관점에선 그리 매력적 설득방식이 아닐 수도 있다.
결국 이야기는 사람을 잡아당기는 힘(매력)에 좌우된다. 권력이 타인의 복종을 강제하는 힘이라면 매력은 옳든 그르든 타인이 스스로 다가오게끔 하는 힘이다. 초박빙으로 흐르는 이번 대선은 그 매력의 경중에 따라 승패가 결정될지 모른다. 권력이 매력을 강제할 순 없지만 매력은 종종 권력창출의 중요한 발판이 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