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ility hinges on nuke-free North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Stability hinges on nuke-free North

Fifteen years ago, I met an Israeli journalist at a seminar in New York, and we became friends. At the time, CNN and other media outlets were covering the clashes between Israel and the Palestinians daily. I asked if the people’s lives in Israel were unstable, and my friend insisted that the situation was not as intense as the news made it sound.

Then he asked me about Korea. Was South Korea actually in a confrontation with the North?

His question was a wake-up call, reminding me of the risk on the Korean Peninsula.

South and North Korea have maintained a truce for 63 years. And in that time, we have become desensitized to repeated aggressions by our neighbor to the north. The financial market fluctuates when Pyongyang engages in a show of force, only to stabilize again soon after. Even after the news of North Korea’s latest nuclear test, tensions did not seem to last very long.

Thirty-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North Korea left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and a decade has passed since its first nuclear test. Mean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ave failed to persuade Pyongyang to abandon its nuclear weapons. On Jan. 6, Pyongyang conducted its fourth nuclear test - a clear sign that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ies are advancing.

We cannot be indifferent to these threats. They are real hindrances to peace. But most of us do not understand the gravity of what it means to possess nuclear weapons because it does not affect our everyday lives.

It is unfortunate that the value of Korean companies is discounted i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because of the geopolitical uncertainty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Korean economy successfully overcame a series of crises, what is known as the “Korea discount” was alleviated. Our economic fundamentals are undeniably heathier now to endure any risks from North Korea.

But the nuclear threat applies tremendous pressure on a different level. We’re not just talking about discounted stock prices. Priorities in government policy and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must inevitably change. The president’s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nuclear issue, above all others. We cannot help increasing the defense budget. The resources that could be used to create jobs and enhance welfare may have to be diverted to respond to the nuclear threat.

Lately, South Koreans have started self-deprecatingly referring to Korea as “Hell Joseon.” Young people see their everyday reality as hell due to the high unemployment rate and a crippling corporate culture. But what’s obvious is that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resulting from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have only made this reality worse.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as finally prepared a plan for sanctions on North Korea. And while loopholes for Pyongyang still exist, the restric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upgraded. China, the North’s longtime ally, also approved the new sanctions. The package should push North Korea to give up its nuclear program. But as long as a nuclear-armed North Korea remains, Hell Joseon will never end.

The author is the New York correspondent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March 1, Page 26

by LEE SANG-RYEOL


15년 전의 일이다. 뉴욕의 한 세미나 프로그램에서 이스라엘 중견 언론인과 가까이 지내게 됐다. CNN 등 현지 방송엔 연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충돌 사태가 보도됐다. 그에게 “늘 저러면 일상이 불안하지 않으냐”고 물었다. 그는 보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살벌하지는 않다면서 내게 물었다. “한국이야말로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데 위험하지 않은가.” 순간, 뒤통수를 맞은 것 같던 느낌이 지금도 선명하다.
1953년 이래 한반도에 펼쳐진 정전 63년은 긴장의 세월이었다. 그사이 우리는 북한의 반복적인 도발에 둔감해졌다. 금융시장은 북한의 도발에 출렁이다가도 오래지 않아 정상을 되찾는다. 심지어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했다는 뉴스에도 시중의 위기감은 길게 지속되지 않는다. 서서히 뜨거워지는 물속의 개구리가 급기야 물이 끓는데도 뛰쳐나오지 못하는 것과 닮았다고나 할까.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한 지 33년, 1차 핵실험을 한 지 10년이 흘렀다. 그사이 세계 최강대국들 모임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까지 나섰지만 핵무기를 갖겠다는 북한의 야욕을 꺾지 못했다. 북한은 연초 4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북한의 핵무기 역량은 더욱 고도화됐다. 북한 핵은 절대로 강 건너 불구경 대상이 아니다.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가 실질적으로 위협받는다. 그런데도 많은 이가 북한 핵 문제의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은 먹고사는 일과 당장 관련 없다고 여겨서일지 모른다.
과연 그럴까.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것이 있었다. 국제금융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 가치가 제값을 못 받는 안타까운 현상이었다. 주된 이유 한 가지는 남북관계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이었다. 한국 경제가 몇 차례 위기를 훌륭히 극복해내자 그 말이 쑥 들어갔다.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북한 리스크를 감당할 만큼 튼튼해진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북한의 핵위협은 차원이 다른 문제다. 우리에게 막대한 부담을 새로 안긴다. 비단 주가 디스카운트만이 아니다. 정부 정책과 자원 배분의 우선순위 변화가 불가피하다. 대통령의 관심은 북한 핵 문제에 보다 집중될 것이다. 국방비 증가를 각오하지 않을 수 없다. 일자리 창출과 복지 지출에 투입될 수 있는 재원이 북핵 대처에 쓰일지도 모른다.
최근 ‘헬 조선(Hell Joseon)’이란 표현이 부쩍 많아졌다.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실의에 빠진 젊은이들에게 현실은 지옥 같다는 것이다. 더 늦기 전에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분명한 것 한 가지는, 북한 핵이 초래하는 한반도 긴장 상황은 척박한 현실을 더 악화시키게 될 거라는 점이다.
유엔 안보리가 마침내 대북 제재안을 마련했다. 북한이 빠져나갈 구멍(loophole)이 보이긴 하지만, 그래도 강력하게 업그레이드된 내용이다. 번번이 북한을 비호하던 중국도 도장을 찍었다. 이번엔 제재가 제대로 효력을 발휘해 북한이 두 손 두 발 다 들고 핵을 포기하게 만들어야 한다. 핵을 머리에 이고 사는 동안은 헬 조선이 끝나지 않는다.
이상렬 뉴욕특파원
[출처: 중앙일보] [글로벌 아이] 북한 핵과 ‘헬 조선’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