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 the duty-free fiasco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nd the duty-free fiasco

The country’s duty-free shop policy went back to its original framework even before the revised version enacted two years ago actually took of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on Thursday announced the license to operate duty-free shops would be extended to 10 years, reversing the earlier law to shorten the business period to five years.

It deferred the decision on whether to apply the extensions to the Lotte World Tower and Walkerhill Hotel shops that are due to close in the next couple of months when their tenure expires in late April.

The newcomers who won licenses have been opposing preferential grandfathering for the outgoing businesses. The policy fiasco is a typical example of a short-sighted administrative mess and incompetence.

The revised law that capped the license period to five years had been criticized from the beginning. Restricting the business period hurt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tail sector that is pivotal to the tourism industry, and could bring about job insecurity as capital and human resource losses are inevitable if the business is capped at five years.

It was dubbed as the biggest business policy flop of the incumbent government. Even the president was critical of the regulation, sending the government to come up with a revision fast.

But the re-revised version is no better. Duty-free shops do not serve domestic demand. It is an export industry targeting foreign-currency revenue. Global competition has gotten more intense. China is establishing duty-free shops in 19 areas. Japan is also expanding tax-free retail shops across the nation. The only measure the local government comes up with to sustain the industry amid heated competi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is moderating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the license period.

The fiasco should be a lesson to both the government and legislature. The entire industry can be jeopardized if the government slaps regulations without any regard to market principles. Hundreds of people could lose their jobs. It also showed how powerful lawmaking activity could be.

The government made itself incompetent because it was engrossed in rent-seeking by relying on legislative authority. Both the government and legislature must make amends by coming up with a lasting and innovative outline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uty-free shopping industry.

JoongAng Ilbo, April 1, Page 30


면세점 제도가 2년 만에 도돌이표가 됐다. 기획재정부는 어제 '보세판매장(면세점)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2년 전 5년으로 줄였던 특허 기간을 다시 10년으로 연장하고 갱신도 허용하기로 했다. 논란이 컸던 신규 특허 여부 결정은 4월 말로 늦췄다. 지난해 신규 사업자로 선정된 업체들이 기존 사업자의 재진입만은 절대 안 된다고 강력하게 반발했기 때문이다. 갈팡질팡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른바 '홍종학법'으로 불리는 5년 시한부 면세점 특허 제도는 여론의 호된 질타를 받았다. 관광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고용 불안을 불렀으며 투자 위축까지 폐해를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였다. 산업계에서는 현 정부의 최대 실패 정책이란 얘기마저 나왔다. 오죽했으면 대통령까지 비난행렬에 가세했겠나. 정부가 잘못된 제도를 인정하고 신속하게 보완책을 내놓은 것은 일단 환영할 만 하다.
하지만 보완책이 여전히 미봉책에 그치고 있어 문제다. 면세점은 더 이상 내수 산업이 아니다. 외국인을 겨냥한 수출 산업이다. 글로벌 경쟁도 치열해졌다. 중국은 19곳에 입국 면세점을 새로 짓고 있다. 일본도 사후면제점환급제도를 크게 늘려나가고 있다. 면세점의 성패가 글로벌 경쟁에서 갈리게 된 것이다. 그런데도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특허 기간이나 업체 수 제한 같은 '우물안 경쟁'에만 머물고 있으니 한심할 따름이다.
이번 면세점 파동은 생각 거리를 많이 던져줬다. 정치권과 정부가 시장논리를 무시하고 규제의 잣대만 들이댄 결과 세계 1위를 자랑하던 면세 산업 기반이 뿌리째 흔들렸다. 수천 명이 일자리를 잃은 등 사회적 비용도 크게 치렀다. 역설적으로 국회의원 한 사람의 위력이 얼마나 대단한지도 알게 됐다. 산업계의 비명에는 귀를 틀어막은 채 국회 권력에 기대 자기 규제 파워를 늘리는데만 급급했던 정부도 할 말이 없게 됐다. 정치권과 정부는 대오각성해야 한다. 규제를 과감히 풀고 면세점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근본적 대책을 내놓는 것이 속죄의 시작이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