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old dream after 70 year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bold dream after 70 years (KOR)

CHOI KYEONG-HO
The author is the Gwangju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We cannot imagine how grand the 70th birthday in 1780 of China’s Qianlong Emperor, the sixth monarch of the Manchu-led Qing dynasty, would have been. The dynasty at the time wielded dominance over the world with twice China’s output of last year.

On Oct. 1, China celebrat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communist state. I arrived at the national ceremony at 4 a.m. at the press booth set up at the east of the Tiananmen — the Gate of Heavenly Peace that stands as the monumental gate in the center of Beijing — as required and sat there with other journalists for four hours until the ceremony began.

By 10:00 a.m. the 50,000 seats installed in the square were entirely filled. The audience had eyes on the main podium where China’s incumbent and former leaders — Xi Jinping, Jiang Zemin and Hu Jintao — were all seated. The parade of China’s newest weapons, including next-generatio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that can carry multiple nuclear warheads, displayed the country’s mighty arms capabilities. The ceremony aimed at fully showing off the country’s achievements over the span of 70 years lasted two hours and 40 minutes, ending with the spectacular release of a massive flock of 70,000 pigeons posing as “peace doves.”

Xi’s speech was 888 words long. He commanded the People’s Liberation Army to uphold not just national sovereignty, security and prosperity, but also world peace. The Chinese soldiers were given a new role to safeguard world peace as if China was stepping up to replace the United States in the role of global police.

What would Xi dream of? A recent column titled “Man’s world is mutable, seas become mulberry fields” on the People’s Daily suggests it. The column quoted Mao Zedong’s famous poem, which he had written upon news of the Nanjing occupation seven decades ago, to envision the future of China.

The column boasted that over the last 70 years, China has developed without brutal capital accumulation or colonization. It achieved a broader and truer form of democracy for the people than the Western societies where political parties take turns to govern, the column said. The world again faces the crossroads for socialism and China will advance until it achieves perfect socialist society, it stressed. It sounds like a new Communist Party manifesto.

At the opposite side of Mao 70 years ago was Hu Shih, a propagator of American pragmatism and liberalism. On Jan. 2, 1949, he wrote in his diary that there was no use regretting for “failing to plant at high hills in the first place,” referring to flooded mulberry fields alongside rivers. The United States may have to recite Shih’s regret for reviving nationalism and socialism in China, particularly after a trade war with China.

천안문 선언

연암이 본 1780년 건륭제의 일흔살 생일 만수절이 이렇게 성대했을까. 그 무렵 청나라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한 비율이 지난해 중국의 두 배가 넘었다니 오히려 더 화려했을까. 1일 신중국의 고희연(古稀宴)에 가는 길은 멀었다. 기자의 집합시간은 새벽 4시 반. 하늘 아래 온 세상이 평안하기를 바란다는 천안문(天安門) 동쪽 기둥석인 화표(華表) 앞 취재석에 도착해 4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오래도록 안정을 바라는 장안가(長安街)는 마지막 연습이 분주했다. 정각 10시 천안문 앞 5만여 좌석을 메운 관중의 눈길이 성루를 향했다. 시진핑·장쩌민·후진타오 전·현직 주석이 단합을 과시했다. 이어 차세대 핵미사일 등 첨단 무기가 행진했다. 화약 발명국임을 자랑하는 기세였다. 2시간 40분 이어진 잔치는 ‘조국 만세’를 새긴 초대형 화환 위로 7만 마리의 비둘기가 날아오르며 끝이 났다.
고희연의 메시지는 시 주석이 888자 연설로 전했다. 그는 인민해방군에게 “국가 주권·안전·발전이익과 세계평화를 수호하라”고 명령했다. 세계평화 수호는 새로운 임무다. 칼날을 드러내며 세계 경찰이 되겠다는 선언처럼 들렸다.
시 주석의 중국은 어떤 세상을 꿈꿀까? 지난주 인민일보에 실린 필명 ‘선언’(宣言)이 쓴 칼럼에 자세하다. “인간의 바른길은 창상이다(人間正道是滄桑).” 70년 전 난징을 점령했다는 소식을 들은 마오쩌둥이 지은 시의 끝 구절에서 따온 제목이다. ‘국민당의 뽕밭(桑)이 공산당의 바다(滄)로 바뀌는 게 옳다’는 비유로 읽힌다.
선언은 “중국은 자본의 원시 축적, 식민지 없이 국민경제를 발전시켰다”며 “여러 당이 번갈아 집권하는 서구식 민주 없이, 넓고 진실한 인민 민주를 수립했다”고 자랑했다. 또 “세계가 다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십자로에 섰다”며 “중국은 공산주의 사회를 최종 완성할 때까지 전진하겠다”고 다짐했다. 21세기판 ‘공산당 선언’이다. 마오는 같은 시에서 “명성을 얻으려다 실패한 항우의 전철은 밟지 않겠다”고 했다. 시 주석은 얼마 전 베이징 향산에 올라 이 구절을 인용하며 철저한 혁명 정신이라 치켜세웠다. 70년 전 마오의 반대편에는 자유주의자 후스(胡適·호적)가 있었다. 후스는 1949년 1월 2일 도연명의 시 ‘의고(擬古)’를 일기에 적었다. “애초 높은 곳에 심지 않았으니 이제 후회한들 무슨 소용 있으랴.” 그는 홍수에 쓸려간 강가의 뽕나무를 공산화된 중국에 비유했다. 천안문 선언을 듣는 미국도 후스의 자책에 공감하지 않을까. 중국의 칼날 앞에 선 한국도 다르지 않을 듯싶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