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e springs from companie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pe springs from companies (KOR)

PARK JIN-SEOK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A high column stands at the Jongno 4-ga crossroads. The memorial tower was erected in 1996 commemorating the centennial of the Park Seung-jik Store, the origin of Doosan Group. Founder Park Seung-jik saved up the seed money from traveling around the country as a peddler and opened a linen shop there in 1896. It was the beginning of the 100-year-old company.

The name Doosan appeared when Park’s son Doo-byung, the founding chairman of Doosan, changed the name of the store to Doosan Store in 1946. Taking “Doo” from his first name, Doosan means accumulating one by one to make a mountain.

As Doosan expanded to the trade, liquor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t grew into a substantial and solid mid-sized conglomerate. In the 21st century, it surprised the business world by radically transforming itself into a heavy industry-oriented company with Doosan Heavy Industries and Construction and Doosan Infracore. However, Doosan’s present is not so bright. With a slowdown in overseas construction boom an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s implementation of the nuclear phase-out policy, Doosan Group was shaken and had to ask for help from its creditors.

It is concerning as it coincides with the possible beginning of an economic crisis from the coronavirus outbreak. At the time of the 1997 foreign currency crisis, Koreans saw that the country could be shaken when large conglomerates faltered. As Hanbo, Sammi and Kia fell one after another, the economic growth rate that hovered around 7 and 8 percent suddenly fell to minus 5.5 percent in 1998. The unemployment rate in February that year was 8.8 percent, and the youth unemployment rate was as high as 14.5 percent.

Of course, it is unfair to compare Doosan with many insolvent companies at the time. Doosan saw relief after the government’s infusion of 1 trillion won ($813 million). But fiscal help is limited. At this juncture, the possibility of more companies asking for help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the economic crisis deepens.

There is much backbiting over the government’s decision to pay emergency rescue subsidies. It may be an indicator of how much the nation has grown over the past 20 years. But what saves people ultimately is not irregular subsidies but regular income, and it comes from businesses — not the state.

두산 박진석 사회에디터
서울 종로 4가 사거리에는 원기둥 모양의 높다란 구조물이 서 있다. 두산그룹의 모태인 ‘박승직 상점’ 설립 100주년을 기념해 1996년에 만들어진 기념탑이다. 박승직 창업주는 보부상으로 전국을 떠돌며 모은 자본을 바탕으로 1896년 이 곳에서 포목점을 열었다. ‘백년기업‘ 두산의 출발점이다.
두산이라는 이름은 1946년 박 창업주의 아들인 고 박두병 두산 초대 회장이 두산상회로 개명하면서 등장하게 된다. 선친이 박 전 회장 이름에서 말 두(斗)자를 따 “한 말 한 말 차근차근 쌓아 올려 산같이 커지라”는 뜻으로 지었다.
이후 두산은 무역업, 주류업, 건설업 등에 잇따라 진출하면서 내실 있고 탄탄한 중견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를 앞세운 중후장대형 기업으로 과감히 탈바꿈해 재계를 놀라게도 했다. 하지만 두산의 현재는 아름답지 않다. 해외 건설 붐의 퇴조와 탈원전 정책의 시행 등으로 급격히 흔들리면서 결국 채권단에 손을 벌리기에 이르렀다.
걱정스러운 건 경제 위기 초입일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라는 점이다. 우리 국민은 1997년 외환위기 때 대기업이 흔들리면 나라가 흔들린다는 사실을 제대로 실감했다. 한보, 삼미, 기아 등 대기업들이 연쇄적으로 쓰러지면서 연 7~8%를 넘나들던 경제성장률은 1998년 -5.5%로 추락했다. 그해 2월 실업률은 8.8%, 청년실업률은 14.5%였다. 부모는 길바닥으로 내몰렸고, 자녀는 취업 길이 막혔다. 자살, 노숙, 가정 파괴 등 무시무시한 용어들이 일상적으로 통용됐다.
물론 당시의 ‘함량미달’ 기업들과 현재의 두산을 비교하는 건 온당치 않다. 두산이 1조원을 수혈받아 한숨을 돌린 상황이기도 하다. 하지만 재정은 화수분이 아니다. 현 상황에서는 경제 위기가 본격화해 손 벌리는 기업들이 급증할 경우를 늘 염두에 둬야 한다.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결정에 대한 뒷말이 많다. 어찌 보면 지난 20여년간 국가가 얼마나 성장했는지 보여주는 지표일 수도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사람을 살리는 건 불규칙한 지원금이 아니라 고정적인 수입이며 이는 국가가 아닌 기업에서 나온다. 구휼도 좋지만 기업, 더 나아가 국민의 미래를 지킬 비상금까지 헐어내지는 않길 기원해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