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children are most unhappy in OECD nations

Home > National > Social Affairs

print dictionary print

Korea’s children are most unhappy in OECD nations

테스트

Children run yesterday at a field day event in Beon-dong, northern Seoul, in advance of today’s Children’s Day. By Byun Sun-goo


Are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happy with their lives? Not really, according to a survey released ahead of Children’s Day by Yonsei University’s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 and the Korea Bang Jeong Hwan Foundation.

The survey polled 6,410 students from fourth to 12th grade across the country in April this year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with 2006 data from member countrie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f all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Korean children feel the least happy.

According to the survey, Korean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index was 65.98 points, the low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and far below the OECD average of 100.

While Spain topped the list with 113.6 points, followed by Greece at 112.5 and the Netherlands at 110.3. Korea was 20.72 points behind Hungary, the nation with the second-most unsatisfied children.

The subjective happiness index measures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in six categories, including sense of belonging, loneliness, health,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life.

But aside from happiness, the survey also asked children about other aspects of their lives: behavior and lifestyl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education, health and security, and material happiness.

The good news is that Korea came out on top in the categories of education and behavior and lifestyle, with 127.8 and 129.3 points, respectively.

It ranked fourth in terms of material happiness behind Finland, Austria and the Czech Republic.

The research also showed that fourth graders, the youngest in the survey, said family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ir lives followed by health and freedom.

Researchers said priorities change as the children get older. Seniors in high school said they valued money the most, followed by family, friends and freedom.

Yonsei University’s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 and the Korea Bang Jeong Hwan Foundation began conducting the happiness survey of Korean students in 2009.

Children’s Day was created by children’s author Bang Jeong-hwan (1899-1931) in 1927 as a way to promote love and respect for children.


By Kim Mi-ju [mijukim@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연합]

“한국 어린이ㆍ청소년 ‘행복지수’ 꼴찌”

OECD 23개국 중 66점으로 3년 연속 최하위
방정환재단ㆍ연대 연구소, 행복지수 국제비교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 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다는 연구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방정환재단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는 5일 어린이날을 맞아 지난 3월∼4월 공동으로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 6천410명에게 `2011 한국 어린이ㆍ청소년 행복지수의 국제비교`를 주제로 벌인 설문 결과를 4일 공개했다.

올해 집계된 한국 어린이ㆍ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65.98점으로, 세계보건기구(WHO)와 OECD가 각각 2006년과 2003년에 실시한 똑같은 내용의 조사 연구와 비교 분석했을 때 OECD 23개국 중 최하 점수다.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스페인(113.6점)보다 47.6점 낮고, OECD 평균(100점)에선 34점이나 모자란다.

한국 다음으로 낮은 헝가리(86.7점)와도 20점 이상 차이가 났다.

또 한국은 2009년 64.3점, 지난해 65.1점을 기록하는 등 3년 연속 OECD 국가 가운데 주관적 행복지수에서 최하위에 머물렀다.

주관적 행복지수는 `주관적 건강`과 `학교생활 만족도` `삶의 만족도` `소속감` `주변 상황 적응` ` 외로움` 등 6가지 영역에 대한 응답률을 수치화한 것이다.

반면, 한국의 어린이ㆍ청소년은 교육성취도와 생활방식을 측정하는 `교육` `행동과 생활양식` 항목에서는 최상위를 기록하는 등 모든 분야에서 중상위권을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일하게 주관적 행복지수에서만 꼴찌다.

`교육`에서는 127.8점, `행동과 생활양식`에서는 129.3점으로 OECD 국가 중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고 `물질적 행복`은 110.7점으로 4위에 올랐다. `보건과 안전`은 102.6점으로 13위, `가족과 친구 관계`는 96.1점으로 15위를 했다.

아시아권인 일본과 중국과 비교해서도 한국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도는 크게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설문과 2006∼2007년 청소년정책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러 가지 면에서 행복한가`란 질문에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우리나라 고교생 비율은 2006년 13.7%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엔 11.7%로 더 낮아졌다.

반면 2006년 같은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고 답한 비율이 일본은 32.3%, 중국은 39.1%로 나타나는 등 한국보다 3배가량 높았다.

또 2007년 `생활 전반에 만족하는가`란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고 답한 비율은 한국이 16.4%로, 일본(28.5%)보다 낮았으며 올해도 17.8%에 불과했다.

아울러 `행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란 질문에 우리나라 초교 4학년은 `가족`을 꼽은 학생이 54.4%로 가장 많았고 건강, 자유, 친구, 성적, 돈 등의 순이었으나 고학년이 되면서 `가족`은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돈`이라고 답한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다.

고2 때는 `가족`과 `돈`이라 답한 비율이 24.8%, 25.2%로 거의 비슷해졌으며, 고3 때는 `돈`이라고 답한 학생 비율이 26%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우리나라 학생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초교 4학년 때 가장 높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행복을 위해 필요한 것이 `가족`이라고 답한 학생이 다른 항목을 꼽은 학생보다 행복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를 담당한 염유식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 청소년들은 학교와 가족, 친구와 분열된 삶을 살면서 행복지수가 낮은 것"이라며 "학생들의 분절된 삶의 영역이 통합되고 부모는 자녀의 친구와 학교ㆍ학원 교사의 이름을 알고 지낼 때 행복 지수는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