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 way to go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A long way to go

A mother in Busan sends her son to a university in Seoul.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dorm rooms for students, her son has to rent a studio, with a 10 million won ($8,900) deposit and 500,000 won per month. Aside from the college tuition, she sends an extra 700,000 won a month as an allowance. But her son has to work at a part-time job because the money he gets from home is not enough. Grades are on a curve, so students compete against one another. Because he spends time working, he cannot focus on studying, and he is not likely to merit a scholarship. “When you send your child to Seoul from other regions, the family becomes instantly poor,” the mother says.

But going to college in Seoul doesn’t mean the future of the student is bright. Many families cannot afford both tuition and living costs, so they often take out student loans. Students have debt before they enter into the society. Even if they are fortunate enough to find a job in Seoul, they can barely afford rent and transportation after paying back the loan. They cannot dream of buying their own home without the help of parents, so getting married and settling down is no easy feat. Both the children in Seoul and the families in their hometown could fall into the vicious cycle of poverty.

Until the 1980s, outstanding students in other regions often chose nearby national universities, where living costs would be considerably less. However, aside from some regions with major corporate production bases, jobs have disappeared outside of the capital.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prefer local graduates. So the competition to get into “in Seoul” colleges and universities has expanded. Parents and students increasingly obsess over university rankings, starting from the top three Seoul-Korea-Yonsei circles.

In order to alleviate the financial burden for parents sending their children to Seoul,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universities must be enhanced. National universities need to offer specialized programs rather than a general array of majors and departments. By integrating local universities or linking them in a network, they should be transformed into channels of outstanding talent on par with top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The trend of avoiding regional universities is linked to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s and low fertility rates. Middle-aged parents in non-Seoul areas have a hard time preparing for their retirement because they have to support their children’s living expenses in Seoul. While the children struggle to pay for housing and living, they cannot ask for their parents’ help, postponing marriage and have less children.

Relieving the concentration on the capital region and reviving other regions cannot be attained by relocating the administrative capital or headquarters of public corporations. The authorities need to begin considering university reform and the employment issue together.

*The author is a deputy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Mar. 13, Page 30

BY KIM SUNG-TAK


부산에 사는 50대 주부는 아들을 서울에 있는 대학에 보내고 있다. 대학 기숙사가 충분하지 않아 원룸에 사는데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가 50만원이다. 대학 학비를 제외하고 월세와 용돈 등 생활비로만 매월 130만원을 송금한다. 그런데도 돈이 부족해 아들은 아르바이트를 한다. 상대평가라서 학점 경쟁이 치열한데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시간을 뺏기니 성적 장학금을 받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 주부는 “지방에서 서울로 대학을 보내면 그 가족은 ‘당장 푸어’가 된다”고 하소연했다.
 그렇다고 서울로 대학 간 학생들의 미래가 밝은 것도 아니다. 웬만한 가정에선 자녀의 서울살이 생활비밖에 감당할 수 없어 대학 등록금은 학자금 대출로 해결한다. 사회에 첫발을 딛기 전부터 빚을 지는 것이다. 다행히 수도권에서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월급 받아 원룸비·교통비 등 생활비에 학자금 대출까지 갚고 나면 남는 게 없다. 집 장만은 고사하고 수천만원씩 뛰는 전세자금 마련도 먼 나라 얘기이니 부모의 지원 없인 결혼이 쉽지 않다. 지방의 부모와 서울의 자녀 모두 빈곤의 악순환에 빠질 위험이 상존한다.
 고구마 줄기처럼 연결된 ‘지방의 비애’ 뒤엔 ‘인(in) 서울’ 대학 쏠림현상이 자리 잡고 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성적이 우수한 지방 학생들 중엔 비용이 적게 드는 지방 거점 국립대를 택하는 이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대기업의 생산시설이 있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대부분 지방에서 일자리가 사라졌다. 수도권에 밀집한 기업이 서울지역 대학 출신을 선호하자 인 서울 쟁탈전은 전국으로 확대됐다. 이른바 ‘SKY(서울·고려·연세대)’부터 시작되는 대학 서열이 수험생과 학부모 사이에 회자되는 현상도 덩달아 심해지고 있다.
 자녀의 서울 유학비로 등골이 휘는 부모의 고통을 덜어 주려면 지방대의 경쟁력부터 높여야 한다. 비슷한 학과를 백화점식으로 운영하는 구조를 지방 거점 국립대에서부터 바꿔 특성화하는 정책이 시급하다. 지방 국립대를 통합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해 서울 유수 사립대 못지않은 인재 배출 통로로 만드는 등 파격적인 방안도 검토할 때가 됐다. 한시적으로라도 지방대 출신의 취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도 공론에 부쳐 보면 좋겠다. 4년제 기준으로 지난해 지방대 취업률이 처음으로 수도권 대학을 앞섰지만 취업의 질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지방대 기피현상은 베이비붐세대의 은퇴나 낮은 출산율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서울로 대학 간 자녀의 뒷바라지를 하느라 지방 거주 40~50대는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한다. 상경한 자녀들 역시 높은 주거비와 생활비가 부담이지만 더 이상 부모에게 손을 벌릴 수 없으니 결혼을 늦게 하고 아이를 적게 낳는다.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지방을 살리는 일은 행정수도를 옮기거나 공기업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것만으론 부족하다. 대학교육 개혁과 대졸자 취업 문제를 함께 고려하는 정책에서부터 당국의 고민이 시작돼야 한다.
김성탁 사회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