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ember the Acheson Lin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member the Acheson Line (kor)

On Jan. 12, 1950, U.S. Secretary of State Dean Acheson under President Harry Truman announced the so-called Acheson Line. In the announcement he made in a speech entitled “Crisis in Asia” at the National Press Club, Korea was excluded from the line stretching from the Aleutian Islands to the Philippines in the Pacific. Japan and Okinawa were included in the U.S. defense line aimed at deterring Joseph Stalin and Mao Zedong’s communization of East Asia, but Korea was not.

Although there is no credible evidence that Acheson’s line helped lead to the 1950-53 Korean War by stimulating communists like Kim Il Sung, it remains a controversial concept. Two years before the announcement, the Soviet Union pulled out its forces from North Korea followed by the United States’ withdrawal of its forces from South Korea in June 1949. As a result, Acheson’s announcement of the line could have offered a precious opportunity for communists in the area to expand their influence.

In fact, 1949 was an exciting year for communists. The Soviets successfully conducted a nuclear test in a Kazakhstan desert and China declared full communization with the country in October. The Acheson Line helped fuel the mood. But North Korea did not attach great significance to the speech. Pyongyang was not interested in whether Korea was covered by the line. It only denounced America’s Asia policy out of the conviction that Washington did not change.

Upon hearing Acheson’s speech, South Korean President Syngman Rhee was outraged. He ordered Seoul’s Ambassador to Washington Chang Myon to meet with Acheson. But he was not available due to his appearance at Congress. So the ambassador met with William Butterworth, assistant secretary for Northeast Asia at the state department, demanding that South Korea be included in the line. President Rhee also sent a personal letter to his counterpart to make the same request.

But Butterworth reassured them by underscor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outh Korea in Northeast Asia on America’s part. As proof, Washington signed a treaty with Seoul on mutual defense and aid on Jan. 26, 1950. The treaty was more advanced than the Acheson Line in terms of a pledge to protect South Korea from outside attacks. On Feb. 10, the U.S. Congress also passed a bill to aid South Korea. In reaction, all South Koreans cheered.

But no one knew that a war would break out in just four months. This year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heightened tensions in the Korean Peninsula remind us of the days seven decades ago. We must learn a lesson from that time.

JoongAng Ilbo, Jan. 1, Page 26

*The author is a researcher at the Unifica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JoongAng Ilbo.

KO SOO-SUK


오는 12일은 애치슨라인이 발표된 지 68주년이 되는 날이다. 애치슨라인은 딘 애치슨(1893~1971) 전 미국 국무장관이 1950년 1월 12일 전국기자클럽(NPC)에서 발표한 ‘아시아의 위기’라는 연설에서 발표됐다.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공산화를 저지하기 위해 미국의 극동방위선을 알류샨 열도~일본~오키나와~필리핀으로 연결하는 선이다. 그의 연설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과 대만이 빠졌다는 사실이다.
비록 애치슨라인이 김일성 등 공산주의자들을 흥분시켜 6·25전쟁을 개전했다는 믿을 만한 증거는 없지만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있다. 당시 소련은 48년 12월 북한에 주둔했던 군대를 철수시켰고 미국도 49년 6월 미군을 철수시켰다. 따라서 미군이 없는 한국은 공산주의자들에게 절호의 기회일 수 있었다. 공산주의자들에게 49년은 흥분의 한 해였다. 소련이 49년 8월 카자흐스탄의 사막에서 핵실험에 성공했고, 중국은 그해 10월 대륙을 공산화했다. 이런 분위기에 애치슨라인이 가세했다. 하지만 북한은 애치슨의 연설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북한은 그 연설에 한국이 포함돼 있느냐 않느냐에 관심이 없었고,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을 비난하면서 미국이 바뀌지 않았다고 보았다.
애치슨의 연설이 전해지자 즉각적인 불만을 토로한 사람은 이승만 대통령이었다. 그는 장면 주미 대사에게 애치슨을 만나라고 지시했다. 애치슨이 의회 출석으로 만나지 못하자 버터워스 국무부 동북아시아(현 동아태) 차관보를 만나 따졌다. 이 대통령도 애치슨에게 편지를 보내 “한국을 포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버터워스는 “한국의 위치는 어떤 방향으로 방위선이 구획되더라도 그 선에 의한 이익의 정의를 초월해 있으며 이것은 애치슨의 인식·전술과 동일하다”고 대답했다. 애치슨라인은 ‘한국 포기’가 아니라는 설명이었다. 그 증거로 미국은 50년 1월 26일 한국에 대한 미국의 방위 원조를 명문화한 ‘상호방위원조협정’을 체결했다. 이는 애치슨라인보다 더 항구적이고 법제화된 관계의 제정이자 지원 규정이었다. 이 대통령은 이틀 뒤 장면 대사를 통해 애치슨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또한 그해 2월 10일 대한(對韓) 원조 법안이 가결됐다. 이에 대해 한국은 애치슨 연설 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환호했다.
하지만 4개월 뒤 전쟁이 몰아칠 줄 몰랐다.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는 “인간에게 최고의 적은 안도감”이라고 말했다. 안도감이 위기를 가렸고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올해는 정부 수립 70주년이다. 북한도 마찬가지다. 지금 한반도에 고조된 위기를 생각하면 70년 전으로 돌아가는 것 같다. 70년 전을 반면교사로 삼아 한국 외교를 다시 고민할 때다.

고수석 통일문화연구소 연구위원·북한학 박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