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for reflec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ime for reflection (KOR)

JUNG HYO-SIK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Around 4 p.m. on Feb. 28 at JW Marriott Hotel in Hanoi, Vietnam, reporters spotted a high-level Foreign Ministry official leaving the hotel following U.S. President Donald Trump’s news conference. A dozen reporters, as well as many cameras, chased him through the 100-meter-long (238-foot-long) corridor. In the end, he was surrounded by reporters.

Covered in sweat, he was asked, “What did you hear from Biegun?” “Why did the meeting break apart?” After about 10 minutes, he said he would explain later. It was Lee Do-hoon,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peace and security affairs, who coordinated the Hanoi meeting with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affairs Stephen Biegun.

A similar scene was spotted. After waiting several hours at the hotel lobby,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s Kenji Kanasugi received a briefing from U.S. State Department officials and left around 5 p.m. One Japanese reporter chased him. On similar questions, such as “Did you meet Biegun?” he responded he could not answer and left through the lobby entrance. The atmosphere among the U.S. Department of State was different. On March 1, at the meeting hall of the Sofitel Legend Metropole Hanoi where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ad sat, 200 staff from the state department and the U.S. Embassy in Hanoi gathered for a party. They celebrated as if it had been a successful meeting.

After all — aside from Kim Jong-un himself — South Korea was the most shocked by the Hanoi summit’s breakdown. It was expected that dismantling Yongbyon nuclear facilities would be exchanged for an end-of-war declaration, the establishment of liaison offices or the lifting of sanctions on some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Mount Kumgang tourism. As the June 12 Singapore Joint Declaration mimicked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Korea hoped the Sept. 19 Pyongyang Declaration between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nd Kim would be repeated in Hanoi. South Korean diplomacy betted on this, as it could serve as a catalyst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Yet the outcome betrayed the expectation: the meeting w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orking-level negotiation in which North Korea came up with a proposal to dismantle only the Yongbyon nuclear compound. President Trump gave Kim a big deal document, demanding the dismantlement of all the North’s ballistic missiles and biochemical weapons, which was thoroughly prepared by John Bolton. He tested Kim’s genuine will for denuclearization rather than the details.

Here, North Korea’s tactics failed. President Moon Jae-in’s efforts for mediation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didn’t work. There is no reason for South Korea to be held accountable for the failure of the Hanoi meeting. Now that hope for any agreement between Washington and Pyongyang is broken, it is time to review and examin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denuclearization strategy.

JoongAng Ilbo, March 5, Page 30

우리가 노딜의 죄인은 아니지만…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지난달 28일 오후 4시쯤 베트남 하노이 JW메리어트 호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끝난 직후였다. 한국 외교부 고위 당국자가 급히 호텔을 빠져 나가려는 모습이 기자들의 눈에 띄었다. 10여명의 기자가 여러 대의 카메라와 함께 100여m 긴 복도에서 추격전이 벌어졌고, 그는 결국 기자들에게 둘러싸였다.
머리부터 양복이 땀에 흠뻑 젖은 그에겐 "비건 대표에게 어떤 설명을 들었느냐" "왜 회담이 무산됐느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그는 기자들과 10여분 실랑이 끝에 "나중에 설명하겠다"고 한 뒤 호텔 직원들의 도움을 받아 자리를 빠져나갈 수 있었다. 이번 하노이 회담 성공을 위해 스티브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조율을 해온 이도훈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이었다.
비슷한 듯 다른 장면은 또 있었다.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도 이날 호텔 로비에서 서너 시간 대기한 끝에 미 국무부 관계자들로부터 브리핑을 듣고 5시쯤 호텔을 떠났다. 그를 쫓던 일본 기자는 한 명이었다. 가나스기는 "비건 대표를 만났느냐"는 등 비슷한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는 말만 하곤 호텔 정문 로비로 빠져나갔다.
'노딜'의 당사자인 미 국무부의 모습은 완전히 달랐다. 다음날 1일 오후 메트로폴 호텔. 트럼프-김정은이 마주 앉았던 회담장에서 국무부와 현지 하노이 미국대사관 직원 200여명이 모여 쫑파티(랩파티)를 열었다. 이들은 "공식 합의문이 없다는 점 하나만 빼고는 성공적인 회담이었다"며 순조로운 회담 진행을 자축했다.
한·미·일 3국의 현장 뒷모습처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제외한다면 하노이 회담 결렬의 가장 큰 충격을 받은 건 한국이었다. 영변과 종전선언·연락사무소, 금강산 등 일부 남북 경협에 대한 제재 완화가 교환될 것이라고 믿었다. 지난해 4·27 판문점 선언의 판박이였던 6·12 싱가포르 공동 성명처럼 9·19 평양선언이 하노이에서 재연될 것이라는 기대에 빠졌었다. 북·미 관계의 추동자 역할을 자임한 한국 외교가 여기에 올인했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결과는 기대를 철저히 배신했다. '영변 폐기'카드로 북한이 주도했던 실무협상 분위기와 회담은 정반대로 흘렀다. 트럼프 대통령은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준비한 탄도미사일·생화학무기 폐기까지 요구하는 빅딜 문서를 김 위원장에 내밀어 판을 바꿨다. 디테일이 아니라 비핵화 의지를 시험했다. 거기서 북한의 살라미 전술은 무너졌다. 문재인 대통령의 남북 경협을 이용한 중재 노력도 소용없었다. 물론 우리가 하노이 회담 무산의 모든 책임을 떠안을 이유는 없고, 그럴 위상도 안 된다. 북·미간 어떤 합의든 좋다는 맹목이 깨진 상황에서 남북관계는 물론 비핵화 전략을 복기하고 , 성찰해 볼 시간을 가져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