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ving the Sewol’s scarred survivors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Saving the Sewol’s scarred survivors

Mr. A has had many chances to talk to students who survived the Sewol ferry incident, and the most painful thing he heard was, “Do we have to write on our resume that we graduated from Danwon High School? I wish there was no section to indicate which school we went to.”

The student said, “I am afraid to be known as someone who survived. There are so many people criticizing us online. What if I get treated differently when I get a job? What if I am bullied?”

The surviving students now are high school seniors, and in one more year they will be in college or have a job. They are suffering from yet another trauma due to online attacks in the aftermath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hile they wish to keep a low profile, they want the victims to be remembered forever. “Stories of some friends are known through the media, but there are many more who are not,” said one survivor. “Please remember them and celebrate their birthdays. When we know that these friends live in the hearts of others, we feel truly consoled.”

They also said that what they say and do should be accepted sincerely. They cannot cry when they are sad and cannot laugh when they are happy. They don’t know what to do when they are criticized for being foolish for crying and for not mourning their friends when they smile.

They also are tired of their words being interpreted through a political lens. For example, one said that he missed his friends so much and hoped the ship is salvaged. Then one side began political offensives demanding the immediate salvage of the ship. Others then condemned the students for supporting the rhetoric of a certain political faction.

Many of the students simply stay quiet because they don’t want to be misinterpreted. Parents and teachers are concerned that they don’t even say they are not feeling well, even when the stress and trauma lead to health issues.

One year after the tragedy, Korean society is still arguing over investigation and compensation issues. However, discussions about consoling and treating the survivors are nowhere to be heard.

Perhaps these young students are the biggest victims.

Those who survived the disaster will also be compensated. But that’s not the end. While their lives were saved, they are still suffering from trauma.

It is the duty of society to care for them and help them move forward into the future. It is about time we discuss how we can fulfill this duty and put it into action.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writer for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April 18, Page 33

by LIM MYOUNG-SOO



세월호 생존 학생을 많이 대할 기회가 있었던 A씨. 그는 아이들에게 들은 얘기 중에 이 말이 가장 가슴을 찔렀다고 했다. “이력서에 꼭 ‘단원고 졸업’이라고 써야 하나요. 고교 학력 적는 칸을 없앨 수는 없나요.”
 이유는 이랬다. “세월호에서 살아났다고 알려지는 게 겁나요. 인터넷에서 우리를 막 욕하는 사람이 많잖아요. 직장에 가도 그럴 것 같은데 불이익당하면 어쩌죠? 왕따당하면 어떡하죠?”
 생존 학생들은 이제 고3이다. 1년 뒤면 대학으로든 사회로든 진출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이런 고민이 닥친 것이었다. 세월호 참사 후 엇나간 인터넷 공격 글이 이들에게 심어준 또 다른 트라우마였다.
 그렇게 자신은 감추고 싶어했지만 학생들은 먼저 별이 된 친구들은 세상이 오래오래 기억해주기를 바랐다. “언론 등을 통해 잘 알려진 친구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친구들이 더 많아요. 같은 친구인데 기억해주시고 생일 축하해 주세요. 그러면 우리 마음이 진짜 따뜻해진답니다.”
 학생들은 “우리의 말과 행동을 순수하게 생각해주면 좋겠다”고도 했다. 슬픈 일, 기쁜 일이 생겼을 때 마음대로 울지도 웃지도 못하는 게 이들의 현실이었다. 울면 “바보같이 운다”고, 웃으면 “친구가 희생됐는데 살아났다고 낄낄대느냐”고 수군대는 목소리에 도대체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고 했다.
 자신들 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데 대해서는 신물을 냈다. 예컨대 돌아오지 못한 친구가 정말 보고 싶어 “세월호를 인양하면 좋겠다”고 했을 때가 그랬다. 한쪽에서는 이를 갖고 “즉각 인양하라”며 정치 공세를 펼치고 또 다른 쪽에선 “학생들이 특정 정치 진영의 주장에 동조하느냐”고 해대는 게 정말 듣기 싫었다고 했다.
 매사가 그런 식이다 보니 아예 입을 다물어버리는 학생이 상당수다. 심지어 트라우마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몸 이곳저곳이 아파도 “아프다”는 소리조차 내지 않는다고 부모와 교사들이 걱정했다.
 세월호 1주기를 맞은 지금 우리 사회는 진상 규명과 배·보상 등의 문제를 놓고 떠들썩하다. 하지만 어디에도 생존 학생들의 아픔을 어떻게 계속 어루만져 줄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없는 듯하다. 어쩌면 어린 학생들이야말로 세월호 사고의 가장 큰 피해자일 수 있는데도 그렇다.
 물론 생존 학생들도 배·보상을 받는다.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다. 참사에서는 벗어났지만 아직도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학생들. 그들이 자신의 미래를 가꿀 힘을 내도록 오랫동안 보살펴주는 것 또한 우리 사회가 해야 할 부분이다. 이런 책임을 어떻게 완수할지 바로 논의를 시작하고 실천에 옮겨야 할 시점이다.
임명수 사회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