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ing it outside, where all the world’s a stage : Spontaneity of immersive storytelling appeals to theater fans

Home > Culture > Features

print dictionary print

Taking it outside, where all the world’s a stage : Spontaneity of immersive storytelling appeals to theater fans

테스트

“MIIN,” a collaborative performance by Korean and British choreographers Cha Jin-yeob and Darren Johnston, was staged last month in Sangam-dong, western Seoul. [ARKO]

“MIIN,” a collaborative performance by Korean and British choreographers Cha Jin-yeob and Darren Johnston staged last month at the Oil Tank Culture Park in Sangam-dong, western Seoul, was certainly different than most dance performances.

One of the 21 projects from Arts Council Korea (ARKO) and Arts Council England’s joint fund, a bilateral investment for artistic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England, the performance utilized two gigantic tanks once used to store oil as an immersive architectural space for the performance. Dancers performed throughout the venue while the audience wandered in and out of the tanks, following the performers.

Before entering the unknown space to enjoy “MIIN,” the audience felt a mix of excitement and nerves - everyone was expecting something unimaginable.

Looking to create a kind of anticipation from the audience, immersive theater - which elimin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s and the performers - has quickly become popular around the world. And the trend has not skipped Korea. Instead of creating a stage based on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immersive plays consider the setting to be the top priority of the performance.

“MIIN” is a performance that examines femininity, and takes the form of an exciting play that stimulates all of the senses. JoongAng Sunday’s S Magazine, an affiliate of the Korea JoongAng Daily, explored several immersive plays, where the audience becomes the center of performance.

Over the past few weekends in Daehangno, central Seoul, hordes wearing mint-colored headphones were spotted walking through the streets, participating in an immersive performance titled “Road Theater Daehangno 2.” Produced by ARKO, it is an upgraded version of last year’s “Road Theater Daehangno,” which guided the audience to tour each corner for the theater district.

Thanks to its extended story and word of mouth, the latest version of the performance saw its audience numbers jump by 10 percent. Wandering the streets while listening to narration and music, the audience feels as if they are staging a performance in the middle of the bustling Daehangno.

Over the past several years, a series of immersive performances that make the audience part of the show have sprung up in Seoul.

Some performances, like “Every Show’s a First Today!” are improvisational, and performers ask for requests from the audience to create a story right on the spot. Similarly, “White Rabbit Red Rabbit” selects audience members to join in and complete the performance with the help of other viewers.

Though immersive performance may seem refreshing to some, the concept is nothing new.

Immersiv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irector of “Road Theater Daehangno” Lee Gon, is “a form of performance adapted from old festivals.”

“Mystery plays staged on the streets during festivals in medieval times and the Korean sandae nori (mask dancing) that was performed when Chinese envoys visited our palaces are examples of these kinds of performance, which involve the audience’s participation in a setting that has been shifted from a familiar space to something unfamiliar.”

Immersive performances peaked in popularity abroad in the 1960s, and recently made a comeback after the British theater company Punchdrunk had a mega-hit with “Sleep No More.”

A mix of Shakespeare’s classic Macbeth and a Hitchcock movie, the show involves masked audience members wandering through 100 different rooms in a hotel and following performers who mime their way through the performance. It premiered in London in 2003, and was also adapted in New York in 2011.

Though it was originally scheduled to run for a month in New York, the play was met with an explosive response and quickly became a must-see attraction for tourists. The show expanded to Shanghai in 2016 and is now captivating Asian audiences.

Other similar performances include “Then She Fell,” a successful immersive theater production riffing on Victorian hospital wards and Lewis Carroll’s Alice in Wonderland books, and “The Grand Paradise,” an interactive tour of an imaginary Floridian pleasure palace from the 1970s. Both are the works of Brooklyn’s Third Rail Projects, a popular purveyor of site-specific, experiential performances.

Following the global trend, public institutions took the lead in introducing immersive performance to Korea. In 2012, ARKO invited Australian theater group One Step at Time Like This to the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SPAF), and opened “Road Theater Daehangno” in 2016.

“Daehangno is one of the rare performance spots in the world where 130 theaters are gathered,” said Lee Je-seung, who organized “Road Theater Daehangno.”

“We picked Daehangno, which is like a big theater itself, as the space for the audience to be able enjoy the performance with all five senses.”

“The Spotlight on Me: Make up Project,” which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staged for seven months in 2014, was created to appeal to children. The performance involved the kids performing “Sugungga,” a famously satirical story.

ARKO also staged “The Show is Tomorrow, What Should I Do?”, a mission-driven performance where the audience was only able to move to the next location after completing a mission.

테스트

“The Show is Tomorrow, What Should I Do?” is a mission-driven performance where audiences can only move to the next location after clearing a mission. It combines role playing and games into the performance. [ARKO]



테스트

In immersive performances like “Road Theater Daehangno” and “The Show is Tomorrow, What Should I Do?”, audiences become a part of the play. [ARKO]



테스트

Immersive theater has become a new trend in the performing arts both in and out of Korea. At left is “Road Theater Daehangno 2” and at right is “Sleep No More” which triggered the popularity of immersive performance around the globe. [PUNCHDRUNK, EMURSIVE]

The power of place

Immersive performance demands neither high quality acting from actors nor a fixed story.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keeping the audience’s attention is the environment.

In “Sleep No More,” where the audience freely walks in and out of 100 rooms, some say that viewers need to enjoy the performance at least 30 time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story. However,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is not storytelling, but rather how it pulls the audience into the world the play creates.

In an age where digital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dominate society, people seek experiences where they can use all of their senses to enjoy themselves. This explains the popularity of immersive performances at a time when it has become easy enough to experience the thrill of bungee jumping or even rafting in the middle of a city using a single virtual reality headset.

Last year’s mega-hit Pokemon Go was a simple augmented reality game that garnered an explosive response from both children and adults alike, and satiated people’s desire to play a game that required them to move around and be a part of the action. The popularity of escape rooms, where players have to solve a series of quizzes to break out of a room, is another by-product of the demand for participatory content.

Felix Barrett, Punchdrunk’s founder and artistic director, said in an interview that it is crucial to make audiences feel that they are the most important person and to let them know that the more they move, the more they can discover.

According to the director of “The Show is Tomorrow, What Should I Do?”, providing a different experience for each person is important.

“We provide slightly different missions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a unique experience,” said Kim Tae-hyeong.



Expanding audiences

Since immersive performances usually can’t incorporate a large audience, its commercial viability in Korea is far from lucrative.

“The Angel, Tenuously Named,” whose tickets cost 30,000 won ($28), can only accommodate 240 participants a week. “Road Theater Daehangno,” which costs 20,000 won per ticket, is able to bring along 600 viewers per week.

“One weakness of immersive performances is its low profits,” said Lee Je-seung. “Since it isn’t a familiar concept in Korea as of yet, the majority of audiences are made up of those who have participated many times. As the demand isn’t large enough, it is inevitable [to need] public institutions to invest in developing these types of performance,” Lee explained.

Seeing opportunity, ARKO has rolled up its sleeves to stage “Road Theater Daehangno” and “The Show is Tomorrow, What Should I Do?” in suburban areas in the hopes of expanding audiences and vitalizing the local culture. “The Show is Tomorrow, What Should I Do?” was staged in Suwon, Gyeonggi, and Gimhae, South Gyeongsang, while “Road Theater Daehangno” earned positive feedback from local organizations.

“From the planning phase, the two performances were designed to be staged at other theaters,” said Lee. “This could be helpful to local theaters that are suffering from lack of [creative] content,” Lee explained, and added that they could also contribute to revitalizing local culture.

BY YOO JU-HYUN [jin.minji@joongang.co.kr]



객석 박차고 무대로 … 같이 놀아요

지난달 서울 상암동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 안무가 차진엽과 영국의 다원예술가 대런 존스턴의 협업 퍼포먼스 ‘미인: MIIN’은 여느 무용 공연과는 확연히 달랐다. 한영문화예술공동기금 프로젝트로 ‘이머시브한 건축적 인스톨레이션’을 내세웠는데, 객석에 앉아서 보는 게 아니라 석유비축기지로 쓰이던 거대한 탱크 2개 안팎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퍼포먼스와 만나는 독특한 공연이었다. 오랫동안 파묻혀 있었던 미지의 공간 속으로 놀이동산에 온 양 손목티켓을 차고 들어설 때, ‘과연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까?’ 마치 귀신의 집에 들어가는 듯한 두근거림이 느껴졌다.

관객을 놀이하듯 공연 속으로 끌어들이는 ‘이머시브 씨어터(immersive theater)’가 최근 전세계 공연계를 강타하고 있다. ‘미인’의 경우도 공연의 내용은 여성성에 관한 진지한 고찰이었지만, 형식은 잠자던 감각을 깨우는 놀이에 가까웠다. 놀이가 공연이 되고, 공연이 놀이가 되는 세계가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지 중앙SUNDAY S매거진이 살펴봤다.

지난 2주간 주말 오후 대학로에선 민트색 헤드폰을 쓴 사람들이 생각에 잠긴 표정으로 무리 지어 다니는 광경이 목격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제작한 지역활용 관객참여형 공연 ‘로드씨어터 대학로2’다. 배우들의 삶의 터전인 대학로 구석구석을 백스테이지 투어하듯 탐방했던 지난해 ‘로드씨어터 대학로’를 업그레이드했다. 더 확장된 스토리와 진한 감동에 입소문을 탄 객석 점유율이 110%를 찍었다. 스마트폰 앱에 흐르는 내레이션과 음악을 들으며 대학로 일대를 거닐다 보면, 이 거리에서 펼쳐지는 드라마의 주인공이 된 듯한 느낌을 받는다. 대학로라는 공간이 무대가 되고 관객이 배우가 되는 것이다.

요즘 공연계 화두를 꼽으라면 단연 ‘관객 참여’다. 관객에게 말을 걸거나 무대에 잠시 세우는 정도는 축에도 못 낀다. 즉석에서 관객의 제안을 접수해 공연을 완성하는 ‘오늘 처음 만드는 뮤지컬’이나 방금 대본을 받은 배우 혼자서 관객의 도움으로 무대를 꾸려가는 연극 ‘하얀 토끼 빨간 토끼’ 등 올해만 해도 생전 처음 보는 참여형 공연이 여럿 등장했다.

가장 심화된 형태가 ‘로드 대학로’와 같은 ‘이머시브 공연’이다. 이머시브 공연이란 액자형 무대를 객석에 앉아 구경하는 게 아니라 관객이 아예 액자 속으로 들어가는 방식이다. 보통 ‘장소특정적(Site-Specific)’ 특징을 갖는데, 내용에 따라 무대를 꾸미는 게 아니라 특정 장소를 먼저 선택하고 이를 활용하는 내용을 만든다.

사실 아주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로드 대학로’의 이곤 총연출은 ‘이머시브 공연’을 “축제에서 비롯된 형태”로 설명한다. “서양 중세 축제 기간에 거리에서 펼쳐졌던 미스터리 연극이나 중국 사신이 왔을 때 궁궐에 이르는 거리에서 펼쳐진 우리의 산대공연 등이 익숙한 공간을 환상적으로 변형시키며 관객들의 참여를 유도한 사례”라는 것이다.

해외에서도 1960~70년대부터 거리축제에서 비슷한 형식이 일반화됐지만 최근 핫이슈로 부상하게 된 것은 영국 극단 펀치드렁크(Punchdrunk)의 ‘슬립 노 모어(Sleep No More)’가 대박을 치면서부터다. 2003년 영국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2011년 뉴욕 제작자의 손길을 거쳐 재탄생했다. 방치 상태였다가 잘 꾸며진 5층짜리 호텔에서 관객들은 가면을 쓰고 100개의 객실을 돌아다니며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 히치콕의 스릴러 ‘현기증’을 결합한 무언극에 참여한다. 한 달 공연 예정이었으나 “뉴욕 관광시 필수 코스”라는 폭발적인 반응에 오픈런으로 연장됐다. 2016년 상하이에도 진출해 뉴욕과 똑같이 만들어진 공간에서 아시아 관객을 흡수하고 있다.

비슷한 형태의 공연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이머시브 전문 극단인 ‘써드 레일 프로젝트(Third Rail Projects)’는 정신병원으로 쓰이던 건물을 탐험하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되는 ‘덴 쉬 펠(Then She Fell)’이나 70년대 해변의 리조트로 초대받아 그 시절 낭만을 맛보는 ‘그랜드 파라다이스(The Grand Paradise)’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내놓았다. 도시를 배경으로 온라인 게이머의 아바타와 실제 공간의 퍼포머가 추격 게임을 벌이는 ‘블라스트 시어리(Blast Theory)’의 ‘캔 유 시 미 나우(Can You See Me Now)?’ 는 IT와 결합한 형태다.

한국에선 공공기관이 먼저 나섰다. 201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 초청한 호주극단 ‘원 스텝 앳 어 타임 라이크 디스(One Step at a Time Like This)’의 ‘거리에서’로 처음 선보인 이래 ‘대학로예술생태프로젝트’를 통해 자료를 모았고, 2016년말 ‘로드 대학로’를 통해 ‘이머시브 공연’을 표방했다. 이 공연을 기획한 이제승 문화누리부장은 “대학로는 극장이 130개나 모여있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공연의 메카”라며 “배우들의 삶의 터전이자 그 자체로 하나의 커다란 극장과도 같은 대학로를 관객들이 오감으로 느끼는 공간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 화제가 됐던 ‘씨어터 RPG 1.7-내일 공연인데 어떡하지’도 ‘로드’와 세트로 기획된 이머시브 공연이다. 대학로예술극장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관객이 연극과 게임의 일부가 되는 컨셉트다. “기존의 견학·강의형 백스테이지 투어를 연극과 롤플레잉 게임을 접목해 재미를 추구했다”는 게 이 부장의 설명이다. 관객 혼자 극장 깊숙이 들어가는 서울문화재단의 ‘천사-유보된 제목’, 가면을 쓴 관객들이 배우들과 경계 없이 섞이는 순간들을 연출한 서울예술단의 ‘굳빠이 이상’ 등 올해 ‘이머시브’를 표방한 공연들은 모두 전석매진이라는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따지고 보면 원조는 어린이 체험 공연이다. 2014년 국립극장이 7개월간 진행한 ‘오늘은 나의 무대: 변신프로젝트’는 어린이 눈높이에서 멀기만 한 공연 예술을 역할극을 통해 느끼게 했다. 공연예술박물관 전체를 무대 삼아 ‘빠알간 피이터의 고백’의 원숭이 피터의 소원을 이뤄주기 위해 아이들이 직접 ‘수궁가’를 공연하는데, 각자 배역을 맡아 예능프로 ‘런닝맨’처럼 미션을 수행해 간다. 공연 후 인터뷰를 하고 증강현실 기법으로 타임지 표지모델이 되는 영광까지 누리는 완벽한 몰입형 공연이었다.



혼자만의 경험 주어야 관객이 스스로 몰입

스토리의 개연성과 배우의 몰입 연기를 요구하지 않는 ‘이머시브 공연’은 관객이 스스로 몰입할 수 있는 환경 만들기가 관건이다. ‘슬립 노 모어’의 경우 20명의 배우 중 누군가를 따라 100개의 방을 자유롭게 오가기에 “스토리를 다 이해하려면 30번쯤 봐야한다”는 얘기도 나오지만, 이 공연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이 아니다. 바라만 보던 무대 속으로 직접 들어가 먼 존재였던 배우들을 느껴 보는 게 핵심이다.

VR 기계 한 대로 도심에서 번지점프와 래프팅까지 즐기는 시대, 디지털과 인공지능·가상현실이 지배하는 세상은 사람의 신체 감각으로 얻는 경험을 외려 소중하게 만들고 있다. ‘이머시브 공연’이 손쉽게 얻는 첨단 볼거리·즐길거리에 위기를 맞은 공연계의 역습인 이유다. 디지털 세상에서 외로운 아날로그일 수밖에 없는 공연이 차별화된 ‘하드코어 아날로그’ 전략으로 제 3의 시장을 만들어낸 것이다.

지난해 화제가 된 증강현실게임 ‘포켓몬고’는 현실과 판타지를 결합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잡기 놀이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애어른할 것 없이 열광했다는 것은 요즘 사람들이 몸을 움직이는 ‘놀이’를 원한다는 방증이다. 대학가에 체험형 콘텐트 ‘방탈출 카페’가 뜨는 것도 그래서다.

이머시브 공연이 관객에게 미션을 부여하거나 배우와의 인터랙션을 추구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슬립 노 모어’의 관객은 배우와 둘만의 공간에서 분장을 돕는 등 긴밀한 접촉을 하며 ‘나만의 재미’를 추구한다. 펀치드렁크의 펠릭스 배릿 예술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우리의 본질은 스스로 느껴야 한다는 것”이라며 “관객이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하고, 더 많이 움직일수록 더 많이 발견하게 한다”고 했다.

관객이 게임에 참여해야 다음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미션 완수형 작품인 ‘씨어터 RPG’의 김태형 연출은 “관객의 행동에 따라 달라지기에 공연의 즉흥성과 현장성, 돌아오지 않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극대화된 양식”이라며 “오직 혼자만을 위한 경험을 제공하려 조금씩 다른 미션을 준다. 공연을 통해 그런 특별한 기억을 얻고 싶어하는 관객이 점점 많아지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관객 개발이 관건…관광과 결합해야”

하지만 아날로그가 극대화된 탓에 참여가능 관객수에도 한계가 있는 만큼 아직 국내에선 상업성과는 거리가 멀다. ‘천사-유보된 제목’(티켓 3만원)의 경우 한 사람을 위해 60분 동안 스탭 20~30명이 투입되는 시스템 때문에 6일 동안 240명만 참여할 수 있었다. ‘로드 대학로’(티켓 2만원)도 25명씩 4팀의 동시다발 투어에 수십 명의 스태프와 아마추어 배우가 동원됐지만 6일 동안 600여 명이 참여했을 뿐이다.

이제승 부장은 “이머시브 공연의 아쉬운 점은 수익창출이다. 아직 낯선 형태라 공연을 많이 접한 사람들이 주요 관객인데, 그 절대수가 모자란 한국에서는 공공기관이 관객개발 차원에서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앞으로 관광과 결합한 장기공연이 나와야 해법이 나올 것”이라고 짚었다. 내년에 민간 이머시브 공연을 준비 중인 김태형 연출도 “콘텐트를 즐길 관객층이 충분한가의 문제”라며 “영미권 흥행작들은 관광객 비중이 크기에 우리가 불리한 건 사실”이라고 털어놓았다. ‘관객참여’형인 만큼 ‘관객개발’이 관건인 셈이다.

문화예술위원회는 ‘로드’와 ‘씨어터RPG’를 ‘공연장 제작공연 지역 확장 사업’에 선정해 지방 확산에 나섰다. 지역 극단이 각자 콘텐트를 개발하도록 유도한다면 장기적으로 지역문화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씨어터RPG’는 수원과 김해에서 공연됐고, ‘로드’도 지역 관계자들에게 사업설명회를 열어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었다. 이 부장은 “두 공연은 기획 단계부터 다른 극장에서도 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콘텐트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방 극장들이 지역 극단과 함께 만들 수 있기에 확장성이 있다”면서 “극장을 친밀하게, 동네를 예술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관객 개발과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글 유주현 객원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